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뷔야 靑山가쟈 범나뷔 너도가쟈
가다가 저무러든 곳듸 들어 자고가쟈
곳에서 푸대접ᄒᆞ거든 닙혜셔나 ᄌᆞ고가쟈
작가: 미상
출처: 청구영언 (김천택)
고시조「나비야 청산가자」는 시조창으로도 전해진다.
(나비야 청산가자
나비야 청산 가자 범나비 너도 가자
가다가 저물거든 꽃에 들어 자고 가자
꽃에서 푸대접하거든 잎에서나 자고 가자)
--------------------------------------------------------------
(청구영언에 실린 "나비야 청산가자" 원문의 성격이 지닌 노랫말과 가곡, 그리고 원래 리듬에 덧 붙여서 어떤 지역이나 혹은 어떤 시인이라도 그 가사를 덧 붙임하는 자유로움이 있어서 여전히 오늘날에도 다양하게 작사된다.)
♬*-나비야 청산가자 / 김용임-*♬
나비야 청산 가자 벌나비 너도 가자
가다가 날 저물면 꽃잎에 쉬어가자
꽃잎이 푸대접을 하거들랑
나무 밑에 쉬어가자 나무도 푸대접하면
풀잎에서 쉬어가자
나비야 청산 가자 나하고 청산 가자
가다가 해 저물면 고목에 쉬어가자
고목이 싫다하고 뿌리치면
달과 별을 병풍 삼고 풀잎을 자리 삼아
찬 이슬에 자고 가자
--------------------------------------------------------
시조가 너무 아름다워 한번 올려 봅니다.
청산별곡처럼 8연이나...
하다못해 5연 정도만 되었어도 불후의 가요가 되었을것 같은데...
시조라서 단연(1연)이라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