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2008년 03월 22 한국의 은인 맥아더 장군 댓글 1 역사비평 역사비평 한국의 은인 맥아더 장군 한국의 은인 맥아더 장군 글 : 오소운 목사 1950년 김일성의 남침으로 발발한 한국전쟁의 영웅 다글라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1880~1964) 장군은, 10년 동안의 좌파정권 사람들에게는, 동상마저 철거해 버려야 할「철천지 원쑤」였다. 그러나 적화통일에 눈이 멀었던 쏘련의 앞잡이 김일성「.. 역사비평 2008. 3. 22. 한국의 은인 맥아더 장군 글 : 오소운 목사 1950년 김일성의 남침으로 발발한 한국전쟁의 영웅 다글라스 맥아더(Douglas MacArthur, 1880~1964) 장군은, 10년 동안의 좌파정권 사람들에게는, 동상마저 철거해 버려야 할「철천지 원쑤」였다. 그러나 적화통일에 눈이 멀었던 쏘련의 앞잡이 김일성「.. 댓글 역사비평 2008. 3. 22.
02 2008년 02월 02 외국 학자들이 보는 동이족(東夷族) 댓글 0 역사비평 역사비평 외국 학자들이 보는 동이족(東夷族) 외국 학자들이 보는 동이족(東夷族) 글 : 오소운 목사 ▶ 들어가는 말 ◀ 중국의 역사를 논할 때, 그 중심에 있으면서 동아시아를 지배한 어질고, 예절바르고, 창의력이 넘치고 또 평화를 사랑하는「동이족(東夷族)」을 빼놓을 수가 없다. 어떤 학자는 "중국 역사는 동이족의 역사다" 라고.. 역사비평 2008. 2. 2. 외국 학자들이 보는 동이족(東夷族) 글 : 오소운 목사 ▶ 들어가는 말 ◀ 중국의 역사를 논할 때, 그 중심에 있으면서 동아시아를 지배한 어질고, 예절바르고, 창의력이 넘치고 또 평화를 사랑하는「동이족(東夷族)」을 빼놓을 수가 없다. 어떤 학자는 "중국 역사는 동이족의 역사다" 라고.. 댓글 역사비평 2008. 2. 2.
01 2008년 02월 01 남과 여 댓글 0 역사비평 역사비평 남과 여 남(男)과 여(女) 글 : 오소운 목사 아래의 글은 박문기(朴文基) 지음, [한자는 우리글이다] 241쪽 이하에서 인용한 것이다. 인용하면서 읽기 쉽게 문장부호를 새로 추가하고, 문단을 자주 바꾸었다. 무릇 부처라 함은 천하의 모든 생령을 깨닫게 하고 화하게 한다는 뜻이다. (佛者覺化群生之.. 역사비평 2008. 2. 1. 남(男)과 여(女) 글 : 오소운 목사 아래의 글은 박문기(朴文基) 지음, [한자는 우리글이다] 241쪽 이하에서 인용한 것이다. 인용하면서 읽기 쉽게 문장부호를 새로 추가하고, 문단을 자주 바꾸었다. 무릇 부처라 함은 천하의 모든 생령을 깨닫게 하고 화하게 한다는 뜻이다. (佛者覺化群生之.. 댓글 역사비평 2008. 2. 1.
22 2008년 01월 22 인간어뢰(人間魚雷)의 원조 SDV 댓글 2 역사비평 역사비평 인간어뢰(人間魚雷)의 원조 SDV 29587 인간어뢰(人間魚雷)의 원조 SDV 글: 오소운 목사 인간어뢰의 얘기를 쓰다 보니까, 어뢰를 타고 적함을 공격한다는 발상을 낸 나라가 일본이 아닌, 이탈리아였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다만, 이탈리아는 소형 잠수정에 폭탄을 싣고 적함을 공격하는데 2인승이요 탈출도 가능하게 설계되.. 역사비평 2008. 1. 22. 29587 인간어뢰(人間魚雷)의 원조 SDV 글: 오소운 목사 인간어뢰의 얘기를 쓰다 보니까, 어뢰를 타고 적함을 공격한다는 발상을 낸 나라가 일본이 아닌, 이탈리아였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다만, 이탈리아는 소형 잠수정에 폭탄을 싣고 적함을 공격하는데 2인승이요 탈출도 가능하게 설계되.. 댓글 역사비평 2008. 1. 22.
02 2007년 10월 02 ‘용진가(勇進歌)’ 댓글 0 역사비평 역사비평 ‘용진가(勇進歌)’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에 갔을 때, 북한 군악대는 <용진가>를 연주하였다. 노무현 대통련이 평양에 간 오늘은 무슨 곡을 연주하나, 다시 그 곡을 연주하지 않을까, 생각을 했는데... 아니었다. 2000년 당시 <월감 목회>에 쓴 글을 그대로 올려 본다. 용진가(勇進歌) 글 : 오소운 목사 E-.. 역사비평 2007. 10. 2.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에 갔을 때, 북한 군악대는 <용진가>를 연주하였다. 노무현 대통련이 평양에 간 오늘은 무슨 곡을 연주하나, 다시 그 곡을 연주하지 않을까, 생각을 했는데... 아니었다. 2000년 당시 <월감 목회>에 쓴 글을 그대로 올려 본다. 용진가(勇進歌) 글 : 오소운 목사 E-.. 댓글 역사비평 2007.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