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과 고장 났을 때
1. A: 미은/ 빤냐하 / 어이? (어와이)
가지고있다 have / 문제 /무슨what
무슨 문제가 있나요?
B: 코잇 / 하으이
고장나다/ 완료형 – 이미 고장 난 상태
쏨 / 쭈쭐
Please / 고치다
- 쏨 / 도우 : 바꿔주세요 = 쏨프도우
도우 = 프도우 ; 바꾸다
|
- 쏨 / 도우 / 트마이 : 새것으로 바꿔주세요.
- 도우 / 트마이 / 반떼?
바꾸다/ new 새것 / 가능한가요?
= 앗 도우 트마이 반떼?
먼 …. 떼 = 부정형
앗 …. 반 = can 할 수 있다.
앗 …. 반떼? = 반떼? 는 “떼”가 의문형의 떼
멋 앗 …. 반 떼 = “ 떼”가 부정형의 떼
따라서 “먼”이나, “엇”이 앞에 오면 “떼”가 부정형이 되며 “반떼”가 의문형이 될 수 없다.
|
3. 먼 / 앗 / 바윽 / 떼
Not/ can / 열다= 켜다 / 부정형
① 먼 = 엇
엇 / 앗/ 바윽 / 떼 도 의미상 맞지만, 발음이 쉬운 쪽으로 먼 / 앗 /바윽/ 떼 가 된다.
|
② 주어 + 앗 + 동사 + 목적어
= 주어 + 앗 + 동사 + 목적어 + 반
; ~ 할 수 있다 .
|
③ 앗 & 쪠 = 할 수 있다
쩨는 능력을 말 할 때 쓰인다.
크뇸 쩨 쯔리응 : 노래를 부를 수 있다.
ß>
크뇸 앗 쯔리응 : 노래를 할 수 있다이지만, 노래를 부르는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 현 상황에서 노래를 할 수 있다. 라는 의미가 된다.
크뇸 쪠 쁘라으 쁘라 꼼쮸떠 니ㅎ : 컴퓨터를 활용, 사용할 수 있다.
ß>
크뇸 앗 쁘라으쁘라 꼼쮸떠 니ㅎ : 컴퓨터를 사용 할 수 있다. 능력이 아니라 이 또한 현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허락을 받아서 사용가능하다.
|
* 엇/ 미으/ 덤나으까/ 떼
Not /have / 진행,과정 / 부정형
* 부똥 니ㅎ / 미은 / 빤냐하
Buttonthis/ have / problem
* 크와ㅎ / 끄르응 / 무오이
부족하다 / 부품 / 하나= 부품 하나가 부족하다.
Ex) 끄르응은 부품으로 쓰이지만,
끄르응 + 사못(바다) 와 함께 쓰이면, 해산물이란 뜻이 된다.
* 똠네악똠넝/ 먼 / 반떼
연결하다 / not / 가능하지 않다. = 연결이 안 된다.
Ex ) 따으 네약 미연 썽싸 똠네악똠넝 떼 ? = 연결이 되는, 썸타는 ㅎ 애인이 있어요?
4.껀라엥 / 니 ㅎ / 박 / 하으이
Place / this / broken / 완료형
: 휴대폰의어떤 부분이 부서졌다. 라는 의미이다. 껀라엥은 장소로 많이쓰이지만, 특정 부분을 가리킬 때에도 쓰인다.
5.미은/ 클런/ 층이음
가지다 / 냄새 / 탄
층이음 = 탄냄새 / 층오이 = 맛있는 냄새 / 쓰오이 = 더러운냄새
* 미은 / 썸레엥 / 쩜라엑
가지다 / 소리 / 이상한
* 쪼압 / 싸오
문이 잠겼다. 자물쇠가 잠겼다.
-> 엇 미은 꼬운 싸오( 꼬운싸오 = 열쇠)
* 뇨아 = 떨리다 ( 마음이 떨리는 것이 아니라, 진동)
* 멀 엇 크은 뗴 = 보고있지만, 안보인다.
<실전회화>
* 머썰먼 = 어제 / 머썰 무이틍아이 몬 = 그제 /머썰 삐 틍아이 몬 = 엇그제
* 뽄따에 = 따에 = 그러나
* 쁘러하엘 찌어 = 쁘러하엘 = 아마도
* 짬 / 크뇸 / 쭈쭐/ 아오이
기다리다 / 나/ 고치다 / 주다 = 기다려라내가 고쳐주겠다.
-> 짬은 ‘잠시만’이라고해석하는 것이 편하다.
'이중언어수업 > 캄보디아어회화반(화,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29일 16과 여행하기 (0) | 2014.08.05 |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7월 22일 1과 고장났을 때 (0) | 2014.07.22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7월 17일 14과 몸이 아플 때 (0) | 2014.07.21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13과 한국말과 비슷한 캄보디아 말 (0) | 201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