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과 운전사 모토돕과
1. 스꼬알/ 스탄뚝/ 꼬레 / 떼?
알다/ 대사관/ 한국/ 의문사
*스꼬알= 사람, 장소위치를 알다.
*덩 = 정보를 알다. 일반적인 알다
2. 떠으/ 프싸 뚤뚬뿡
= 가라 / 뚤뚬뿡시장
*4대 시장 = 뚤뚬뿡 /올람삑/ 오르사이/ 트마이
* 쏨 / 쭈운/ 크뇸 /떠으 /플러우/ 모니봉
-> 쭈운떠으 = 데리고가다.
= 쏨 쭈운 떠으 플러우 모니봉( 크뇸이 빠져도 무방)
* 엇/ 덩 / 펑
Not/ 알다/~도= 나도 모르겠다.
-> 펑 = ~도 / 예의 있게 들리다.
2-1. 욜 = 이해하다 / 쪠 = ~를 할 줄 안다(능력)
Ex) 크뇸 욜 하으이 = 나는이해했다.
크뇸 쪠 할 뜩 = 나는 수영할 줄 안다.
크뇸 쪠 컴쮸떠 =나는 컴퓨터를 할 줄 안다.
4. 껀라엥/ 쭈쭐/ 뚜르쌉 / 너으 아에나?
장소/ 고치다/ 핸드폰 / 어디예요?
껀라엥 + 동사 + 목적어 = 동사와 목적어가 장소를 꾸미며, ~장소라는 명사가 됨
5. 너으 쩟/ 모앗똔레
너으 쩟 = 근처에
너으 쪼압 = 바로 옆에 (쪼압은붙어있다라는 동사이다)
너으 캉 끄라오이 = 뒤 쪽에( 캉은 ~쪽 이란 뜻으로 너으 끄라오이 만 해도 무방)
너으 똘 목 = 건너 편에
너으 플러으 떠으 = 가는 길에(떠으가 플러으를 수식하며 가는 길에 라는 뜻이 된다.)
너으 르으 플러으 = 길가에 (르으는 ~위에 라는 뜻으로 길 위에라는 뜻이다)
6. 떠으 뜨렁 = 똑바로가세요
뜨렁 = STRAIGHT 라는 뜻으로 틍아이 뜨렁이 정오 라는뜻이 된다.
7. 벗 쓰담 = 우회전하세요
벗 = 접다라는 뜻으로 오른쪽으로 접어라, 즉 꺽어라 라는 뜻이 된다.
* 벗은 여러 의미가 있다. “접다” “끄다” “ 닫다”
8. 쪼울 / 플러우/ 코ㅎ / 하으이
들어가다/ 길 / 잘못된 / 완료형
= 잘못된 길로 들어섰다
* 떠으 / 웬 = 뜨럴럽/ 떠으/ 웬= 다시 가다
뜨럴럽: 뒤집다. 즉, 뜨럴럽 떠으 웬은 다시 뒤집어서 가라 라는 뜻으로 떠으 웬과 같은 의미이다.
9. 떠으/ 땀/ 께
가라 / 따라가다/ 그들
*땀
동사 + 땀 + 소유격 = 소유격을 따라서 동사해라 라는 말이다.
땀 자체로 따라가다 동사로 쓰일 수 있다.
10. 삐 / 띠니ㅎ / 덜/ 띠누ㅎ /뷔어 /쩜나이 /뼬 /뽄만?
FROM/ 여기 / TO / 저기 / 가주어 / 쓰다 / 시간/ 얼마나
*삐 = FROM , 덜 = TO
삐 띠니ㅎ 덜 띠누ㅎ = 여기에서부터 저기까지
* 쩜나이 = (시간, 돈)을 쓰다. / 뻴 = 시간(명사) / 뽄만(얼마인가?)
* 위어 / 쩜나이뻴 / 덥 쁘람 니어띠
= 가주어 / 시간을사용된다/ 15분
= 15분의 시간이 사용된다.
11. 쏨/ 떠으 / 땀 / 플러으 / 러어
PLEASE/ 가다/ 따라서/ 도로/ 좋은
= 좋은 도로를 따라 가주세요
'이중언어수업 > 기초캄보디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캄보디아어 토요반 수업 일정 변경 (0) | 2015.04.16 |
---|---|
7월 28일 11과 운전사, 모토돕과 (0) | 2014.08.05 |
7월 27일 10과 식당에서 (0) | 2014.08.05 |
'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7월 18일 9과 쇼핑하기 (0) | 201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