■ 편인(偏印)과 다른 육신(六神)과의 관계에 대하여 편성(偏星)인 편인은 특화된 것이고 식신(食神)을 파극(破剋), 도식(盜食), 효신(梟神), 그리고 탈식(奪食) 등의 흉한 역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관을 편인(偏印)이 잘 제화하면 즉, 편성인 편인에 의한 상관패인(傷官佩印)은 정인(正印)의 ..
■ 정인(正印)과 관성 그리고 다른 육신(六神)과의 관계에 대하여 정인은 일간과 비겁(比劫)을 동시에 생하나 일간의 강약에 따라 정인(正印)의 수용능력이 다르게 나타난다. 정밀한 간명을 위하여는 일간과 비겁이 정인을 수용하여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으로 잘 전달되는지를 살펴야 ..
■ 식신(食神)과 다른 육신(六神)과의 관계에 대하여 먼저 식신과 재성의 관계를 살펴야 하니 재성(財星)은 시장, 고객이고 식신(食神)의 결과이며 식신생재(食神生財)를 하고 있으면 생재의 활동과 결과가 있는 좋은 명(命)이 된다. 또한 생(生)과 설(洩)의 힘의 균형이 적당해야 결과가 좋..
■ 정성(正星)과 양간 그리고 편성(偏星)과 음간에 대하여 대운과 세운에 의해서 운의 작용과 그 결과가 판가름나게 되는데 먼저 살펴보아야 하는 것은 정성운인지 아니면 편성운인지를 주목해야 하는 것이며 물론, 일간과 해당 육신이 양간인지 아니면 음간인지가 기준이 되는 것이다. ..
■ 도깨비, 유령, 귀신 등에 관한 꿈 ♠ 목을 매어 죽은 귀신이 나타난 꿈은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막히는 일이 생기게 되고 누명을 쓰게 된는 일이 생기게 되며 귀신이 주는 약을 받아서 먹는 꿈은 재물의 이권을 얻게 되고 입학, 취직 등이 이루어지는 길몽이다. ♠ 여우귀신이 본인을 유..
■ 사목(死木)과 생목(生木)을 구분한 水기인성의 작용력에 대하여 다른 오행에 비해서 지식, 계획, 준비, 연구, 공부 등의 정신적인 면이 강한 水기는 인성을 많이 닮았다. 체(體)로 보면 壬수가 실용적이고 癸수가 정신적이나 쓰임새 즉, 용(用)으로 보면 壬수가 훨씬 정신적이고 癸수는 ..
■ 용신 별, 육신(六神)을 통한 통변에 대하여 명(命)을 간명하는 경우에 조후용신운의 육신에 따른 해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니 육신(六神) 별 조후용신에 대하여 살펴보면 비겁(比劫)이 조후용신이면 대인관계가 넓고 좋으나 단점은 허송세월을 보낸다는 것이다. 식상(食傷)이 조후용..
■ 재극인(財剋印) 혹은 탐재괴인(貪財壞印)에 대하여 “재극인(財剋印)”은 재성과 인성을 의미하는 현실과 미래, 움직일 것이냐 쉴 것이냐, 욕심과 양심, 물질과 정신,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생각으로 이상적인 것, 정신적인 계획을 조절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재극인”의 극하는 작..
■ 재생관(財生官) 혹은 재생살(財生殺)에 대하여 겁재(劫財)를 충분히 제화하는 정관(正官)이 있으면 열심히 노력하고 살아가는 일간이니 정재라도 편재(偏財)성분을 띠게 되고 겁나는 재물이 된다. 정재(正財)에게는 군비쟁재가 해당되지 않고 공동소유가 된다. 군비쟁재의 상대육신은 ..
■ 상관견관(傷官見官)과 상관합살(傷官合殺)에 대하여 상관견관을 하게 되면 정신적인 반항, 괘도이탈, 탈선, 심각한 관재구설(官災口舌), 파격적, 제멋대로 함 등을 의미하고 양간과 음간의 상관(傷官)은 그 작용력이 각기 다르게 되니 그 차이점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음간은 칠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