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목(死木)과 생목(生木)을 구분한 水기인성의 작용력에 대하여 다른 오행에 비해서 지식, 계획, 준비, 연구, 공부 등의 정신적인 면이 강한 水기는 인성을 많이 닮았다. 체(體)로 보면 壬수가 실용적이고 癸수가 정신적이나 쓰임새 즉, 용(用)으로 보면 壬수가 훨씬 정신적이고 癸수는 ..
■ 용신 별, 육신(六神)을 통한 통변에 대하여 명(命)을 간명하는 경우에 조후용신운의 육신에 따른 해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니 육신(六神) 별 조후용신에 대하여 살펴보면 비겁(比劫)이 조후용신이면 대인관계가 넓고 좋으나 단점은 허송세월을 보낸다는 것이다. 식상(食傷)이 조후용..
■ 재극인(財剋印) 혹은 탐재괴인(貪財壞印)에 대하여 “재극인(財剋印)”은 재성과 인성을 의미하는 현실과 미래, 움직일 것이냐 쉴 것이냐, 욕심과 양심, 물질과 정신,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생각으로 이상적인 것, 정신적인 계획을 조절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재극인”의 극하는 작..
■ 재생관(財生官) 혹은 재생살(財生殺)에 대하여 겁재(劫財)를 충분히 제화하는 정관(正官)이 있으면 열심히 노력하고 살아가는 일간이니 정재라도 편재(偏財)성분을 띠게 되고 겁나는 재물이 된다. 정재(正財)에게는 군비쟁재가 해당되지 않고 공동소유가 된다. 군비쟁재의 상대육신은 ..
■ 상관견관(傷官見官)과 상관합살(傷官合殺)에 대하여 상관견관을 하게 되면 정신적인 반항, 괘도이탈, 탈선, 심각한 관재구설(官災口舌), 파격적, 제멋대로 함 등을 의미하고 양간과 음간의 상관(傷官)은 그 작용력이 각기 다르게 되니 그 차이점을 잘 살펴보아야 한다. “음간은 칠살과..
■ 식신제살(食神制殺)에 대하여 식신제살은 칠살(七殺)이나 귀살(鬼殺) 즉, 일간에게 도움이 안 되는 것, 위험한 것을 방어, 준비, 물리치는 것 등을 의미하며 살(殺)은 질병, 사고, 시달림을 주는 것 등을 의미하니 식신제살은 이를 물리치거나 대비하는 블랙박스, 보험, 병원, 건강검진 ..
■ 죽음, 죽은 사람 등에 대한 꿈 ♠ 남자가 죽은 여자와 동침을 하게 되면 귀부인의 연모를 받게 되고 죽은 사람이 안아 준 꿈은 크게 길하나 죽은 사람이 안고 울면 집안이나 일신 상에 나쁜 일이 생기는 흉몽이 되니 조심을 할 일이다. ♠ 죽은 사람이 집 안에 들어오면 소식이 끊긴 가..
■ 상관생재(傷官生財)와 힘의 균형에 대하여 식신생재(食神生財)는 관성(官星)까지 배려하나 상관생재는 오직 재성(財星)에 대한 집착, 욕심이 강하며 수단이 좋고 불법성과 편법성이 가미되어 있다. 재물에 대한 노예가 될 여지가 많으며 상관패인(傷官佩印)이 되지 않으면 과욕, 불법, ..
■ 정관(正官)과 편관(偏官)에 대하여 “관(官)”의 의미는 벼슬, 명예, 자리, 법, 책임, 직장, 멍에, 굴래, 빚 등을 의미하고 관직이 높으면 큰 멍에와 굴레가 있고 애증이 교차하게 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관성(官星)이 命에 없으면 일간을 통제, 조절 그리고 관리를 해 줌이 없게 되니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