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공구 |
공구 ( 품번 및 품명) |
도 안 |
용 도 |
09581 - 11000 피스톤 익스팬더 |
|
프론트 디스크 브레이크 피스톤의 뒤를 밀때 |
고장진단 |
아래표는 고장의 원인을 찾는데 도움을 준다. 번호는 가능 고장 원인의 우선순이다. 필요하다면, 부품을 교환한다. |
증 상 |
고장 추측 부위 |
참 고 |
로워 페달 또는 스폰지 페달 |
1. 브레이크 시스템(오일 누유) |
수리 |
2. 브레이크 시스템(공기 유입) |
공기빼기작업 |
3. 피스톤 씰(마모 또는 파손) |
교환 |
4. 리어 브레이크 슈 간극(조정 이상) |
조정 |
5. 마스터 실린더(고장) |
교환 |
브레이크 끌림 |
1. 브레이크 페달 자유유격(최소) |
조정 |
2. 주차 브레이크 레버 운행 거리(조정 이상) |
조정 |
3. 주차 브레이크 와이어(걸림) |
수리 |
4. 리어 브레이크 슈 간극(조정 이상) |
조정 |
5. 패드 및 라이닝(균열 또는 비틀어짐) |
교환 |
6. 피스톤(걸림) |
교환 |
7. 피스톤(얼어 있음) |
교환 |
8. 앵커 또는 리턴 스프링(고장) |
교환 |
9. 부스터 시스템(진공이 샘) |
교환 |
10. 마스터 실린더(고장) |
교환 |
브레이크 편제동 |
1. 피스톤(걸림) |
교환 |
2. 패드 또는 라이닝(오일 묻음) |
교환 |
3. 피스톤(얼어 있음) |
교환 |
4. 디스크(긁힘) |
교환 |
5. 패드 및 라이닝(균열 또는 비틀어짐) |
교환 |
페달이 무겁고 비효율적인 브레이크 |
1. 브레이크 시스템(오일 누유) |
수리 |
2. 브레이크 시스템(공기 유입) |
공기빼기작업 |
3. 패드 또는 라이닝(마모) |
교환 |
4. 패드 또는 라이닝(균열 또는 비틀어짐) |
교환 |
5. 리어 브레이크 슈 간극(조정 이상) |
조정 |
6. 패드 또는 라이닝(오일 묻음) |
교환 |
7. 패드 또는 라이닝(미끄러움) |
교환 |
8. 디스크(긁힘) |
교환 |
9. 부스터 시스템(진공이 샘) |
교환 |
브레이크 소음 |
1. 패드 또는 라이닝(균열 또는 비틀어짐) |
교환 |
2. 장착 볼트(느슨함) |
재조임 |
3. 디스크(긁힘) |
교환 |
4. 슬라이딩 핀(마모) |
교환 |
5. 패드 또는 라이닝(지저분함) |
청소 |
6. 패드 또는 라이닝(미끄러움) |
교환 |
7. 앵커 또는 리턴 스프링(고장) |
교환 |
8. 브레이크 패드 쉼(손상) |
교환 |
9. 홀드 다운 스프링(손상) |
교환 |
브레이크 제동이 잘 안됨. (빠른 속도로 주행시 ) |
1. 패드 또는 라이닝(마모) |
교환 |
2. 마스터 실린더(고장) |
교환 |
브레이크 진동 |
1. 브레이크 부스터(진공이 샘) |
교환 |
2. 페달 자유 유격 |
조정 |
3. 마스터 실린더(고장) |
교환 |
4. 캘리퍼 |
교환 |
5. 마스터 실린더 캡 씰 |
교환 |
6. 손상된 브레이크 라인 |
교환 |
제원(브레이크) |
항목 |
제원 | ||||||||||||
마스터 실린더
|
탠덤식 20.64 mm 45 mm(최소) 장착 | ||||||||||||
프로포셔닝 밸브
|
26 kg/cm² 0.27 : 1 | ||||||||||||
브레이크 부스터
|
진공 배력식 9 : 1 (일반 브레이크), 7.5 : 1(ABS, VDC) | ||||||||||||
프론트 브레이크
|
벤틸 레이티드 디스크 275 mm 172 mm 26 mm 11 mm 싱글 피스톤 Ø57.2 mm | ||||||||||||
리어 디스크 브레이크
|
솔리드 디스크 262 mm 185 mm 10 mm 10 mm 싱글 피스톤 Ø30.0 mm | ||||||||||||
리어 드럼 브레이크
|
리딩-트레일링 203.2 mm 4.3 mm 자동조정 | ||||||||||||
주차 브레이크(디스크 브레이크 형식)
|
DIH(drum in hat) 레버식 Ø168 mm |
ABS : Anti-lock Brake System
CBS : Conventional Brake System |
품목 |
항목 |
기준치 |
비고 |
HECU |
시스템 사양 |
4센서 4채널 솔레노이드 |
형식 |
ABS+EBD |
작동전압 |
8 ~ 16 V |
작동온도 |
-40 ~ 120 °C |
경고등 |
작동전압 |
12 V |
소비전류 |
80 mA |
액티브 휠 스피드 센서 |
공급전압 |
DC 4.5 ~ 20 V |
작동온도 |
-40 ~ 150 °C |
출력전류(LOW) |
5.9 ~ 8.4 mA |
출력전류(HIGH) |
11.8 ~ 16.8 mA |
출력범위 |
1 ~ 2500 Hz |
에어갭(앞바퀴) |
0.4 ~ 1.0 mm |
Typ. 0.7 mm |
에어갭(뒷바퀴) |
0.2 ~ 0.8 mm |
Typ. 0.5 mm |
출력듀티 |
30 ~ 70 % |
품목 |
항목 |
기준치 |
비고 |
HECU |
시스템 사양 |
솔레노이드 |
형식 |
ABS+EBD+TCS+VDC |
작동전압 |
8 ~ 16 V |
작동온도 |
-40 ~ 120 °C |
경고등 |
작동전압 |
12 V |
소비전류 |
80 mA |
액티브 휠 스피드 센서 |
공급전압 |
DC 4.5 ~ 20 V |
작동온도 |
-40 ~ 150 °C |
출력전류(LOW) |
5.9 ~ 8.4 mA |
출력파형:구형파 |
출력전류(HIGH) |
11.8 ~ 16.8 mA |
출력범위 |
1 ~ 2500 Hz |
에어갭(앞바퀴) |
0.4 ~ 1.0 mm |
Typ. 0.7 mm |
에어갭(뒷바퀴) |
0.2 ~ 0.8 mm |
Typ. 0.5 mm |
출력듀티 |
30 ~ 70 % |
스티어링 휠 조향각 센서 |
작동전압 |
8 ~ 16 V |
Typ. 12 V |
검출 최대각(좌측) |
Max. 780 ° |
검출 최대각(우측) |
Max. - 780 ° |
요레이트 & 횡가속도 센서 |
공급전압 |
8 ~ 16 V |
공급전류 |
최고 120 mA |
작동온도범위 |
-40 ~ 85 °C |
기준 출력전압 |
2.464 ~ 2.536 V |
Typ. 2.5 V |
상위 출력 신호 범위 |
4.35 ~ 4.65 V |
Typ. 4.5 V |
하위 출력 신호 범위 |
0.35 ~ 0.65 V |
Typ. 0.5 V |
요-레이트 측정 범위(좌회전) |
Min. 100 °/s |
요-레이트 측정 범위(우회전) |
Min. -100 °/s |
횡가속도 측정범위(좌회전) |
Min. -1.8 g |
횡가속도 측정범위(우회전) |
Min. 1.8 g |
항목 |
기준치 |
브레이크 페달 높이 (매트에서 측정. 보조매트 제외) |
174.3 mm |
브레이크 페달 행정 |
135 mm |
정지등 스위치 외측 케이스와 페달암 사이의 간극 |
1.0 ~ 2.0 mm |
브레이크 페달의 자유 유격 |
3 ~ 8 mm |
부스터 푸시로드와 마스터 실린더 피스톤 간극 |
0 mm(500 mmHg 진공시) |
주차 브레이크 레버 행정 |
7노치(20 kg로 당겼을 때) |
프론트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 두께 |
11 mm |
프론트 디스크 두께 |
26 mm |
리어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 두께 |
10 mm |
리어 디스크 두께 |
10 mm |
리어 파킹 브레이크 라이닝 두께 |
3.3 mm |
항목 |
규정치 |
kgf.m |
프로포셔닝 밸브와 마스터 실린더 체결 |
3.5 ~ 5.5 |
마스터 실린더와 부스터 장착 너트 |
0.8 ~ 1.2 |
브레이크 부스터 장착 너트 |
1.3 ~ 1.6 |
블리드 스크류 |
0.7 ~ 1.3 |
브레이크 튜브 플레어 너트, 브레이크 호스 |
1.4 ~ 1.7 |
캘리퍼 가이드 로드 볼트 |
2.2 ~ 3.2 |
캘리퍼 마운팅 체결 (프론트) |
8 ~ 10 |
캘리퍼 마운팅 페결 (리어) |
5 ~ 6 |
브레이크 호스와 프론트 캘리퍼 체결 |
2.5 ~ 3.0 |
브레이크 페달 멤버 어셈블리 브라켓 장착 너트 (카울측 상부마운팅) |
1.7 ~ 2.6 |
브레이크 페달 고정 너트 |
1.3 ~ 1.6 |
스톱 램프 스위치 장착 너트 |
0.8 ~ 1.0 |
휠 스피드 센서 마운팅 볼트 |
0.7 ~ 1.1 |
HECU 마운팅 브라켓 볼트 |
1.7 ~ 2.6 |
HECU 연결 포트 나사부 |
1.4 ~ 1.8 |
HECU 브라켓 장착 너트 |
0.6 ~ 1.0 |
요 레이트 센서 및 횡 가속도 센서 장착 볼트 |
0.51 ~ 0.81 |
윤활유 |
항 목 |
추 천 품 |
용량 |
브레이크 액 |
DOT 3 |
필요량 |
브레이크 페달 부싱 및 브레이크 페달 볼트 |
장수명 일반 그리스 - 샤시용 |
필요량 |
주차 브레이크 슈 및 백킹 플레이트 접촉면 |
내열성 그리스 |
필요량 |
캘리퍼 가이드 로드 및 부트 |
RX-2 그리스 |
1.2 ~ 1.7 g (리딩) 1.0 ~ 1.5 g (트레이닝) |
리어 캘리퍼 가이드 로드 및 부트 |
러버 그리스 |
0.8 ~ 1.3 g |
브레이크 시스템
개요
1. |
주행중 급제동시 차량중량의 이동으로 인하여 후륜이 전륜보다 선행 로크되어 차량의 스핀발생으로 인한 사고를 야기 시킬수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P-밸브 (Proportioning Valve)를 장착하여 후륜의 브레이크 압력을 전륜 대비 감소시켜 후륜의 선행 로크를 방지하였다. |
2. |
그러나 이는 모두 기계적인 장치로써 이상적인 리어 브레이크 압력 분배는 실현하지 못했다. |
3. |
특히 P-밸브는 중량 증가에 따른 제동력의 배분을 수행하지 못하여 제동력의 열세가 문제시 되어왔다. |
4. |
또한 브레이크 라이닝 및 패드의 마찰재 산포에 따라 각륜에서 발생되는 제동력의 차이가 발생되어 각륜에 따라 이상적으로 제동하기 위한 요구액압 배분곡선은 차이가 발생되지만 기계적인 P-밸브만 가지고는 일정한 액압 배분 곡선만 유지되어 이상적인 제동을 수행할 수 없었다. |
5. |
P-밸브의 고장시 운전자가 알 수 없으며, 고장중 급제동시 차체의 스핀이 발생될 수 있다. |
6. |
상기 사항들의 문제점 해소를 위하여 후륜이 전륜과 동일하거나 또는 늦게 로크되도록 ABS ECU가 제어하게 되는데 이를 EBD (Electronic Brake-force Distribution)제어라 한다. |
1. |
기존의 P-밸브 대신 ABS ECU에 Logic을 추가하여 리어 브레이크 제동력을 요구액압 배분곡선 (이상제동배분곡선)에 가깝게 근접 제어하는 원리이다. |
2. |
제동시 각각의 휠 스피드 센서로부터 슬립률을 연산하여 리어 슬립률을 프론트보다 항상 작거나 동일하게 리어 액압을 제어한다. |
3. |
따라서 리어 휠의 로크가 프론트 휠보다 선행되지 않는다. |
4. |
아래 그림의 감속 액압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a 부분만큼 리어 브레이크 액압을 크게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동력이 향상된다. |
5. |
또한 마찰재 산포에 따른 각 륜의 요구액압 배분곡선대로 브레이크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체 제동력의 향상이 실현된다. |
1. |
ABS 고장의 원인중 다음과 같은 사항에서도 EBD는 계속 제어되므로 ABS보다 고장율이 감소된다.
|
2. |
P-밸브는 고장시 운전자가 알 수 있는 경고 장치가 없어 운전자가 고장 여부를 알 수 없으며 만약 고장된 상태로 급제동시 차체의 스핀이 발생될 수 있으나 EBD 고장시에는 기존의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을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EBD 고장을 경고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 부스터 작동 점검
브레이크 부스터 간이 작동 점검은 다음 요령으로 한다.
진공 호스 (체크 밸브) 점검
페달 높이 조정
브레이크 스위치 간극
브레이크 스위치의 플런저가 완전히 가압될 때까지 나사를 조인다. (나사산의 끝(A)가 페달암의 패드(B)에 닿을때까지) 그런다음 스위치를 3/4바퀴 돌려빼서 나사산 끝과 패드의 간격이 1.0 ~ 2.0 mm가 되게한다. 로크너트를 완전히 조인다. 브레이크 스위치 커넥터를 연결한다.
페달을 놓았을때 브레이크등이 꺼지는지 확인한다.
페달 자유 유격
프론트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의 점검
캘리퍼 바디 점검 구멍을 이용해 브레이크 패드 두께를 점검한다.
리어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의 점검
브레이크 부스터
|
탈거 |
1. |
브레이크 부스터(B)에서 진공 호스(A)를 탈거한다.
|
2. |
마스터 실린더를 탈거한다.(BR - "마스터 실린더" 참조) |
3. |
클레비스 핀(B)과 스냅 핀(A)을 분리한다.
|
4. |
로크 너트(C)를 분리한 후 브레이크 부스터(A)를 분리한다.
|
장착 |
1. |
부스터의 푸시로드의 길이를 조정한 후 부스터 어셈블리에 씰을 장착한다.
|
2. |
브레이크 부스터를 장착 홀에 끼운 후 너트(C)를 체결한다.
|
3. |
클레비스 핀(B)으로 부스터 푸시로드와 브레이크 페달을 연결하고 스냅 핀(A)을 클레비스 핀(B)에 장착한다.
|
4. |
마스터 실린더를 장착하고, 브레이크 튜브를 마스터 실린더에 장착한다. |
5. |
브레이크 부스터에 진공 호스를 연결한다. |
6. |
리저버에 브레이크 액을 주입하고 공기빼기 작업을 실시한다. ('ABS 시스템 공기 빼기' 참고) |
7. |
브레이크 액 누유를 점검한다. |
8. |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점검하여 조정한다. |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구성 부품
탈거 |
1. |
에어 클리너 어셈블리(A)를 탈거한다.
|
2. |
브레이크 액 레벨 센서 커넥터(A)를 분리하고 리저버 캡(B)을 탈거한다.
|
3. |
세척기를 사용하여 리저브 탱크에서 브레이크 액을 빼낸다.
|
4. |
마스터 실린더에서 브레이크 튜브(A) 및 호스를 분리하고, 브레이크 액을 용기에 배출시킨 후 브레이크 튜브에 플러그를 장착한다.
|
5. |
마스터 실린더 마운팅 너트(A)와 와셔를 분리한 후, 마스터 실린더(B)를 분리한다.
|
장착 |
1. |
브레이크 부스터에 마스터 실린더(B)를 장착하고 와셔와 너트(A)를 체결한다.
|
2. |
마스터 실린더에서 브레이크 튜브(A) 와 호스를 장착한다.
|
3. |
브레이크 액 레벨 센서 커넥터(A)를 연결한다.
|
4. |
브레이크 리저브 탱크에 브레이크 액을 채운 후 공기 빼기 작업을 실시한다.(“일반 브레이크 공기빼기”,”ABS 시스템 공기 빼기” 참조) |
분해 |
1. |
리저버 캡을 분리하고, 브레이크 액을 적당한 용기에 배출시킨다. |
2. |
체결 스크류(A)를 분리후 마스터 실린더(B)에서 리저버(C)를 분리한다.
|
3. |
프로포셔닝 밸브(A)를 분리한다.(일반 브레이크일 경우)
|
4. |
스냅링 플라이어로 리테이너 링(A)을 분리한다. |
5. |
1차 피스톤 어셈블리(B)를 분리한다. |
6. |
스크류 드라이버로 2차 피스톤(C)을 밀면서 핀(D)을 분리한다. 2차 피스톤 어셈블리를 분리한다.
|
점검 |
1. |
실린더 내경의 녹이나 흠집을 점검한다. |
2. |
마스터 실린더의 마모나 손상을 점검하여 필요시에는 실린더를 세척 또는 교환한다.
|
조립 |
1. |
순정 브레이크액을 실린더 키트의 고무부품 및 그로메트에 도포한다. |
2. |
스프링과 피스톤을 방향에 맞게 넣는다. |
3. |
스크류 드라이버로 2차 피스톤(C)을 밀면서 실린더 핀(D)을 장착한다.
|
4. |
1차 피스톤(B)을 장착한 후, 리테이너 링(A)을 장착한다. |
5. |
프로포셔닝 밸브(A)를 장착한다.(일반 브레이크)
|
6. |
2개의 그로메트(D)를 장착한다. |
7. |
실린더(B)에 리저버(C)를 장착한후 체결 스크류(A)를 체결한다.
|
기능 |
프로포셔닝 밸브는 후륜의 조기 잠김으로 인해 브레이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서비스
브레이크 작동 범위내에서 더 높은 제동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전륜과 후륜에 이상적인 유압의
분배를 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의 성능은 스프링의 고정 장력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분해해서는 안된다.
점검 |
1. |
마스터 실린더(A)에서 브레이크 라인(프런트(B), 리어(C) 각 1곳)을 분리한다. |
2. |
2개의 압력 게이지(D)를 프로포셔닝 밸브의 출력측(C)과 마스터 실린더 프런트 출력측(B)에 각각 연결한다.
|
3. |
브레이크를 밟고서 프로포셔닝 및 마스터 실린더 출력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이 규정 범위 내에 있으면 프로포셔닝 밸브는 양호한 것이다. |
4. |
브레이크 라인을 원래의 위치에 연결하고 공기 빼기 작업을 실시한다.
|
브레이크 라인
구성부품
탈거 |
1. |
브레이크 호스측(A)에서 너트를 잡고 플레어 너트 렌치(B)를 사용하여 브레이크 튜브(C)의 플레어 너트를 푼다. |
2. |
브레이크 호스 클립(A)을 빼고 브레이크 튜브로부터 브레이크 호스(B)를 분리한다. |
3. |
브레이크 호스에 장착된 브라켓 마운팅 볼트를 풀고 차체로부터 브레이크 호스를 탈거한다. |
4. |
캘리퍼에 장착된 브레이크 호스 볼트(A)를 풀고 브레이크 호스(B)를 탈거한다.
|
장착 |
1. |
캘리퍼에서 브레이크 호스 볼트(A) 및 와셔를 체결하여 브레이크 호스(B)를 장착한다.
|
2. |
브레이크 호스의 구멍을 연결한 후 플레어 너트 렌치(B)를 사용하여 브레이크 호스(A)를 장착한다.
|
3. |
브레이크 호스 클립(A)을 체결한다.
|
4. |
브레이크 호스를 장착한 후에 브레이크 라인 공기 빼기 작업을 실시한다.
|
공기빼기 작업 |
일반 브레이크 |
|
1. |
리저버의 브레이크액 레벨이 MAX(맨위) 레벨라인에 있는지 확인한다. |
2. |
조수에게 브레이크 페달을 수차례 천천히 밟았다 뗐다를 반복하게 한 뒤 일정하게 압력을 가한다. |
3. |
시스템에서 공기를 빼기 위해 우측 리어 브레이크 블리드 스크류를 푼다. 그런 다음, 블리드 스크류를 단단히 조인다.
|
4. |
공기 거품이 오일에 더 이상 생기지 않을 때까지 아래의 순서대로 각 브레이크에 절차를 반복한다. |
5. |
마스터 실린더 리저버를 MAX(맨위) 레벨 라인까지 채운다.
|
앞바퀴 디스크 브레이크: |
뒷바퀴 디스크 브레이크 : |
브레이크페달
구성부품(일반 브레이크 페달) |
탈거 |
1. |
운전석 측 로워 크래시 패드를 분리한다.(BD 그룹 - "크래쉬 패드" 참조) |
2. |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 장착 볼트 4개를 풀고 샤프트를 아래로 내린다.(ST 그룹 - "스티어링 컬럼 샤프트" 참조) |
3. |
정지등 스위치(A)의 커넥터를 분리한다.
|
4. |
클레비스 핀과 스냅 핀을 탈거한다. |
5. |
장착 너트를 분리하여 브레이크 페달 어셈블리를 탈거한다. |
장착 |
1. |
장착은 탈거의 역순으로 한다.
|
2. |
클레비스 핀에 규정된 그리스를 도포한 후 스냅핀을체결한다.
|
3. |
브레이크 페달높이와 자유유격을 조정한다. |
4. |
정지등 스위치를 장착한다. |
점검 |
1. |
부싱의 마모를 점검한다. |
2. |
브레이크 페달의 비틀림을 점검한다. |
3. |
각부의 균열 및 이상, 마모를 점검한다. |
4. |
정지등 스위치를 점검한다.
|
프론트 디스크 브레이크
부품위치 |
구성부품 |
탈거 |
1. |
캘리퍼 어셈블리(A)에서 브레이크 호스 볼트(B)와 가이드 로드 볼트(C)를 탈거한다.
|
2. |
캘리퍼 어셈블리(A)를 탈거한다.
|
3. |
캘리퍼 브라켓(A)에서 패드 어셈블리(B), 패드 심(C) 및 패드 리테이너(D)를 탈거한다.
|
4. |
캘리퍼 마운팅 볼트(A)를 탈거하고, 캘리퍼 브라켓(B)를 탈거한다.
|
5. |
고정나사(B)를 탈거 후 브레이크 디스크(A)를 탈거한다.
|
교환 |
1. |
가이드 로드 볼트(B)를 탈거하고 캘리퍼 어셈블리(A)를 들어올린 후 철사로 지지한다.
|
2. |
캘리퍼 브라켓(A)에서 패드 어셈블리(B), 패드 심(C) 및 패드 리테이너(D)를 탈거한다.
|
장착 |
1. |
브레이크 디스크(A)를 장착한후 고정나사(B)를 체결한다.
|
2. |
캘리퍼 브라켓(B)를 장착한후 캘리퍼 마운팅 볼트(A)를 체결한다.
|
3. |
캘리퍼 브라켓(A)에 패드 리테이너(D), 패드 어셈블리(B) 및 패드 심(C)을 장착한다.
|
4. |
특수공구 (09581-11000) 또는 유사공구를 사용하여 피스톤을 압입한다.
|
5. |
캘리퍼 어셈블리(A)를 장착한다.
|
6. |
캘리퍼 어셈블리(A)에 브레이크 호스 볼트(B)와 가이드 로드 볼트(C)를 체결한다.
|
7. |
브레이크 리저버에 브레이크 액을 채운다. |
8. |
장착 후 공기 빼기를 한다.( '일반 브레이크 공기빼기' , 'ABS 시스템 공기 빼기' 참조) |
점검 |
1. |
브레이크 디스크 표면의 녹과 오염을 제거하고 브레이크 디스크 외경 5mm 위치에서 동일 원주상의 8부분 이상에서 디스크 두께를 측정한다.
|
2. |
두께 측정치의 차이는 어떤 위치에서든지 0.005 mm(원주방향), 0.01 mm(반경방향)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
3. |
한계치 이상으로 마모되었으면 차량 좌우의 디스크 및 패드 어셈블리를 교환한다. |
1. |
마모부의 두께를 측정하여 한계치 이하일 때는 패드 어셈블리를 교환한다.
|
2. |
패드의 손상, 그리스의 접착, 백킹 메탈의 손상을 점검한다. |
1. |
브레이크 디스크 외경 5 mm위치에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하고 디스크의 런 아웃을 측정한다.
|
2. |
브레이크 디스크의 런 아웃이 한계치 이상이 되면 디스크를 교환하여 런 아웃을 재측정한다. |
3. |
런 아웃이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브레이크 디스크를 돌려가며 장착하여 런 아웃을 재점검한다. |
4. |
브레이크 디스크 위치를 변화시켜도 런 아웃이 교정되지 않으면 디스크를 교환한다. |
부품위치 |
구성부품 |
탈거 |
1. |
캘리퍼 어셈블리(A)에서 브레이크 호스 볼트(B)와 가이드 로드 볼트(C)를 탈거한다.
|
2. |
캘리퍼 어셈블리(A)를 탈거한다.
|
3. |
캘리퍼 브라켓(A)에서 패드 어셈블리(B), 패드 심(C) 및 패드 리테이너(D)를 탈거한다.
|
4. |
리어 어퍼암(A)을 탈거한다.
|
5. |
캘리퍼 마운팅 볼트(A)를 탈거하고, 캘리퍼 브라켓(B)를 탈거한다.
|
6. |
고정나사(B)를 풀고 브레이크 디스크(A)를 탈거한다.
|
교환 |
1. |
가이드 로드 볼트(B)를 탈거하고 캘리퍼 어셈블리(A)를 들어올린 후 철사로 지지한다.
|
2. |
캘리퍼 브라켓(A)에서 패드 어셈블리(B), 패드 심(C) 및 패드 리테이너(D)를 탈거한다.
|
장착 |
1. |
브레이크 디스크(A)를 장착한후 고정나사(B)를 체결한다.
|
2. |
캘리퍼 브라켓(B)를 장착한후 캘리퍼 마운팅 볼트(A)를 체결한다.
|
3. |
리어 어퍼암(A)을 장착한다.
|
4. |
캘리퍼 브라켓(A)에 패드 리테이너(D), 패드 어셈블리(B) 및 패드 심(C)을 장착한다.
|
5. |
특수공구 (09581-11000) 또는 유사공구를 사용하여 피스톤을 압입한다.
|
6. |
캘리퍼 어셈블리(A)를 장착한다.
|
7. |
캘리퍼 어셈블리(A)에 브레이크 호스 볼트(B)와 가이드 로드 볼트(C)를 체결한다.
|
8. |
브레이크 리저버에 브레이크 액을 채운다. |
9. |
장착 후 공기 빼기를 한다.( '일반 브레이크 공기빼기' , 'ABS 시스템 공기 빼기' 참조) |
점검 |
1. |
브레이크 디스크 표면의 녹과 오염을 제거하고 브레이크 디스크 외경 5mm 위치에서 동일 원주상의 8부분 이상에서 디스크 두께를 측정한다.
|
2. |
두께 측정치의 차이는 어떤 위치에서든지 0.01 mm(원주방향), 0.015 mm(반경방향)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
3. |
한계치 이상으로 마모되었으면 차량 좌우의 디스크 및 패드 어셈블리를 교환한다. |
1. |
마모부의 두께를 측정하여 한계치 이하일 때는 패드 어셈블리를 교환한다.
|
2. |
패드의 손상, 그리스의 접착, 백킹 메탈의 손상을 점검한다. |
1. |
브레이크 디스크 외경 5 mm 위치에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하고 디스크의 런 아웃을 측정한다.
|
2. |
브레이크 디스크의 런 아웃이 한계치 이상이 되면 디스크를 교환하여 런 아웃을 재측정한다. |
3. |
런 아웃이 한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브레이크 디스크를 돌려가며 장착하여 런 아웃을 재점검한다. |
4. |
브레이크 디스크 위치를 변화시켜도 런 아웃이 교정되지 않으면 디스크를 교환 |
구성부품 |
탈거 |
1.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
2. |
뒷 바퀴를 탈거한다. |
3. |
리어 브레이크 드럼(A)을 탈거한다.
|
4. |
슈 홀드 스프링과 슈 홀드 핀(B)을 분리한다. |
5. |
상부 슈 리턴 스프링(A)을 분리한다.
|
6. |
브레이크 슈(A)를 내린 후 하부 슈 리턴 스프링(B)을 분리한다.
|
7. |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A)을 탈거한다.
|
8. |
브레이크 슈를 분리한다. |
9. |
휠 실린더(B)에서 브레이크 튜브(A)를 분리시킨다. |
10. |
백킹 플레이트(D)로부터 볼트(C)와 휠 실린더(B)를 분리한다.
|
장착 |
1. |
휠 실린더(A)와 백킹 플레이트(B) 사이에 실런트(C)를 도포한 후 휠 실린더를 장착한다.
|
2. |
휠 실린더에 브레이크 튜브(D)를 장착한다. |
3. |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A)을 연결한다.
|
4. |
어져스터 슬리브(A)의 나사부위를 깨끗이 청소한 후 로드(B)를 밀어 넣는다. 어져스터의 나사부위에 그리스를 도포한다. 어져스터 볼트(C)를 돌려 길이를 줄인다.
|
5. |
슈 어져스터 레버(A)를 건 후 브레이크 슈에 장착한다.
|
6. |
어져스터(B)와 어퍼 리턴 스프링(C)을 방향을 확인하여 장착한다. 휠 실린더 더스트 커버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7. |
하부 슈 리턴 스프링(D)을 장착한다. |
8. |
그림과 같이 슬라이딩 부위에 브레이크 실린더 그리스 또는 러버 그리스를 도포한다. 브레이크 라이닝에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
9. |
그림과 같이 브레이크 슈 엔드와 백킹 플레이트와 접촉 부위에 브레이크 실린더 그리스 또는 러버 그리스를 도포한다. 브레이크 라이닝에 묻지 않도록 주의한다.
|
10. |
백킹 플레이트에 브레이크 슈(A)를 장착한다. |
11. |
슈 홀 다운 핀과, 슈 홀 다운 스프링(B)을 장착한다.
|
12. |
브레이크 드럼(A)을 장착한다.
|
13. |
브레이크 액을 보충한 후 공기빼기를 행한다. |
14. |
브레이크 페달을 수 차례 밟아서 브레이크가 자동 조절되도록 한다. |
15. |
주차 브레이크를 조정한다. |
점검 |
1. |
주차 브레이크를 푼 후 리어 브레이크 드럼을 분리한다. |
2. |
휠 실린더(A)의 누유를 점검한다. |
3. |
브레이크 라이닝(B)의 마모, 오염 및 손상을 점검한다. |
4. |
브레이크 라이닝 두께(C)를 측정하여 한계치 이하일 때는 라이닝 어셈블리를 교환한다.
|
5. |
허브내 베어링이 부드럽게 작동하는지 점검한다. 필요하다면 교환한다. |
6. |
브레이크 드럼의 내경을 측정하고 다이얼 인디케이터로 브레이크 드럼의 진원도를 점검한다. 한계치 이상일 때는 드럼을 교환한다.
|
7. |
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의 접촉상태가 적절한가를 점검한다.
|
8. |
휠 실린더 외측의 과도한 마모 및 손상을 점검한다. |
9. |
백킹 플레이트의 마모와 손상을 검사한다. |
주차브레이크 어셈블리
부품위치 |
구성부품 |
디스크 브레이크 형식 |
드럼 브레이크 형식 |
탈거 |
1. |
플로어 콘솔을 탈거한다. (참고 BD -"플로어 콘솔") |
2. |
조정 너트(A)를 풀고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을 분리한다.
|
3. |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커넥터(A)를 분리한다.
|
4. |
장착 볼트 4개를 풀고 주차 브레이크 레버 어셈블리(A)를 탈거한다.
|
1. |
차량을 리프트로 들어 올린 후, 차량이 안전하게 지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
2. |
뒷 바퀴를 제거하고, 브레이크 캘리퍼를 탈거한다. ("리어 디스크 브레이크 탈거" 참조) |
3. |
고정 클립(A)를 탈거한 후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B)를 탈거한다.
|
4. |
스프링을 누른후 회전하여 슈우 홀드 다운핀(A)과 스프링(B)를 탈거한다.
|
5. |
로어 리턴 스프링 (A)와 어져스터 어셈블리 (B)를 탈거한다.
|
6. |
어퍼 리턴 스프링 (C)와 브레이크 슈 (D)를 탈거한다. |
7. |
작동 레버 어셈블리(E)를 탈거한다. |
1. |
차량을 리프트로 들어 올린 후, 차량이 안전하게 지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
2. |
뒷 바퀴를 제거하고, 브레이크 드럼(A)을 탈거한다.
|
3. |
브레이크 슈(A)를 탈거한다.
("리어 드럼 브레이크 탈거" 참조)
|
장착 |
1. |
작동 레버 어셈블리(E)를 장착한다.
|
2. |
브레이크 슈(D)와 어퍼 리턴 스프링 (C)을 장착한다. |
3. |
어져스터 어셈블리(B)와 로어 리턴 스프링(A)을 장착한다. |
4. |
스프링을 누른후 회전하여 슈우 홀드 다운핀(A)과 스프링(B)를 장착한다.
|
5. |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B)을 장착한 후 고정 클립(A)를 장착한다.
|
6. |
뒷 바퀴 디스크를 장착 후 슈우 간극 조정을 한다.
|
7. |
브레이크 캘리퍼를 장착한다. ("리어 디스크 브레이크 장착" 참조) |
8. |
타이어를 장착한다. |
9. |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조정한다. |
10. |
주차 브레이크 슈우나 브레이크 디스크를 신품으로 교환하였을 경우 브레이크 슈우 베드-인 절차를 수행한다.
|
1. |
브레이크 슈(A)를 장착한다.
("리어 드럼 브레이크 장착" 참조)
|
2. |
브레이크 드럼(A)을 장착한다.
|
3. |
브레이크 페달을 수 차례 밟아서 브레이크가 자동 조절되도록 한다. |
4. |
주차브레이크 레버를 조정한다. |
1. |
주차 브레이크 레버 어셈블리(A)를 장착후 장착 볼트 4개를 체결한다.
|
2. |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섭동부(A)에 규정된 그리스를 도포한다.
|
3. |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어저스터 장착후 조정 너트(A)를 이용하여 주차 브레이크 레버 행정을 조정한다.
|
4. |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완전히 풀고, 뒷바퀴가 돌때 주차 브레이크가 끌리지 않는지 점검한다. 필요시 재조정한다. |
5. |
주차 브레이크 레버가 완전히 당겨질 때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잠겨야 한다. |
6. |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커넥터(A)를 연결한다.
|
7. |
플로어 콘솔을 장착한다. (참고 BD -"플로어 콘솔") |
조정 |
1. |
차량의 후미를 들어올린 후, 차량이 안전한지 확인한다. |
2. |
뒷 바퀴를 분리한다. |
3. |
디스크에 장착되어 있는 플러그를 탈거한다. |
4. |
(-)스크류 드라이버(A)로 디스크가 안 움직일 때 까지 어져스터 어셈블리의 톱니를 돌린다. 그이후 반대방향으로 5노치 만큼 톱니바퀴를 돌린다.
|
1. |
엔진 시동을 건후 브레이크 페달을 수 차례 밟아서 브레이크가 자동 조절되도록 한다.
|
1. |
차량의 후미를 들어올린 후, 차량이 안전한지 확인한다. |
2. |
플로어 콘솔을 탈거한다. (참고 BD -"플로어 콘솔") |
3. |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어저스터의 조정 너트(A)를 이용하여 주차 브레이크 레버 행정을 조정한다.
|
4. |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완전히 풀고, 뒷바퀴가 돌때 주차 브레이크가 끌리지 않는지 점검한다. 필요시 재조정한다. |
5. |
주차 브레이크 레버가 완전히 당겨질 때 주차 브레이크가 완전히 잠겨야 한다. |
6. |
플로어 콘솔을 장착한다. (참고 BD -"플로어 콘솔") |
ABS 회로도(1) |
ABS 회로도(2) |
ABS ECU 커넥터 입출력 |
단자번호 |
명칭 |
전류 |
비고 |
최대 |
최소 |
|
1 |
재순환 펌프위한 접지 |
20~39 A |
10 A |
|
2 |
펌프 모터 공급 전압 |
20~39 A |
10 A |
|
3 |
솔레노이드 밸브 공급 전압 |
5~15 A |
2 A |
|
4 |
솔레노이드 밸브 ,ECU 접지 |
5~15 A |
2.5 A |
|
5 |
휠스피드 센서 신호(좌측 앞) |
16 mA |
6 mA |
|
6 |
휠 스피드 센서 공급전압(좌측 뒤) |
16 mA |
6 mA |
|
7 |
|
|
|
|
8 |
휠 스피드 센서 공급전압(우측 뒤) |
16 mA |
6 mA |
|
9 |
휠 스피드 센서 공급전압(우측 앞) |
16 mA |
6 mA |
|
10 |
휠스피드 센서 신호(우측 앞) |
16 mA |
6 mA |
|
11 |
고장진단 단자 |
6 mA |
3 mA |
|
12 |
EBD 경고등 출력 단자 |
30 mA |
5 mA |
|
13 |
|
14 |
|
15 |
CAN LOW |
30 mA |
20 mA |
|
16 |
휠 스피드 센서 공급전압(좌측 앞) |
16 mA |
6 mA |
|
17 |
휠스피드 센서 신호(좌측 뒤) |
16 mA |
6 mA |
|
18 |
HECU 전압 |
1 A |
500 mA |
|
19 |
휠스피드 센서 신호(우측 뒤) |
16 mA |
6 mA |
|
20 |
브레이크 등 스위치 |
10 mA |
5 mA |
|
22 |
ABS경고등 출력 단자 |
30 mA |
5 mA |
|
25 |
|
|
|
|
26 |
CAN HIGH |
30 mA |
20 mA |
|
커넥터 단자 |
규정치 |
조건 |
번호 |
명칭 |
1 |
재순환 펌프위한 접지 |
전류 범위 : 최소 -10 A 최대-20 ~ 39 A |
항상 |
4 |
밸브, ECU 접지 |
전류 범위 : 최소-2.5 A 최대-5 ~ 15 A |
항상 |
2 |
펌프모터 공급 전압 |
배터리 전압 |
항상 |
3 |
밸브 공급 전압 |
16 |
좌측앞 휠센서 전압 |
배터리 전압 |
IG on시 |
9 |
우측앞 휠센서 전압 |
6 |
좌측뒤 휠센서 전압 |
8 |
우측뒤 휠센서전압 |
5 |
좌측앞 휠센서 신호 |
전압(High) : 0.89 ~ 1.26 V 전압(Low) : 0.44 ~ 0.63 V |
주행시 |
10 |
우측앞 휠센서 신호 |
17 |
좌측뒤 휠센서 신호 |
19 |
우측뒤 휠센서 신호 |
11 |
고장진단 단자 |
전압(High) : 0.8 * IG on 전압 이상 전압(Low) : 0.2 * IG on 전압 이하 |
HI-SCAN 통신시 |
18 |
HECU 전압 |
배터리 전압 |
KEY on/OFF |
20 |
브레이크 등 스위치 |
전압(High) : 4.5 * IG on 전압 이상 전압(Low) : 2 * IG on 전압 이하 |
BRAKE on/OFF |
번호 |
한글 DISPLAY(Hi-DS Scanner) |
구동 조건 |
1 |
모터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2 |
앞좌측 밸브(INLET)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3 |
앞우측 밸브(INLET)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4 |
뒤좌측 밸브(INLET)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5 |
뒤우측 밸브(INLET)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6 |
앞좌측 밸브(OUTLET)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7 |
앞우측 밸브(OUTLET)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8 |
뒤좌측 밸브(OUTLET)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9 |
뒤우측 밸브(OUTLET) |
IGN on/ENG OFF/강제구동/2초 |
번호 |
명칭 |
약어 |
단 위 |
비고 |
1 |
차속센서 |
VEH. SPD |
Km/h |
|
2 |
배터리전압 |
BATT. VOL |
V |
|
3 |
앞좌측 휠속도센서 |
FL WHEEL |
Km/h |
|
4 |
앞우측 휠속도센서 |
FR WHEEL |
Km/h |
|
5 |
뒤좌측 휠속도센서 |
RL WHEEL |
Km/h |
|
6 |
뒤우측 휠속도센서 |
RR WHEEL |
Km/h |
|
7 |
ABS 경고등 |
ABS LAMP |
|
|
8 |
EBD 경고등 |
EBD LAMP |
- |
|
9 |
브레이크 점등 스위치 |
B/LAMP |
- |
|
10 |
펌프릴레이 상태 |
PUMP RLY |
- |
|
11 |
밸브릴레이 상태 |
VALVE RLY |
- |
|
12 |
모터 |
MOTOR |
- |
|
13 |
앞좌측 밸브(IN) |
FL INLET |
- |
|
14 |
앞우측 밸브(IN) |
FR INLET |
- |
|
15 |
뒤좌측 밸브(IN) |
RL INLET |
- |
|
16 |
뒤우측 밸브(IN) |
RR INLET |
- |
|
17 |
앞좌측 밸브(OUT) |
FL OUTLET |
- |
|
18 |
앞우측 밸브(OUT) |
FR OUTLET |
- |
|
19 |
뒤좌측 밸브(OUT) |
RL OUTLET |
- |
|
20 |
뒤우측 밸브(OUT) |
RR OUTLET |
- |
|
개요 |
1. |
ABS 경고등
ABS 경고등 모듈은 ABS 기능의 자가진단 및 고장상태를 표시한다.
ABS 경고등은 다음의 경우에 점등된다.
|
2. |
EBD (Electronic Brake-force Distribution) 경고등 / 주차브레이크 경고등
EBD 경고등 모듈은 EBD 기능의 자가진단 및 고장상태를 표시한다. 단, 주차브레이크 스위치가 on일 경우에는 EBD 기능과는 상관없이 항상 점등된다.
EBD 경고등은 다음의 경우 점등된다.
|
ABS 시스템 작동원리 |
1. |
ABS 비작동시 (일반 제동)
ABS가 장착된 차량에서 바퀴의 잠김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브레이크 압력을 가하게 되면,마스터 실린더 에서 발생된 압력은 인렛 솔레노이드 밸브(EV)를 통해서 각 바퀴의 휠 실린더로 전달되어 제동작용을 일으킨다. 더 이상 제동이 필요 없을 때에는 운전자가 마스터 실린더를 누르고 있었던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을 감소시키면 각 바퀴의 휠 실린더에 있었던 브레이크 오일이 마스터 실린더로 복귀되면서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약어
EV : 인렛밸브
AV : 아웃렛 밸브
LR : 좌측 뒷 바퀴
RF : 우측 앞 바퀴
LF : 좌측 앞 바퀴
RR : 우측 뒷 바퀴
PE : 펌프 모터 |
2. |
ABS 감압모드
ABS가 장착된 차량에서 바퀴의 잠김 현상이 발생할 정도로 브레이크 압력을 가하게 되면,차량의 바퀴는 차량 속도에 비해 급격하게 속도가 감소하게 되고 결국은 바퀴의 잠김 현상이 발생하려 한다. 이런 상태에 이르면 ECU에서는 HCU로 차량 바퀴의 압력을 감소시키려는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즉, 인렛 솔레노이드 밸브(EV)는 유로를 차단시키고, 아웃렛 솔레노이드 밸브(AV)의 유로는 열어서 휠 실린더의 압력을 낮춘다. 이때 휠 실린더에서 방출된 브레이크 오일은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작동되는 펌프 토출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약어
EV : 인렛밸브
AV : 아웃렛 밸브
LR : 좌측 뒷 바퀴
RF : 우측 앞 바퀴
LF : 좌측 앞 바퀴
RR : 우측 뒷 바퀴
PE : 펌프 모터
|
3. |
ABS 압력 유지 모드
감압 및 증압을 통하여 휠 실린더에 적정 압력이 작용 할 때에는 인렛 및 아웃렛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아 휠 실린더의 압력을 유지한다.
*약어
EV : 인렛밸브
AV : 아웃렛 밸브
LR : 좌측 뒷 바퀴
RF : 우측 앞 바퀴
LF : 좌측 앞 바퀴
RR : 우측 뒷 바퀴
PE : 펌프 모터
|
ABS 증압모드
감압 작동을 실시 했을 때 너무 많은 브레이크 오일을 제거하거나 차량의 바퀴와 노면 사이의 마찰 계수가증가하게되면 차량의 각 바퀴의 압력을 증가 시켜야 한다. 이런 상태에서 ECU는 HCU로 차량바퀴의 압력을증가 시키려는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즉, 인렛 솔레노이드 밸브(EV)는 유로를 열고 아웃렛 밸브(AV)는 유로를 닫아서 휠 실린더의 압력을 증가 시킨다. 브레이크 오일은 마스터 실린더 및 인렛 솔레노이드 밸브(EV)를 거쳐 바퀴의 휠 실린더로 공급한다.
*약어
EV : 인렛밸브
AV : 아웃렛 밸브
LR : 좌측 뒷 바퀴
RF : 우측 앞 바퀴
LF : 좌측 앞 바퀴
RR : 우측 뒷 바퀴
PE : 펌프 모터
|
구성부품 |
고장진단 |
고장진단의 표준 절차 |
현 상 |
현상 설명 | ||||
시스템 점검 소리 |
시동을 걸 때, 가끔씩 엔진 내부에서 '쿵' 하는 큰 소리가 들릴 때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시스템 작동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뜻이므로 고장이 아니다. | ||||
ABS 작동 소리 |
| ||||
ABS 작동 (긴 제동거리) |
눈길이나 자갈길과 같은 노면에서 ABS 장착차량이 다른 차량보다 제동거리가 가끔 길게 될 수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노면에서는 차속을 줄이고 ABS 장치를 너무 과신하지 말고 안전운행을 하도록 권고한다. |
1. |
점검 방법
IGN OFF 상태에서 IGN on : ABS/BRAKE 경고등 및 VDC OFF등이 (VDC 장착시) 점등 되었다가 3초 후 소등되면, 경고등과 ABS 시스템 모두 정상이다.
|
2. |
경고등과 ABS시스템이 모두 정상이라 하더라도, 하이스캔을 사용하여 기억되어 있는 고장코드를 모두 소거한다.(기억된 고장코드가 있을 경우는 고장코드를 기록하여 둔다.)
|
1. |
시동키를 OFF로 한다. |
2. |
로우 크래쉬 패드 패널 밑쪽에 있는 자기진단 점검 커넥터에 하이스캔을 연결한다. |
3. |
시동키를 on으로 한다. |
4. |
하이스캔을 이용해 고장 코드를 점검한다. |
5. |
문제가 정비되었거나 정정된 후, 시동 스위치를 돌린다. 그리고 나서 클리어 키를 사용해 저장된 고장 코드를 소거한다. |
6. |
하이스캔을 분리한다.
|
고장 현상 |
가능한 원인 | ||||||
ABS가 작동되지 않는다. |
아래 사항이 모두 정상인데도 여전히 문제가 발생하면 ABS HECU를 교환한다.
| ||||||
ABS가 간헐적으로 작동되지 않는다. |
아래 사항이 모두 정상인데도 여전히 문제가 발생하면 ABS HECU를 교환한다.
| ||||||
하이스캔과 모든 시스템과의 통신단절 |
| ||||||
하이스캔과 ABS만 통신단절 |
| ||||||
점화스위치ON (시동 OFF)시 ABS경고등이 점등되지 않는다. |
| ||||||
엔진 시동시 ABS경고등이 on상태로 유지된다. |
|
ABS 작동 동안, 브레이크 페달이 많이 떨리는 경우나 밟기 힘들 때가 있다.
이것은 휠이 록킹되지 않도록 브레이크 내부에서 유압의 간헐적인 변화나 멈춤이 있기 때문이므로 고장이 아니다. |
고장 현상 |
가능한 원인 | ||||||
브레이크 작동은 주행조건 또는 노면상태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고장진단이 쉽지가 않다. 그러나 만약 가능한 고장원인이 모두 정상인데도 여전히 문제가 발생한다면 ABS HECU를 교환한다. |
|
1. |
하이스캔을 16핀 자기진단 커넥터에 연결한 후 점화스위치를 on 한다. |
2. |
고장코드가 표출되는지 점검한다.
고장코드가 표출됩니까?
▶ 전원 공급회로 점검을 실시한다.
▶ 고장코드별 점검 내용을 참조하여 관련 고장코드 내용을 수리한다. |
1. |
ABS HECU로부터 26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
2. |
점화스위치를 on 한후 HECU 커넥터 하니스측 단자 18번과 접지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측정값이 정상입니까?
▶ 접지회로 점검을 실시한다.
▶ 엔진 룸 정션박스에서 ABS 휴즈(10A)를 점검하고 HECU 커넥터 사이의 전원 공급회로를 점검한다.
|
1. |
ABS HECU로부터 26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
2. |
HECU 커넥터 하니스측 단자 1번, 4번과 접지(G12) 사이의 통전을 점검한다.
접지회로의 연속성이 있습니까?
▶ 휠스피드 센서 회로 점검을 실시한다.
▶ 접지(G12) 및 하니스를 수리한다.
|
고장 현상 |
가능한 원인 | ||||||
브레이크 작동은 주행조건 또는 노면상태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고장진단이 쉽지가 않다. 그러나 만약 가능한 고장원인이 모두 정상인데도 여전히 문제가 발생한다면 ABS HECU를 교환한다. |
|
1. |
하이스캔을 16핀 자기진단 커넥터에 연결한 후 점화스위치를 on 한다. |
2. |
고장코드가 표출되는지 점검한다.
고장코드가 표출됩니까?
▶ 휠스피드 센서 회로 점검을 실시한다.
▶ 고장코드별 점검 내용을 참조하여 관련 고장코드 내용을 수리한다. |
1. |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정지등이 켜지고 밟지 않았을 때 정지등이 꺼지는지 점검한다. |
2. |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HECU 커넥터 하니스측 단자 20번과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측정값이 정상입니까?
▶ 유압라인 점검을 실시한다.
▶ 정지등 스위치 교환 또는 정지등 스위치 회로를 수리한다.
|
고장 현상 |
가능한 원인 | ||||
자기진단 라인의 전원공급 시스템(접지도 포함해서)의 문제로 하이스캔과 모든 시스템과의 통신이 되지 않는다. |
|
규정값 : 배터리 전압(B+)
|
고장 현상 |
가능한 원인 | ||||
ABS자기진단 라인의 문제 또는 HECU 전원공급 시스템의 문제로 하이스캔과 ABS시스템과의 통신이 되지 않는다. |
|
1. |
ABS HECU 커넥터를 분리한다. |
2. |
점화스위치를 on한 후, HECU 커넥터 하니스측 단자 18번과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측정값이 정상입니까?
▶ 접지회로 점검을 실시한다.
▶ 엔진룸 정션박스에서 ABS 휴즈(10A) 점검 및 HECU커넥터 사이의 회로를 수리한다.
|
고장 현상 |
가능한 원인 | ||||||||
점화스위치 on시에 ABS경고등은 초기 점검으로 약 3초간 점등되며 자기진단하여 이상이 없을 시에 소등된다. 그리고 만약 시스템 이상 발생시 또는 자기진단시에 또는 HECU커넥터탈거시에 항상 점등된다. |
|
1. |
계기판 커넥터(M01-8)를 분리한 후 점화스위치를 on한다. |
2. |
계기판 하니스측 커넥터(M01-8) 3번 단자와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측정값이 정상입니까?
▶ 휴즈 소손 점검을 실시한다.
▶ ABS 경고등 전구교환 또는 계기판 어셈블리를 수리한다.
|
고장 현상 |
가능한 원인 | ||||
점화스위치 on시에 ABS경고등은 초기 점검으로 약 3초간 점등되며 자기진단하여 이상이 없을 시에는 소등되어야 한다. 그런데 시스템에 이상이 없는데도 엔진 시동 후 ABS 경고등이 계속 점등된다면 다음의 가능한 원인을 점검하도록 한다. |
|
1. |
운전석 크래쉬패드 하부에서 16핀 자기진단 커넥터에 하이스캔을 연결한다. |
2. |
하이스캔에 고장코드가 표출되는지 확인한다.
고장코드가 표출됩니까?
▶ ABS 경고등 회로 점검을 실시한다.
▶ 고장코드별 점검내용을 참조하여 관련 고장코드 내용을 수리한다. |
HECU 하니스측 커넥터를 탈거한 후 하니스측 커넥터 단자 22번과 경고등 구동 모듈 사이의 통전을
점검한다.
에어 블리딩 작업은 ABS 장착 차량에서 유압 계통의 교환 수리작업 후에는 반드시 실시되어야 하며
, 회로내에 공기가 잔존하게 되면 제동 성능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주의깊게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1. |
마스터 실린더 리저버에 브레이크 액을 연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장치를 연결하거나 작업중 리저버가 항상 충만 되도록 브레이크 액을 공급한다.
|
2. |
크래쉬 패드 아래쪽에 있는 자기진단 커넥터에 하이스캔을 연결한 후 키를 on 상태로 설정하거나 시동을 건다. |
3. |
하이스캔 스크린에 나타나는 지시에 따라 선택하여 작동한다.
|
4. |
HCU 공기 빼기를 선택한다.
|
5. |
HCU 공기빼기 조건을 확인한 후 Enter 를 누른다.
|
6. |
화면대로 실행을 한다.
|
7. |
순서는 화면에서 지시한 대로 뒤우측 바퀴를 먼저 실행한다. 블리드 스크류를 풀고, 뒤 바퀴의 휠 실린더 블리더 플러그에 비닐 튜브를 연결하고 다른 한쪽 끝은 브레이크 액 용기에 집어넣는다. 진행을 하면 모터 구동되는 소리가 들리면서 에어 블리딩 작업이 시작된다. |
8. |
작업이 끝나면 에어 블리더를 조이고, 앞좌측 공기빼기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차례차례 작업을 반복한다. |
9. |
블리더 스크류를 조인다.
|
고장코드 |
항 목 |
경고등 점등 조건 |
비고 |
ABS |
EBD |
VDC |
C1101 |
시스템 전원 높음 |
● |
● |
● |
|
C1102 |
시스템 전원 낮음 |
● |
○/● |
● |
|
C1200 |
앞좌측 휠센서 단선/단락 |
● |
○/● |
● |
|
C1201 |
앞좌측 휠센서 신호 이상 |
● |
○/● |
● |
|
C1202 |
앞좌측 휠센서 에어갭 이상 |
● |
○/● |
● |
|
C1203 |
앞우측 휠센서 단선/단락 |
● |
○/● |
● |
|
C1204 |
앞우측 휠센서 신호 이상 |
● |
○/● |
● |
|
C1205 |
앞우측 휠센서 에어갭 이상 |
● |
○/● |
● |
|
C1206 |
뒤좌측 휠센서 단선/단락 |
● |
○/● |
● |
|
C1207 |
뒤좌측 휠센서 신호 이상 |
● |
○/● |
● |
|
C1208 |
뒤좌측 휠센서 에어갭 이상 |
● |
○/● |
● |
|
C1209 |
뒤우측 휠센서 단선/단락 |
● |
○/● |
● |
|
C1210 |
뒤우측 휠센서 신호 이상 |
● |
○/● |
● |
|
C1211 |
뒤우측 휠센서 에어갭 이상 |
● |
○/● |
● |
|
C1213 |
휠속도 주파수 이상 |
● |
○/● |
● |
|
C1235 |
압력센서 단선/단락 |
● |
○ |
● |
VDC 장착 |
C1237 |
압력센서 신호 이상 |
● |
○ |
● |
VDC 장착 |
C1260 |
조향각센서 신호 이상 |
○ |
○ |
● |
VDC 장착 |
C1261 |
조향각센서 영점 설정 이상 |
○ |
○ |
● |
VDC 장착 |
C1282 |
요레이트 & 횡 G 센서 단선/단락 |
○ |
○ |
● |
VDC 장착 |
C1283 |
요레이트 & 횡 G 센서 신호 이상 |
○ |
○ |
● |
VDC 장착 |
C1503 |
VDC 스위치 에러 |
○ |
○ |
● |
VDC 장착 |
C1513 |
브레이크 스위치 이상 |
○ |
○ |
● |
VDC 장착 |
C1604 |
ECU 하드웨어 이상 |
● |
● |
● |
C1605 |
CAN 하드웨어 이상 |
○ |
○ |
● |
VDC 장착 |
C1611 |
ECM측 CAN 신호 수신 이상 |
○ |
○ |
● |
VDC 장착 |
C1612 |
TCM측 CAN 신호 수신 이상 |
○ |
○ |
● |
VDC 장착 |
C1616 |
CAN 버스 오프 |
○ |
○ |
● |
VDC 장착 |
C1623 |
조향각측 CAN 신호 수신 이상 |
○ |
○ |
● |
VDC 장착 |
C1625 |
VDC측 CAN 신호 수신 이상 |
○ |
○ |
● |
VDC 장착 |
C1626 |
VDC 제어 이상 |
● |
○ |
● |
VDC 장착 |
C1702 |
사양 설정 이상 |
● |
● |
VDC 장착 |
VDC 장착 |
C2112 |
밸브 휴즈 및 릴레이 이상 |
● |
○/● |
● |
|
C2308 |
앞좌측 인렛 밸브 이상 |
● |
● |
● |
|
C2312 |
앞좌측 아웃렛 밸브 이상 |
● |
● |
● |
|
C2316 |
앞우측 인렛 밸브 이상 |
● |
● |
● |
|
C2320 |
앞우측 아웃렛 밸브 이상 |
● |
● |
● |
|
C2324 |
뒤좌측 인렛 밸브 이상 |
● |
● |
● |
|
C2328 |
뒤좌측 아웃렛 밸브 이상 |
● |
● |
● |
|
C2332 |
뒤우측 인렛 밸브 이상 |
● |
● |
● |
|
C2336 |
뒤우측 아웃렛 밸브 이상 |
● |
● |
● |
|
C2366 |
TCS 밸브 #1 이상 |
● |
● |
● |
VDC 장착 |
C2370 |
TCS 밸브 #2 이상 |
● |
● |
● |
VDC 장착 |
C2372 |
VDC 밸브 #1 이상 |
● |
● |
● |
VDC 장착 |
C2374 |
VDC 밸브 #2 이상 |
● |
● |
● |
VDC 장착 |
C2402 |
모터 휴즈 및 모터 이상 |
● |
● |
● |
|
ABS컨트롤 유닛
구성부품 |
탈거 |
1. |
배터리 (-)단자를 탈거한다. |
2. |
HECU로부터 브레이크 튜브를 모두 분리한다.
|
3. |
HECU 커넥터를 분리한다. |
4. |
브라켓 볼트를 모두 분리하여 HECU를 탈거한다.
|
장착 |
1. |
장착은 탈거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
2. |
장착 후 공기빼기 작업을 실시한다. (ABS 시스템 공기빼기 참조)
프론트 휠 속도센서
|
검사 |
2. |
휠 스피드 센서 출력 파형이 아래 그림과 같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점검한다.
|
부품위치 |
검사 |
1. |
휠을 서서히 회전 시키면서 휠 스피드 센서 시그널 단자와 접지 사이의 출력 전압을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측정 장비로 측정한다.
|
2. |
휠 스피드 센서 출력 파형이 아래 그림과 같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점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