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어준입니다.
/장관님, 퇴근 무렵 전에 일방적으로 이렇게 브리핑하시겠다고
통보하시는 건 기자단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추미애 장관 기자회견장
퇴근 무렵 일방적으로 브리핑 통보하는 건
기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채널 A가 보도한 추장관 브리핑 현장에서의 모 기자 항변.
지난 한 주간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한 마디였습니다.
공동체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예외적인 특권을 기꺼이 인정해 주는 특별한 직업이 있습니다.
기자가 그렇죠.
1964년 뉴욕타임스 대 설리번 사건
마틴 루터 킹 지지자들이 뉴욕타임스에 게재한 주장광고 중 일부가 사실이 아니었고
그로 인해 몽고메리 시의 설리번 경찰서장이 명예 훼손을 당했다며 소송을 제기한 사건이었는데
실제 내용 중 일부가 사실과 달랐습니다.
그런데 미 연방대법원은 뉴욕타임스에 무죄를 선고합니다.
표현의 자유가 존속되기 위한 숨 쉴 공간이 있어야 하기에
언론은 보호받아야 한다.
자기검열 없이 자유로운 위사 표현이 가등하도록 법이 언론을 보호해야
언론이 공공의 알권리를 제대로 복무할 수 있다는 거요.
전 세계 언론의 이정표가 된 사건입니다.
그런데 브리핑 현장에서의 모기자 한 마디는
스스로를 아무나 접근할 수 없는 대형사건에 서 있는 저널리스트가 아니라
퇴근시간 직전 갑작스런 일거리에 짜증이 나버린
직장인으로 만들어 버린 거죠.
자기 직업이 가지는 고유한 품위와 가치를
그렇게 스스로 버렸다.
퇴근이 그렇게나 중요한 그분들에게 이 노래를 띄웁니다.
--
퇴근퇴근퇴근퇴근 하고 싶어요
야근야근야근 너무 싫어요
칼퇴근을 너무너무 하고 싶어요
내 시간들이 소중 하니까
세상이 다 빠르게 돌아가지만
내 시계는 죽었나 돌질 않네
퇴근퇴근퇴근퇴근 하고 싶어요
야근야근야근 너무 싫어요
칼퇴근을 너무너무 하고 싶어요
내 시간들이 소중 하니까
-칼퇴근, 이이경
'시사 - 역사 > 김어준생각(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어준 생각] 12.1(화) 불법사찰을 야구에 비유? 그건 엉터리 (0) | 2020.12.01 |
---|---|
[김어준 생각] 11.30(월) “의원님들~ ‘검찰청법’ 좀 읽으세요” (0) | 2020.11.30 |
[김어준 생각] 11.27(금) ‘직장인’ 기자의 칼퇴근 욕심 (스스로 버린 품위) (0) | 2020.11.27 |
[김어준 생각] 11.26(목) 기자들 ‘결기’? 웃음 ‘피식’! (참 예의 바른 언론) (0) | 2020.11.26 |
[김어준 생각] 11.24(화) 대안 없는 ‘비아냥’은 일기장에! (돈을 뿌린다고? 그건 신경질이지...) (0) | 2020.11.24 |
[김어준 생각] 11.23(월) 언론, ‘번역’ 전 ‘사실’ 확인부터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