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2020년 09월 25 [일본사/중세]도조 이삼평 비 댓글 0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일본사/중세]도조 이삼평 비 도조 이삼평 비 ★ 이삼평(李參平, ? ~ 1655) : 조선 시대의 도공. 충청도 금강(충청남도 공주시)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일본 규슈로 끌려가 아리타 자기(또는 이마리 자기)의 모태를 만든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일본명은 가네가에 산베에(金ヶ江三兵衛)이다. 1917년 아리타 자기 창업 300년을 기념하여 도잔 신사에〈도조 이삼평 비〉가 건립됐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2020. 9. 25. 도조 이삼평 비 ★ 이삼평(李參平, ? ~ 1655) : 조선 시대의 도공. 충청도 금강(충청남도 공주시)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일본 규슈로 끌려가 아리타 자기(또는 이마리 자기)의 모태를 만든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일본명은 가네가에 산베에(金ヶ江三兵衛)이다. 1917년 아리타 자기 창업 300년을 기념하여 도잔 신사에〈도조 이삼평 비〉가 건립됐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2020. 9. 25.
23 2020년 09월 23 [일본사/중세/전국시대]도요토미의 옷 댓글 0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일본사/중세/전국시대]도요토미의 옷 [일본사/중세/전국시대] 도요토미의 옷 ★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7~1598) : 일본 전국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 다이묘.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2020. 9. 23. [일본사/중세/전국시대] 도요토미의 옷 ★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7~1598) : 일본 전국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 다이묘.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2020. 9. 23.
23 2020년 09월 23 [일본사/중세/전국시대]도요토미 히데요시 댓글 0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일본사/중세/전국시대]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7~1598) : 일본 전국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 다이묘.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2020. 9. 23. 도요토미 히데요시 ★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7~1598) : 일본 전국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 다이묘.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세계사사진자료실/일본 2020. 9. 23.
29 2020년 05월 29 [조선/임진왜란]북관대첩비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조선/임진왜란]북관대첩비 북관대첩비 ★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 : 함경북도 북평사 직을 맡고 있던 정문부 장군이 임진왜란 중 의병을 모아 왜군을 격퇴한 공을 기려 조선 숙종 때 북평사 최창대가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면 에 세운 전공 기념 비석이다. 러일전쟁 중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2006년대 반환되어 원래 자리인 함경북도에 세웠다. 경복궁에 복제비가 전시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5. 29. 북관대첩비 ★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 : 함경북도 북평사 직을 맡고 있던 정문부 장군이 임진왜란 중 의병을 모아 왜군을 격퇴한 공을 기려 조선 숙종 때 북평사 최창대가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면 에 세운 전공 기념 비석이다. 러일전쟁 중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2006년대 반환되어 원래 자리인 함경북도에 세웠다. 경복궁에 복제비가 전시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5. 29.
02 2020년 05월 02 [조선/임진왜란]천자총통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조선/임진왜란]천자총통 천자총통 ★ 천자총통(天字銃筒) :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가장 큰 총통으로 대형 화포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세종 대에 처음 등장하며(세종 7년, 1452), 임진왜란 때는 여러 화포와 함께 사용되었고 거북선과 판옥선에 탑재되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5. 2. 천자총통 ★ 천자총통(天字銃筒) :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가장 큰 총통으로 대형 화포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세종 대에 처음 등장하며(세종 7년, 1452), 임진왜란 때는 여러 화포와 함께 사용되었고 거북선과 판옥선에 탑재되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5. 2.
02 2020년 05월 02 [조선/임진왜란]조총(鳥銃)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조선/임진왜란]조총(鳥銃) 조총(鳥銃) ★ 조총(鳥銃) :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화승총. 탄자와 추진제를 총포구를 통해, 즉 화기의 앞쪽을 통해 넣는 전장총포(前裝銃砲, muzzleloader)로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일본은 포루투갈로부터 조총을 받아들여 전국시대 내전과 임진왜란 때 사용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도 유입되어 사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5. 2. 조총(鳥銃) ★ 조총(鳥銃) :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화승총. 탄자와 추진제를 총포구를 통해, 즉 화기의 앞쪽을 통해 넣는 전장총포(前裝銃砲, muzzleloader)로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일본은 포루투갈로부터 조총을 받아들여 전국시대 내전과 임진왜란 때 사용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도 유입되어 사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5. 2.
19 2020년 04월 19 [조선/임진왜란]거북선 그림(이충무공 전서)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조선/임진왜란]거북선 그림(이충무공 전서) 거북선 그림 (이충무공 전서 수록) ★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 조선시대 무신 이순신의 행적·일화·인품·전언(傳言) 등을 망라하여 1795년에 간행한 유고전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4. 19. 거북선 그림 (이충무공 전서 수록) ★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 조선시대 무신 이순신의 행적·일화·인품·전언(傳言) 등을 망라하여 1795년에 간행한 유고전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4. 19.
15 2020년 04월 15 [조선/임진왜란]용사일기(龍蛇日記) 댓글 0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조선/임진왜란]용사일기(龍蛇日記) 용사일기(龍蛇日記) ★ 용사일기(龍蛇日記) :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송암 이노(1544∼1598)가 쓴 전쟁일기. 선조 30년(1597)에 완성하였으며, 영조 39년(1763)에 후손 이당혁에 의해 간행되었다. <난중일기>와 더불어 임진왜란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현재 경..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4. 15. 용사일기(龍蛇日記) ★ 용사일기(龍蛇日記) :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송암 이노(1544∼1598)가 쓴 전쟁일기. 선조 30년(1597)에 완성하였으며, 영조 39년(1763)에 후손 이당혁에 의해 간행되었다. <난중일기>와 더불어 임진왜란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현재 경.. 댓글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 2020.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