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2017년 11월 13 회귤 懷橘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회귤 懷橘 회귤 懷橘 품속의 귤이라는 뜻으로 지극한 효성을 일컬는다. 후한(後漢) 말엽 손권(孫權)의 참모를 지낸 육적(陸績)이 어릴 적 일화이다. 육적이 6살 때 당대의 명문가인 원술(袁術)의 집에 심부름을 갔었다. 원가(袁家)는 대단히 부유하여 심부름 온 육적에게 귤을 내어 대접하였다. 육적..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7. 11. 13. 회귤 懷橘 품속의 귤이라는 뜻으로 지극한 효성을 일컬는다. 후한(後漢) 말엽 손권(孫權)의 참모를 지낸 육적(陸績)이 어릴 적 일화이다. 육적이 6살 때 당대의 명문가인 원술(袁術)의 집에 심부름을 갔었다. 원가(袁家)는 대단히 부유하여 심부름 온 육적에게 귤을 내어 대접하였다. 육적..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7. 11. 13.
30 2017년 10월 30 저력지재 樗櫟之材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저력지재 樗櫟之材 저력지재 樗櫟之材 가죽나무와 상수리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가죽나무(左)와 상수리나무(右)(사진출처 : 구글) 가죽나무와 상수리나무는 동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로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는 강인한 나무이다. 가죽나..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7. 10. 30. 저력지재 樗櫟之材 가죽나무와 상수리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가죽나무(左)와 상수리나무(右)(사진출처 : 구글) 가죽나무와 상수리나무는 동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로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라는 강인한 나무이다. 가죽나..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7. 10. 30.
21 2017년 10월 21 걸해골 乞骸骨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걸해골 乞骸骨 걸해골 乞骸骨 해골을 빈다는 뜻으로, 관료가 나이 들어 정사를 볼 수 없을 때 든 군주에게 물러나기를 청하는 말이다. 과거에 노신(老臣)이 은퇴할 때 쓰던 말이다. 항우의 책사 범증, 항우에게 충성을 바쳤지만 버림받고 객사하고 말았다 범증을 비롯한 많은 내친 항우는 천하제패의 꿈..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7. 10. 21. 걸해골 乞骸骨 해골을 빈다는 뜻으로, 관료가 나이 들어 정사를 볼 수 없을 때 든 군주에게 물러나기를 청하는 말이다. 과거에 노신(老臣)이 은퇴할 때 쓰던 말이다. 항우의 책사 범증, 항우에게 충성을 바쳤지만 버림받고 객사하고 말았다 범증을 비롯한 많은 내친 항우는 천하제패의 꿈..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7. 10. 21.
15 2016년 02월 15 건곤일척 乾坤一擲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건곤일척 乾坤一擲 건곤일척 乾坤一擲 하늘과 땅을 걸고 주사위를 한번 던진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승패를 겨루거나 모든 것을 하늘에 맡기고 결행함을 이른다. (사진출처 : 초한지) 진(秦)이 망하고 각지에서 군웅들이 일어나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그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낸 자가 초패왕 항우(초覇王 項..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2. 15. 건곤일척 乾坤一擲 하늘과 땅을 걸고 주사위를 한번 던진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승패를 겨루거나 모든 것을 하늘에 맡기고 결행함을 이른다. (사진출처 : 초한지) 진(秦)이 망하고 각지에서 군웅들이 일어나 전쟁이 끊이지 않았다. 그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낸 자가 초패왕 항우(초覇王 項..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2. 15.
08 2016년 02월 08 개권유익 開卷有益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개권유익 開卷有益 개권유익 開卷有益 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의미로 독서를 권할 때 사용되는 성어이다. 송나라(宋) 태종(太宗)은 책읽기를 무척이나 즐겼으며 특히 역사서를 좋아하였다. 태종은 이방(李昉)을 비롯한 10여명의 학자에서 사서(辭書 : 백과사전)을 편찬할 것을 명하여, 7년 만에 빛을 보았다...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2. 8. 개권유익 開卷有益 책을 펼치면 유익하다는 의미로 독서를 권할 때 사용되는 성어이다. 송나라(宋) 태종(太宗)은 책읽기를 무척이나 즐겼으며 특히 역사서를 좋아하였다. 태종은 이방(李昉)을 비롯한 10여명의 학자에서 사서(辭書 : 백과사전)을 편찬할 것을 명하여, 7년 만에 빛을 보았다...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2. 8.
01 2016년 02월 01 간담상조 肝膽相照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간담상조 肝膽相照 간담상조 肝膽相照 간과 쓸개를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마음을 터놓고 진심으로 사귀는 일, 또는 그러한 사이를 말한다. (사진출처 : 구글) 당송팔대가 중 당대의 문장가 한유와 유종원은 매우 절친하여 사람들은 이 둘을 합쳐 한유(韓柳)라 부를 정도였다. 유종원은 뛰어난 문인이..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2. 1. 간담상조 肝膽相照 간과 쓸개를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마음을 터놓고 진심으로 사귀는 일, 또는 그러한 사이를 말한다. (사진출처 : 구글) 당송팔대가 중 당대의 문장가 한유와 유종원은 매우 절친하여 사람들은 이 둘을 합쳐 한유(韓柳)라 부를 정도였다. 유종원은 뛰어난 문인이..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2. 1.
25 2016년 01월 25 각주구검 刻舟求劍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각주구검 刻舟求劍 각주구검 刻舟求劍 (사진출처 : 다음키즈넷 ) 전국시대(戰國時代), 초나라 청년이 배를 타고 양자강을 건너다가 실수로 칼을 강에 빠트렸다. 청년은 단검으로 칼을 떨어뜨린 뱃전에 표시를 해 두었다. 배가 뭍에 이르자 청년은 표시한 뱃전 밑 강물로 뛰어들어 칼을 찾았지만 칼이 있을 리..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1. 25. 각주구검 刻舟求劍 (사진출처 : 다음키즈넷 ) 전국시대(戰國時代), 초나라 청년이 배를 타고 양자강을 건너다가 실수로 칼을 강에 빠트렸다. 청년은 단검으로 칼을 떨어뜨린 뱃전에 표시를 해 두었다. 배가 뭍에 이르자 청년은 표시한 뱃전 밑 강물로 뛰어들어 칼을 찾았지만 칼이 있을 리..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1. 25.
20 2016년 01월 20 경국지색 傾國之色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경국지색 傾國之色 경국지색 傾國之色 나라를 기울게 할 만큼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미모(美貌)가 매우 뛰어난 여인을 의미한다. 이 시대의 경국지색은 누구? (사진출처 : 스포츠서울, 스타일M, 프런티어타임스, TV데일리 ) 중국 한무제(漢武帝)때 협률도위(음악을 관장하는 벼슬) 이연년(李延年)은 무제에게 ..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1. 20. 경국지색 傾國之色 나라를 기울게 할 만큼의 미인이라는 뜻으로 미모(美貌)가 매우 뛰어난 여인을 의미한다. 이 시대의 경국지색은 누구? (사진출처 : 스포츠서울, 스타일M, 프런티어타임스, TV데일리 ) 중국 한무제(漢武帝)때 협률도위(음악을 관장하는 벼슬) 이연년(李延年)은 무제에게 ..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1. 20.
19 2016년 01월 19 결초보은 結草報恩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결초보은 結草報恩 결초보은 結草報恩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은혜를 잊지 않고 보답한다는 의미이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진나라(晉) 문공(文公)의 휘하에는 위무자(魏武子)라는 뛰어난 장수가 있었다. 그는 전장에 나갈 때마다 두 아들 위기(魏顆)와 위과(魏錡)에게 자신이 죽거든 애첩(愛..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1. 19. 결초보은 結草報恩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은혜를 잊지 않고 보답한다는 의미이다.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진나라(晉) 문공(文公)의 휘하에는 위무자(魏武子)라는 뛰어난 장수가 있었다. 그는 전장에 나갈 때마다 두 아들 위기(魏顆)와 위과(魏錡)에게 자신이 죽거든 애첩(愛..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1. 19.
18 2016년 01월 18 견토지쟁 犬免之爭 댓글 0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견토지쟁 犬免之爭 견토지쟁 犬免之爭 개와 토끼의 다툼이란 뜻으로 둘이 싸우는 사이에 제 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익을 보는 일, 또는 횡재함을 비유하며 쓸데없는 싸움을 뜻하기도 한다. (사진출처 : 대전일보) 전국시대 제 나라에는 순우곤(淳宇髡 )이라는 세객(說客)이 있었다. 제나라 왕이 위나..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1. 18. 견토지쟁 犬免之爭 개와 토끼의 다툼이란 뜻으로 둘이 싸우는 사이에 제 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익을 보는 일, 또는 횡재함을 비유하며 쓸데없는 싸움을 뜻하기도 한다. (사진출처 : 대전일보) 전국시대 제 나라에는 순우곤(淳宇髡 )이라는 세객(說客)이 있었다. 제나라 왕이 위나.. 댓글 인문학여행/고사성어와한자 2016.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