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 재해-무화과의 주요 병해 무화과의 주요 병해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성명 : 홍경희 전화 : 061-330-1530 무화과는 비교적 병해가 적은 과수로 알려져 지금까지는 거의 무방제 관리를 해왔으나 최근 집단 과원단지에서 역병, 탄저병, 더뎅이병(창가병), 줄기마름병(동..
1. 무화과 재배형태에 따른 역병 발생피해 및 방제 무화과 역병( Phytophthora )은 무화과 재배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으로 노지재배에서는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병원균인 P. palmivora 는 열대지방에서 매우 중요한 역병균의 하나로 기주범위가 넓고 유주자낭의 탈락성이 높은 것으로 ..
묘목을 만드는 방법은 보통 삽목(揷木:cutting)과 접목(接木:grafting)방법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적꽂이(揷木) 방법이 편리하고 대량번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1. 꺽꽃이 가. 삽수의 채취 무화과의 낙엽후부터 이듬해 봄 새싹이 트기전까지 가능하다. 일찍 채취하여 겨울 저..
주요 도입품종 기관 : 전남농업기술원 난지과수시험장 성명 : 변만호 전화 : 061-533-9816 1. 승정도후인(桝井 Dauphine) 일본 히로시마(廣鳥)현의 마수이((桝井光次良)씨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1970년에 수입하여 육성한 것으로 수세는 중간성으로 개장성(開張性)이며 잎은 중간..
1. 무화과의 결과습성(結果習性) 무화과는 1년생 가지가 결과모지가 되며 당년 봄에 결과모지에 발육한 신초에서 밑가지 2∼3마디를 제외한 각절(腋芽)마다 순차적으로 과실이 착생되어 순서대로 성숙된다. 이와 같이 새가지에서 성숙하고 초가을부터 수확되므로 추과(秋果)라 한다. 그러..
무화과는 비교적 병해가 적은 과수로 알려져 지금까지는 거의 무방제 관리를 해왔으나 최근 집단 과원단지에서 역병, 탄저병, 더뎅이병(창가병), 줄기마름병(동고병) 등이 발병되고 있다. 1. 역병(疫病, phytophthora rot) 가. 증상 잎, 과실, 가지에 광범위하게 발생된다. 잎에는 6월 하순부터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