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2020년 09월 26 [개화기/정치]태극기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개화기/정치]태극기 태극기 ★ 태극기(太極旗) : 대한민국의 국기. 1882년 고종이 조선의 군주을 상징하는 어기(御旗)인 '태극 팔괘도'를 일부 변형하여 만들었고, 조미 수호 통상 조약과 박영효 등 일본 수신사 일행이 사용하였다. 이후 태극기는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공식 국기로 사용되었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계속 정식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6. 태극기 ★ 태극기(太極旗) : 대한민국의 국기. 1882년 고종이 조선의 군주을 상징하는 어기(御旗)인 '태극 팔괘도'를 일부 변형하여 만들었고, 조미 수호 통상 조약과 박영효 등 일본 수신사 일행이 사용하였다. 이후 태극기는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공식 국기로 사용되었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계속 정식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6.
25 2020년 09월 25 [개화기/열강의침략]구로다 기요타카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개화기/열강의침략]구로다 기요타카 구로다 기요타카 ★ 구로다 기요타카(黒田清隆, 1840~1900) : 일본의 무관이자 정치가. 통칭은 나카타로 료스케로 제2대 내각총리대신(재직 1888년 4월~ 1889년 10월)을 담당했으며, 계급은 육군 중장. 위계 훈등 작위는 종1위 대훈위 백작. 겐로(元老). 강화도 조약 체결 당시 일본 사절단의 대표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5. 구로다 기요타카 ★ 구로다 기요타카(黒田清隆, 1840~1900) : 일본의 무관이자 정치가. 통칭은 나카타로 료스케로 제2대 내각총리대신(재직 1888년 4월~ 1889년 10월)을 담당했으며, 계급은 육군 중장. 위계 훈등 작위는 종1위 대훈위 백작. 겐로(元老). 강화도 조약 체결 당시 일본 사절단의 대표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5.
25 2020년 09월 25 [개화기/민속]민간의 부적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개화기/민속]민간의 부적 민간의 부적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5. 민간의 부적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5.
25 2020년 09월 25 [개화기/민속]두통의 민간 처방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개화기/민속]두통의 민간 처방 두통의 민간 처방 ★ 땅바닥에 사람을 그린 후 통증이 있는 부분에 낫을 꽂아두고 낮기를 빌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5. 두통의 민간 처방 ★ 땅바닥에 사람을 그린 후 통증이 있는 부분에 낫을 꽂아두고 낮기를 빌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5.
24 2020년 09월 24 [개화기/민속]장승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개화기/민속]장승 장승 ★ 장승(長栍) : 마을 또는 절 입구 등에 세운 사람의 얼굴 모양을 새긴 기둥. 벅수라고도 한다. 이정표 또는 마을의 수호신 구실을 한다. 일반적으로 남녀 한쌍의 모양으로 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으며 남자에는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이라 씌어져 있으며 여자에는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이라 씌어져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4. 장승 ★ 장승(長栍) : 마을 또는 절 입구 등에 세운 사람의 얼굴 모양을 새긴 기둥. 벅수라고도 한다. 이정표 또는 마을의 수호신 구실을 한다. 일반적으로 남녀 한쌍의 모양으로 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으며 남자에는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이라 씌어져 있으며 여자에는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이라 씌어져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4.
24 2020년 09월 24 [개화기/민속]탈춤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개화기/민속]탈춤 탈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4. 탈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4.
24 2020년 09월 24 [개화기/민속]지붕 잇기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개화기/민속]지붕 잇기 지붕 잇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4. 지붕 잇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4.
23 2020년 09월 23 [개화기/사회와문화]조혼(早婚)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개화기/사회와문화]조혼(早婚) [개화기/사회와문화] 조혼(早婚)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3. [개화기/사회와문화] 조혼(早婚)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근현대 2020.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