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우리를 기쁘게 해주었던 입력기 다솜이
이제는 님프(Nimf)로 바뀌어서 진행된다고 합니다.
입력기 프레임워크 님프에 관한 소개입니다.
님프(Nimf)는 - Nimf is an input method framework
라는 뜻의 Nimf 자신의 재귀적 사용입니다.
아픈 사연이 있더군요...
입력기 '님프'라고 불러주세요.
"nimf 에 한국어 엔진뿐만 아니라 알파 수준의 중국어 엔진이 들어가 있고,
엔진 전환키를 설정하지 않아도 표시기에서 마우스로 클릭하여 한/중/영어 선택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외국인이 테스트할 때, 또는 처음 설치하여 설정법을 모를 때를 대비한 매우 절실한 기능입니다."
- 님프 개발자 cogniti 님 -
개발 사이트
https://github.com/cogniti/nimf
https://gitlab.com/hodong/nimf
Nimf-Settings 구상
님프의 설정 도구 님프 세팅스에 관한 구상과 개발 방향이 담긴 곳입니다.
올해 내에 최소 기능만 갖춘 채 나온다고 합니다.
http://cogniti-works.blogspot.kr/2016/04/nimf-settings.html
하드웨어에 한글, 한자 키가 없는 경우의 해결 방법
http://cogniti-works.blogspot.kr/2016/04/blog-post.html
현재 님프 - Nimf를 데비안에 패키징 해달라고 데비안 측에 요청을 한 상태라고 합니다.
ITP: nimf -- An input method framework
https://bugs.debian.org/cgi-bin/bugreport.cgi?bug=821790
Support nimf in evince debian/apparmor-profile
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evince/+bug/1569863
위의 내용은 이곳에서 호동님과의 대화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github.com/dasom-im/dasom-settings/issues/1#issuecomment-215985061
님프 설치) 2017년 12월 18일 이후로는 이렇게 설치하면 좋습니다.
$ sudo apt-add-repository ppa:hodong/nimf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nimf nimf-libhangul
$ im-config -n nimf
P.S) 2018-07-03
이젠 여러 OS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군요!
우분투 Nimf PPA
https://launchpad.net/~hodong/+archive/ubuntu/nimf
페도라, 오픈수세 패키지
https://copr.fedorainfracloud.org/coprs/hodong/nimf/
아치 리눅스, 만자로 리눅스
https://aur.archlinux.org/packages/nimf-git/
또는, elementary OS daily PPA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https://plus.google.com/101028813073033149665/posts/SEfk3JMvtUzelementary OS의 daily PPA에서 제공하는 nimf의 .deb 파일은 이곳에 있습니다 (32-bit, 64-bit)
Ubuntu 17.04 이상 버전은 이곳에서 다운받아 이용하세요.
Ubuntu 16.04계열용 nimf의 .deb 파일이 있는 공유 폴더입니다 (32-bit, 64-bit)
Ubuntu 16.04 용은 nimf-rime을 빼고 패키징 했습니다.
Debian 9도 함께 올렸습니다.
폴더 안에 nimf의 .deb 파일을 패키징 하는 방법을 문서로 올렸습니다.
https://www.dropbox.com/sh/fz8tlf7yd3zspy4/AAACoW3hIV_hQQuS3stkIK2oa?dl=0
님프 deb 파일 패키징 하기
http://blog.daum.net/bagjunggyu/271
한/영 키 전환에 shift + space도 이용하시는 분들은 설정에서 바꾸시면 됩니다.
터미널에서 nimf-settings 를 실행하고 설정하셔도 됩니다.
Nimf 2017-12.18 업데이트)
http://cogniti-works.blogspot.kr/2017/12/nimf-20171218.html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하나로 되어 있던 nimf 패키지가 여러 패키지로 나뉘었네요.
nimf-sunpinyin은 2018년 4월 이후 삭제할 예정 이라는 군요 nimf-rime을 이용하시랍니다.
이번 업데이트 이후 한글 입력이 안 되시는 분들은 nimf-libhangul을 설치하시랍니다.
$ sudo apt install nimf-libhangul
xwayland 환경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etc/xdg/autostart/nimf-daemon.desktop 파일을 추가했다고 합니다.
해결책은 구글 크롬이나, 데비안 크로미움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것이랍니다.
우분투 크로미움 브라우저의 버그랍니다.
https://github.com/cogniti/nimf/issues/3
입력기 님프(Nimf)를 개발하시는 호동님이
더불어서, 리브레오피스 hwp 확장(oxt)를 계획하고 계시답니다.
본업 이외의 시간에 짬짬이 하시는 것이라네요,
응원합니다.
http://cogniti-works.blogspot.kr/2016/05/libreoffice-hwp-oxt.html
한국어와 한국어 101/104 키의 차이점
OS를 설치할 때 키보드 설정에 보면 두 가지 키보드 레이아웃이 있습니다.
한국어와 한국어 101/104키 입니다, 그 둘에는 이런 차이점이 있습니다.
한국어 101/104 호환 키로 지정하면 기본으로 미리 설정되어 나오는 설정키가 있습니다.
* 오른쪽 알트 키 (Right_Alt) : 한/영 키로 지정되어져 나옵니다.
* 오른쪽 컨트롤 키 (Right_Ctrl) : 한자 키로 지정되어져 나옵니다.
그래서, 입력기 설치 후에 그냥 오른쪽 알트나. 컨트롤 키를 눌러보면
한/영 전환이나, 한자 변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게 됩니다.
한/영 키가 미리 지정되지 않은 입력기에서 한/영 키를 등록하면
오른쪽_Alt도 같이 작동하게 되구요.
이렇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영 키와 한자키가 다 있는 키보드를 사용하신 다면 그냥 한국어 키보드를 추천해드립니다.
물론, 둘 다 그냥 이용하실 수 있지만,
이런 경우 101/104 호환으로 설치하면 4개의 키를 기본으로 지정해서 사용하게됩니다.
* 한/영, 한자
* 오른쪽_Alt(한/영), 오른쪽_Ctrl(한자)
맥북이나, 몇 몇 노트북 처럼 한/영 키나, 한자키가별도로 없는 경우는
한국어 101/104 호환을 추천해드립니다.
그러면, 설치후에
한/영키는 : 오른쪽_Alt
한자키는 : 오른쪽_Ctrl이 기본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두 경우다 입력기의 설정도구에서 지정키 를 바꿀수 있으니, 활용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