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1202sok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사진=뉴스1 사진=뉴스1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한 양봉농가에서 농민이 비어 있는 벌통을 가리키고 있다. 2022.2.28dragon.me@yna.co.kr [장수=뉴시스] 한훈 기자 = 전북 장수군은 올해 고품질 벌꿀생산을 위해 총 2억6000만원을 투입해 기자재 등 양봉산업을 지원한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장수군 제공).2022.02.25. photo@newsis.com 꿀벌이 사라졌다…대체 무슨 일이? 초여름에나 먹던 딸기가 어느덧 겨울 과일이 됐다. 춥고 눈 오는 겨울에 빨갛게 익은 딸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추위를 견디는 데 위안이 된 지 오래다.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재배 기술 덕에 제철 과일은 이제 옛말이 됐다. 경남 하동에서 딸기 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요즘 마..
Bob James - Angela (Theme From "Taxi")
1위 지동설( 1543년 쿠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1473년 폴란드 왕국의 프로이센 지방 토룬 시에서, 독일계 상인 아버지 슬하의 막내로 태어났다. 어머니도 부유한 상인 집안 출신이었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라틴어이며, 폴란드에서는 ‘미코와이 코페르니크’로 부른다.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어, 독일어, 라틴어에 능통했고 이탈리아어와 그리스어도 어려움 없이 구사했다. 현존하는 그의 문헌들 대부분은 당시 유럽의 학문 공용어인 라틴어로 쓴 것들이며, 독일어로 쓴 편지가 일부 있다. 그가 태어난 토룬이 독일어권이었기에 그의 모어(母語)가 독일어였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공식적으로 그는 ‘폴란드 출신의 천문학자’다. 코페르니쿠스가 10살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고, 고향에서 학교를 다..
아테네를 중심에 놓고 보면 변방에 불과했던 마케도니아의 젊은 군주 알렉산드로스는 유럽, 지중해, 북아프리카 및 소아시아 지방을 정복하고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그러나 긴 정복전쟁에 심신이 지친 그는 기원전 323년 바빌론에서 급사하고, 다음 해 그의 스승 아리스토텔레스도 사망하였으나, 그리스 문화는 넓은 영역에 걸쳐 확산되었다. 제국의 영화는 짧았지만 문화는 지속적이었다. 이때부터 기원전 146년 로마가 코린트에서 그리스를 멸망시키고 정치적으로 지배하기 까지를 우리는 ‘헬레니즘’이라고 부른다. 한 마디로 그리스 문화의 절정기에서 쇠퇴기로 이어지는 시대였다. 헬레니즘기의 그리스에는 여러 문화적 중심지가 생겼고, 여러 철학 유파들이 마치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의 백가쟁명 (百家爭鳴)을 연상시키듯 등장하였다. 플라..
형이상학 형이하학 형이상학 요약 철학적 기본 가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존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규정하는 철학의 한 분야. 목차 펼치기 형이상학은 논리학·인식론·미학·윤리학 등 철학의 다른 연구분야와 상호작용한다. 형이상학은 전통적으로 철학적 관심의 대상이 되는 광범한 주제를 다루었다. 그중 가장 기본적인 주제는 그리스 철학자들이 언급한 것으로, 정신의 대상이 되는 추상적 실재, 즉 형상의 존재와 성격이다. 고전 그리스 철학자들이 실재 세계의 대상인 감각할 수 있는 사물들과 정신의 대상인 관념들을 구별한 뒤 형이상학적 철학자들은 추상과 실체의 관계에 관심을 기울여 둘 다 존재하는 것인지, 또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보다 더 실재적인지를 해명하려 했다. 형이상학자들은 형상과 관념의 관계를 이해하..
포스트모던 철학의 이해| I.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말이 일상생활 속에서도 흔히 접하게 되는 말로서 현대문화를 특징짓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고 했지만, 과연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명확하게 규정하기란 쉽지가 않다. 왜냐하면, 예술의 각 분야는 물론 철학, 과학을 망라한 모든 분야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말이 그 뜻과 색채를 달리하면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의미의 다양성과 복잡성 때문에, 혹자는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용어는 “어떤 방식으로 규정되어지기를 거부한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을 “거대이론 또는 전체성에 대한 혐오”로 정의한 료따르(Lyotard)를 따라서 몇 마디로 규정해 보면, 그것은 곧 절대확실성을 전제로 하여 형성된 설명체제 또는 ..
인간중심철학(주체철학)의 개괄적 이해 1. 북한 주체사상과 인간중심철학 알려져 있다시피 북한에서 '주체'라는 용어가 대중적으로 등장하게 된 것은 55년 12월의 김일성 연설(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이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주체사상'이라는 용어를 누가 처음 사용했으며, 어떤 계기로 정식화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60년대 초까지 김일성의 주체사상의 기본내용은 55년 12월 연설을 바탕으로 한 '4가지 기본 노선'으로 요약될 수 있다. 즉 "혁명과 건설에서 견지하여야 할 근본입장과 근본방법은 자주적 입장과 창조적 입장이며, 견지해야 할 기본 노선과 정책은 사상에서 주체, 정치에서 자주, 경제에서 자립, 국방에서 자위"가 그 기..
행복한 삶의 방식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아테네를 중심에 놓고 보면 변방에 불과했던 마케도니아의 젊은 군주 알렉산드로스는 유럽, 지중해, 북아프리카 및 소아시아 지방을 정복하고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그러나 긴 정복전쟁에 심신이 지친 그는 기원전 323년 바빌론에서 급사하고, 다음 해 그의 스승 아리스토텔레스도 사망하였으나, 그리스 문화는 넓은 영역에 걸쳐 확산되었다. 제국의 영화는 짧았지만 문화는 지속적이었다. 이때부터 기원전 146년 로마가 코린트에서 그리스를 멸망시키고 정치적으로 지배하기 까지를 우리는 ‘헬레니즘’이라고 부른다. 한 마디로 그리스 문화의 절정기에서 쇠퇴기로 이어지는 시대였다. 헬레니즘기의 그리스에는 여러 문화적 중심지가 생겼고, 여러 철학 유파들이 마치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의 백가쟁명..
그리스 철학의 기본 사상가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소크라테스와 같은 시대의 사람들은 교묘한 논증 때문에 소크라테스를 소피스트로 여겼으나, 그는 대가를 바라고 가르치지도 않았고 그의 목표는 소피스트의 목표와 아주 달랐다. 그의 삶과 활동에 대한 모든 기록을 살펴보면, 그는 무엇이든 직접 가르치려 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늙든 젊든, 높은 신분이든 낮은 신분이든 모든 사람과 끊임없이 대화했으며, 질문을 통해 그들의 의견과 행동 속에 있는 모순점을 밝혀내려 애썼다. 그의 작업은 2가지 흔들리지 않는 전제를 깔고 있었다. 첫째, 결코 그릇된 일을 하지 않고 그릇된 일에는 간접적으로라도 가담하지 않겠다는 원칙, 둘째, 무엇이 좋고 옳은지를 참으로 아는 사람은 그 누구도 이 원칙을 거스르는 행동을..
명상록 치열한 자기고백 저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해설자 이창우(가톨릭대학교 인문학부 교수) 삶의 근본적 질문과 고전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분명 우리 삶을 편리하게 해 주었다. 디지털 정보 기술, 생명 과학, 나노 공학, 로봇 공학은 우리가 옛날에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들을 가능케 만들었다. 더욱 안락한 생활 그리고 더욱 긴 수명에 대한 인류의 욕망을 첨단 과학·기술은 충족시켜 주고 있다. 하지만 편리한 삶이 곧 행복한 삶이라고 말할 수 있는 걸까? 과학·기술의 유토피아가 인간을 진정으로 더 행복하게 만드는가?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인가? 인간 삶의 최종적인 목적은 대체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오늘을 살고 있고, 또 무엇을 위해 이 모든 문명의 이기를 즐기고 있는가? 나..
플라톤 철학의 선-형이상학적인 구조 윤병렬 플라톤의 철학은 일목요연하게 설명되거나 쉽게 요약되지 않는데, 그것은 그만큼 깊고 광범위하며 복합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어느 한쪽 면만 부각시킨다면 얼마든지 "로고스 중심주의"(데리다)나 인식론이며 존재론이나 신화론, 나아가 관념론이나 형이상학으로도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그 일면적인 것을 마치 플라톤 철학의 전부인 것처럼 착각하고서 비판을 위한 비판을 일삼는다면, 이는 바람직하지 않는 태도이다. 그래서 슈텐쩰(Julius Stenzel)과 같은 플라톤 전문가는 플라톤 철학의 다각도성과 전체적인 면을 읽지 못하면 위험하다는 사실을 경고하고 있으며, 또 이와 유사하게 보어만(Karl Bormann)도 ―나중에 자세히 논의하겠지만― 플라톤의 철학의 사고단초는..
自我를 가다듬고 精製한 빈틈없는 所望과 追憶들* 보이지 않아도存在 하듯 들리지 않아도 소리내듯 한조각 해그림자 되어 노을진 마음 그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