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ysriver21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1500년 전 ‘거대 자유무역지대’ 돌궐 재발견 돌궐제국 당시 투루판 아스타나 고분에서 출토된 비단에 그려진 기마궁사의 모습. 고구려 고분벽화 ‘수렵도’의 장면(오른쪽)과 매우 닮았다. 고구려가 북아시아 유목민 역사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사계절 ..
미주의 인상 유학생 김동성의 첫 한국인 영문책 처음 보는 미국의 풍경 생생히 담아 미주의 인상 김동성 글·그림 김희진·황호덕 옮김 현실문화, 216쪽, 1만4800원 경성 엘리트의 만국 유람기 허헌·최승희·나혜석 외 지음 성현경 엮음, 현실문화 416쪽, 2만1800원 1909년, 김동성이라는 스무..
200년전 ‘조선을 깨우다’ 정약전 ‘표해시말’ 기록·해설 유구국, 여송국, 마카오 거쳐 3년2개월 흑산도 홍어장수 문순덕(文順德)이 200년전 ‘조선을 깨우다’(서미경, 2010. 12. 북스토리)는 조선 최초의 세계인 이야기다. 저자 서미경 KBS PD는 문순덕이 조선 실학자와 만나 역사를 바꾼 ..
전쟁도, 평화도 . 커피는 세계사의 축소판 유럽인은 17세기 중반에 커피라는 신세계를 접했다. 1700년 무렵 영국 런던에만 2000개가 넘는 커피하우스가 영업했다. 당시 해운업계 사람들의 사랑방으로 유명했던 런던 로이드 커피하우스. [사진 을유문화사] 매혹과 잔혹의 커피사 마크 펜더그..
냉면·막걸리·소주 … 우리가 살아온 지난 100년 각종 자료 문헌 섭렵한 음식문화사 고추장 비빔밥은 40년 밖에 안돼 19세기 개장국 먹어본 프랑스 선교사 "맛이 나쁘지 않았다" 증언 찾아내기도 식탁 위의 한국사 주영하 지음 휴머니스트, 572쪽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고 한다. 지난 ..
투구게는 어떻게 4억년 시간을 견뎠나 20분마다 한 종이 사라진다 알 품어 부화시키는 개구리, 수억년 생존한 생물들 통해 고대 생태계·종의 진화 등 '자연의 역사'를 파헤치다 가장 오래 살아남은 것들을 향한 탐험 피오트르 나스크레츠키 글·사진|지여울 옮김 | 글항아리|420쪽|5만..
인간에 입양된 침팬지, 수화를 하고 커피도 즐겼지만… 님 침스키 엘리자베스 헤스 지음 장호연 옮김, 백년후 448쪽, 2만2000원 1973년생. 이름 님 침스키.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레몬 파이. 커피와 담배를 즐기고, 잡지를 뒤적이며 시간을 보내기도 한다. 어렸을 때는 가족의 사랑을 듬뿍 받..
천일염이 전통소금? 100년 전엔 없었다 천일염은 한 세기 전 대만 것 본떠 들여와… 우리 전통 소금은 바닷물 끓인 '자염' 소금이 흔해진 건 이승만 정부 때부터 작지만 큰 한국사, 소금 유승훈 지음|푸른 역사|420쪽|2만원 1946년 4월, 서울 용산 소금배급소에 인파가 몰려들었다. 소금을 ..
향신료가 전쟁 원인이었다고? 향신료 둘러싼 역사적 사건 추적 잭 터너 지음/정서진 옮김/따비/592쪽/2만 5천 원. 유럽인들은 왜 그렇게 향신료에 집착했을까.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현대인의 눈으로 단순히 음식재료의 하나일 뿐인 향신료 때문에 목숨을 건 항해에 나서고 국가의 명운을 ..
크로마뇽인 對 네안데르탈인, 승부처는 '바늘' 물가죽 걸쳤던 네안데르탈인 멸종… 바늘로 옷 만든크로마뇽인은 빙하기 견디고 생존 만들고 노래하고 협동한 크로마뇽인… 그들이 있었기에 인류는 살아있다 브라이언 M. 페이건 지음|김수민 옮김|더숲|440쪽|1만8900원 "4만 년 전 빙하..
통일신라부터 1200년, 우리 문화 곳곳에 이슬람 자취 뚜렷 21세기 다문화 사회 밑거름될 수 있어 이슬람과 한국 문화 이희수 지음|청아출판사|364쪽|2만원 "사치와 호화를 일삼는 백성들이 진귀한 외래품만 선호하고 토산품을 배척하니 문란하고 풍속이 파괴되기에 이르렀다. 하여 법령..
조선인, 미지의 세계를 기록하다 표류로 시작한 중국 여행기부터 세계일주까지 이방인의 눈으로 바라본 낯선 타국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세계여행을 했을까. 궁금하다면 다음을 보시라.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인 1487년(성종 18) 11월, 전라도 나주 출신의 선비 최부는 제주삼읍추쇄경차관(본적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