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오투’의 변선애 책임 디자이너는 노타이 패션을 제안한다.
넥타이를 매지 않고 대신 드레스 셔츠로 포인트를 주는 것.
변 디자이너는 “노타이 패션에서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셔츠”라며
“기존의 드레스 셔츠는 넥타이를 감안해 편안하고 단조로운 패턴의 셔츠가 대부분이었지만, 노타이를 고려한 드레스 셔츠는 앞단 혹은 칼라 부위를
강조해 노타이의 허전함을 없애는 것이 키 포인트”라고 강조한다.
앞단을 중심으로 V자형 사선 스트라이프를 연출하거나
밋밋한 칼라에 삼각형 스트라이프로 멋스러움을 살린 드레스 셔츠는 넥타이를 매지 않아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조금
더 개성을 드러내고 싶다면 드레스 셔츠 일부분에 꽃무늬 혹은 나비 문양이 프린트돼 있는 것을 골라 격식을 갖추면서도 정장 상의를 벗었을 때는
캐주얼한 분위기를 전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 기존의 프린트에 그러데이션 효과를 넣어주거나 주머니와 어깨 등에 다른 천을 대 돌려박는 기법을
이용해 윤곽 선을 살린 디자인도 도전해볼 만하다.
색상은 보기에도 시원한 파랑 계열이나 초록 계열 등이 인기다. 이때 재킷은 화이트, 베이지로 매치해 정갈한 느낌을 전하도록 하고 좀 더 격식 있는 옷차림을 원한다면 남색 정장도 잘 어울린다. 거꾸로 재킷을 시원한 느낌의 파랑 계열로 정했다면 화이트나 베이지 등의 밝은 색상의 바지로 연출하는 것이 좋다.
여름이면 유독 신경 쓰이는 부분이 소재다. 좀 더 얇게, 좀 더 시원하게 입을 수 있도록 소재 역시 꼼꼼히 살펴보게 된다. 여름이면 빼놓을 수 없는 소재가 마(리넨)다. 시원한 감촉과 함께 땀을 흡수하고 발산하는 능력이 뛰어나 여름이면 단연 인기 품목이다. 최근엔 구김이 잘 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면이나 울 등 다른 소재와 혼방하여 실용적인 면을 부각시켰다. 마와 함께 면 등의 소재에 주름 가공을 한 시어서커 역시 여름 소재로는 제격이다. 가벼우면서도 세탁하기 편하고 다림질이 필요없어 편하게 입을 수 있다.
재킷과 셔츠, 바지를 모두 마 소재로 연출할 경우 셋 중
하나는 실크나 비스코스 등을 혼방해 광택감이 느껴지는 제품으로 선택하는 것이 한결 세련돼 보인다. 또 마 소재로 된 정장을 입을 때에는 화려한
색상의 꽃무늬 셔츠나 스트라이프 셔츠로 포인트를 주면 한결 자연스러운 멋을 낼 수 있다.
마 소재 바지는 다소 부드러운 느낌의 면
재킷이나 면 소재에 오래된 느낌을 주기 위해 워싱 처리한 재킷을 함께 입어도 좋다. 마 소재 바지에는 색상을 파랑, 초록, 아이보리 등 한층 더
화사한 색상으로 골라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마와 면을 혼방한 후 특수 처리 등으로 청바지의 느낌이 나도록 한 바지도 인기를
얻고 있다.
출 처 : segae.com 윤성정 기자 ysj@segy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