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2013년 02월 17 2월 17일과 18일의 역사 - 신자유주의의 시작 : 빚을 통한 성장의 한계, 제로니모, 조르다노 부르노의 지동설 댓글 16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2월 17일과 18일의 역사 - 신자유주의의 시작 : 빚을 통한 성장의 한계, 제로니모, 조르다노 부르노의 지동설 </center> 추천? 손가락 클릭! 새로운 세금정책을 설명하는 레이건 대통령. 빚을 통해서 성장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속가능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항상 적정 수준이 필요하다. 금융업자들이 오버하지 못하게 할 규제들, 전체적인 가계의 생활의 질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복지.. 오늘의 역사 2013. 2. 17. </center> 추천? 손가락 클릭! 새로운 세금정책을 설명하는 레이건 대통령. 빚을 통해서 성장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속가능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항상 적정 수준이 필요하다. 금융업자들이 오버하지 못하게 할 규제들, 전체적인 가계의 생활의 질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복지.. 댓글 오늘의 역사 2013. 2. 17.
17 2012년 04월 17 {4월 셋째주} 4.11총선결과의 원인&의미 : '과한 좌클릭'의 민주통합당? 댓글 48 주간시사정리 주간시사정리 {4월 셋째주} 4.11총선결과의 원인&의미 : '과한 좌클릭'의 민주통합당? 내가 좋아하는 그래프는 진보와 보수가 나란히 있는 이번 총선 비례대표 그래프이다. 내가 이 블로그를 시작할 당시에는 대한민국이 확실히 보수쪽, 우파쪽으로 치우친 경향이 있었고, 난 그것에 문제의식을 느껴 블로그에 글을 쓰기 시작했었다.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서.. 주간시사정리 2012. 4. 17. 내가 좋아하는 그래프는 진보와 보수가 나란히 있는 이번 총선 비례대표 그래프이다. 내가 이 블로그를 시작할 당시에는 대한민국이 확실히 보수쪽, 우파쪽으로 치우친 경향이 있었고, 난 그것에 문제의식을 느껴 블로그에 글을 쓰기 시작했었다.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서.. 댓글 주간시사정리 2012. 4. 17.
19 2012년 02월 19 {2월 셋째주} 포퓰리즘논란, 3차북미대화, 한미FTA, 영국독립, KT와삼성 등 댓글 16 주간시사정리 주간시사정리 {2월 셋째주} 포퓰리즘논란, 3차북미대화, 한미FTA, 영국독립, KT와삼성 등 무소속 김두관 경남도지사가 민주통합당에 입당했다. 사실 김두관 경남도지사는 애초에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한 '친노' 인사로, 그의 입당은 그리 놀랍지 않다. 문제는 박원순 시장일 것이다. 박원순 시장의 입당도 100%인것 처럼 보도되던데, 정말.. 주간시사정리 2012. 2. 19. 무소속 김두관 경남도지사가 민주통합당에 입당했다. 사실 김두관 경남도지사는 애초에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한 '친노' 인사로, 그의 입당은 그리 놀랍지 않다. 문제는 박원순 시장일 것이다. 박원순 시장의 입당도 100%인것 처럼 보도되던데, 정말.. 댓글 주간시사정리 2012. 2. 19.
05 2012년 02월 05 {2월 첫째주} 출자총액제한제, 새누리당, 시리아결의안, 대중교통요금, 인권조례, 삼성EU 등 댓글 29 주간시사정리 주간시사정리 {2월 첫째주} 출자총액제한제, 새누리당, 시리아결의안, 대중교통요금, 인권조례, 삼성EU 등 변화된 Weekly Voice~! 그런데 너무 오랫동안 썼어요. 더 줄여야 할 듯.ㅠㅠ 아무튼 읽어보시고 의견 부탁드립니다!! 아랍연맹이 제출하고 서방국들이 동의한 시리아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지는 러시아 대사. 결과적으로 안보리 상임국 러시아와 중국이 반대하면서 시리아 결의안은 부.. 주간시사정리 2012. 2. 5. 변화된 Weekly Voice~! 그런데 너무 오랫동안 썼어요. 더 줄여야 할 듯.ㅠㅠ 아무튼 읽어보시고 의견 부탁드립니다!! 아랍연맹이 제출하고 서방국들이 동의한 시리아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지는 러시아 대사. 결과적으로 안보리 상임국 러시아와 중국이 반대하면서 시리아 결의안은 부.. 댓글 주간시사정리 2012. 2. 5.
21 2011년 07월 21 [TED] '정의란 무엇인가?'가 무슨 의미인지 아시는지? : 마이클 샌델, 민주적인 토론이라는 잃어버린 기술에 대해서 댓글 17 책·TED·강연 책·TED·강연 [TED] '정의란 무엇인가?'가 무슨 의미인지 아시는지? : 마이클 샌델, 민주적인 토론이라는 잃어버린 기술에 대해서 추천? 손가락 클릭! ^^ 사회적 논쟁사안 속에 숨어있는 보다 더 본질적인 도덕적 배경에 대해 논쟁해야 한다는거지! - TED Review - '마이클 샌델, 민주적인 토론이라는 잃어버린 기술에 대해서' Michael Sandel: The lost art of democratic debate (마이클 샌델 : 누군지 설명해야 되나? 설마 당신 이 사람 누군지 모르나.. 책·TED·강연 2011. 7. 21. 추천? 손가락 클릭! ^^ 사회적 논쟁사안 속에 숨어있는 보다 더 본질적인 도덕적 배경에 대해 논쟁해야 한다는거지! - TED Review - '마이클 샌델, 민주적인 토론이라는 잃어버린 기술에 대해서' Michael Sandel: The lost art of democratic debate (마이클 샌델 : 누군지 설명해야 되나? 설마 당신 이 사람 누군지 모르나.. 댓글 책·TED·강연 2011. 7. 21.
02 2011년 01월 02 {1월 첫째주} 2010년 정리, 미네르바 위헌, 신규종편, 룰라 대통령 등 댓글 26 주간시사정리 주간시사정리 {1월 첫째주} 2010년 정리, 미네르바 위헌, 신규종편, 룰라 대통령 등 2011년 새해,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것이 RESET되고 다시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사회문제들은 새로 바뀐 달력과는 아무런 상관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악화될 것은 열심히 악화되어가고 있다. 오늘은 2010년의 소식들을 간단히 정리해보고, 2011년에 대한 이야기도 해보자. 우선 이번주의 소식들을 역시.. 주간시사정리 2011. 1. 2. 2011년 새해,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것이 RESET되고 다시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사회문제들은 새로 바뀐 달력과는 아무런 상관 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악화될 것은 열심히 악화되어가고 있다. 오늘은 2010년의 소식들을 간단히 정리해보고, 2011년에 대한 이야기도 해보자. 우선 이번주의 소식들을 역시.. 댓글 주간시사정리 2011. 1. 2.
26 2010년 12월 26 '장하준과의 소박한 만남'에 다녀오다 : 올바른 경제는 무엇인가? 댓글 17 책·TED·강연 책·TED·강연 '장하준과의 소박한 만남'에 다녀오다 : 올바른 경제는 무엇인가? 장하준 교수님의 자리.ㅋ 초점은 벽에... 조리개좀 조일껄-_- '장하준의 소박한 만남' 2010.12.21 서교동 에뚜아 @ 갑자기 찾아온 기회 지난 12월 19일, 장하준 교수님의 신작,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를 출판한 '도서출판 부키'에서 한통의 메일이 왔다. 장하준 교수님이 '2010 아시아미래포럼'에 참석차 .. 책·TED·강연 2010. 12. 26. 장하준 교수님의 자리.ㅋ 초점은 벽에... 조리개좀 조일껄-_- '장하준의 소박한 만남' 2010.12.21 서교동 에뚜아 @ 갑자기 찾아온 기회 지난 12월 19일, 장하준 교수님의 신작,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를 출판한 '도서출판 부키'에서 한통의 메일이 왔다. 장하준 교수님이 '2010 아시아미래포럼'에 참석차 .. 댓글 책·TED·강연 2010. 12. 26.
22 2010년 12월 22 {12월 셋째주} 김길태감형, 복지, 코스피2000, 자영업자, 국회충돌 등 댓글 23 주간시사정리 주간시사정리 {12월 셋째주} 김길태감형, 복지, 코스피2000, 자영업자, 국회충돌 등 트위터 시작합니다! @Smilerog 늦어서 죄송합니다. 불가항력적인 상황이었으니 이해해주세요~ 이번주에도 아주 길게 말할 소식은 없는것 같다. 뭐 그래놓고 쓰다가 길게 말하게 될 지는 모르겠지만... 그러면서 느끼는건데, 최근의 사회문제는 뭔가 심오한 생각과 논의를 필요로 하기 보다는, 이미 객관.. 주간시사정리 2010. 12. 22. 트위터 시작합니다! @Smilerog 늦어서 죄송합니다. 불가항력적인 상황이었으니 이해해주세요~ 이번주에도 아주 길게 말할 소식은 없는것 같다. 뭐 그래놓고 쓰다가 길게 말하게 될 지는 모르겠지만... 그러면서 느끼는건데, 최근의 사회문제는 뭔가 심오한 생각과 논의를 필요로 하기 보다는, 이미 객관.. 댓글 주간시사정리 2010.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