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항/ 루어ㄱ / 카오/ 쁘로ㅎ / 너으아에나?
가게 / 파는 / 바지 / 남자 /어디에
예) 항 / 루어ㄱ / 바이 / 너으아에나? = 밥파는 가게가 어디에 있어요?
루억 = 팔다
뗸 = 사다
4. 쏨/ 로이/ 압
Please / 돈 / 거스르다
= 쏨 아오이 로이 압 해도 가능하다.
주다= 아오이 / 받다= 떠뚜얼
예를 들어
어린 아이 : 1 불만 주세요 :쏨 아오이 무오이 돌라
: 1불을 받길 원해요 : 크뇸 쩡 떠뚜얼 무오이 돌라.
어른 : 1불을 줄 수 있다.: 크뇸 앗 아오이 무오이 돌라 반
: 1불을 주고 싶다. : 크뇸 쩡 아오이 무오이 돌라
5. 무오이나/ 러어/ 찌응/ 께
Which one / 좋은 / ~보다 / 그들(이것 외의 모든 것)
찌응 = 비교급
찌응 께 = 최상급
프떼아 크뇸 러어 찌응 프떼아 네약 = 너의 집보다 우리 집이좋다.
프떼아 크뇸 러어 찌응 께 = 우리 집이 제일 좋다.
6. 미은/ 레엑/ 톰/ 찌응/ 니/ 떼?
있다 / 숫자 / 큰 / ~보다 / 이것 / ?
레엑 = 숫자 / 톰 = 크다 / 또잇 = 작다
* 뻬엑 = 부정형의 너무이다. 너무 커서 못 입겠다 할 때 쓰인다. = 니 톰 뻬엑
나하 = 긍정형의 정말이다. Very 크긴 크지만, 못입겠다의 의미는 없다. =니 톰 나하!
|
7. 쏨 / 쪼ㅎ /틀라이/ 반떼?
Please / 내리다 / 비싼 / 되요?
① 쪼 = 내리다 의 뜻으로
쏨 쪼 무오이 = 내려주세요! (버스가 달릴 때 ) .
쏨 쪼 띠니 = 여기서 내릴께요
|
② 틀라이 = 비싼 이지만, 생각할 때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쪼 틀라이 = 가격을 내리다.
|
③ 반떼? = 되요?
뒤에 반떼? 를 붙이면 ~해도 되요? 라는 의미가 된다.
쏨 크쩌이 뚜르쌉 네약 반 뗴? = 당신의 핸드폰을 빌려도 되요?
|
8. 깔몬/ 타옥/ 찌응/ 니ㅎ
예전에는 / 싸다 / ~보다 / 이것
①깔몬 = 삐몬
: 예전에는, 전에는
②타옥 = 싸다 <-> 틀라이= 비싸다
③꼼/ 까오/ 크뇸!
~ 하지마라 / 속이다/ 나를
* 꼼은 ~하지마라 라는 뜻으로 강한 표현이다.
좀 더 예의있는 표현으로는 “함”이란 표현이 있다.
Ex) 함 쩟 = 주차하지 마세요.
꼼 쩟 = 주차하지마라!
|
④틀로랍 = ~해본적이 있다.
크뇸/ 틀로압/ 목/ 항/ 니ㅎ
나는/ ~해본적이 있다/ 오다 / 가게 / 이곳
Ex) 크뇸 / 틀로압 / 냠 = 먹어 본적이 있다.
9. 무오이나/ 꺼/ 반
Which one / ~도 / 가능하다.
①꺼 는 ~도 라는 의미로써
선생님 잘 지내셨어요?
네 잘지냈어요.
당신은요?
저도 잘 지냈어요
|
로옥 쏙써바이 지어 떼?
받 크뇸 쏙써바이
쪼 네약 윈?
크뇸 꺼 쏙써바이 다에.
|
* 꺼 … 다에 = 꺼… = …다에
크뇸 꺼 냠 바이 다에. = 저도 밥 먹었어요
크뇸 꺼 냠 바이 하으이 = 저도 밥 먹었어요(완료형)
크뇸 쩡 냠 바이 다에. = 저도 밥 먹고싶어요.
|
②꺼반 = 괜찮다.
Ex) 뽀아 나 꺼반 = 아무색이나 괜찮다.
-> 명사 + 나 = 명사중어떤것이나.
냠 놈빵 꺼반 = 빵을 먹어도 괜찮다(밥이 없을 때)
-------------------------------------------------------------------------------------------------
오늘은 세진쌤이 못나오셨는데요 .
다음주에 복습하면서 다시 한번 공부해봐요!
'이중언어수업 > 기초캄보디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27일 10과 식당에서 (0) | 2014.08.05 |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7월 18일 9과 쇼핑하기 (0) | 2014.07.21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7월 16일 과 뒤쪽, 9과 처음 (0) | 2014.07.21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8과 물건의 위치 말하기, 사람찾기 (0) | 201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