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2012년 04월 09 [전남/광양] 청매실농원의 산 역사, 율산매(栗山梅) 댓글 2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전남/광양] 청매실농원의 산 역사, 율산매(栗山梅) 광양 청매실 농원의 살아있는 역사, 율산백매(栗山白梅) 현재는 누가 뭐라해도 남도의 봄을 제일 먼저 알려주는 매실농원입니다. 광양 다압면 일대의 매실마을들이 저마다 꽃망울을 터트리면 전국의 모든 상춘객들이 섬진강변으로 몰려 듭니다. 흩뿌려 놓은 듯한 매화의 꽃잎 사이를 거..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2. 4. 9. 광양 청매실 농원의 살아있는 역사, 율산백매(栗山白梅) 현재는 누가 뭐라해도 남도의 봄을 제일 먼저 알려주는 매실농원입니다. 광양 다압면 일대의 매실마을들이 저마다 꽃망울을 터트리면 전국의 모든 상춘객들이 섬진강변으로 몰려 듭니다. 흩뿌려 놓은 듯한 매화의 꽃잎 사이를 거.. 댓글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2. 4. 9.
14 2011년 03월 14 길손의 첫 단행본이 출간 되었습니다.^^ 댓글 16 [길손의 韓國記行]/지극한 일상속으로.. [길손의 韓國記行]/지극한 일상속으로.. 길손의 첫 단행본이 출간 되었습니다.^^ 길손의 첫 이야기, 작은 일상, 작은 행복 <한국의 매화를 찾아서>입니다. 저의 첫경험인 책인지라, 완성도나 내용이 어수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를 경험으로 더 좋은 여행으로, 더 좋은 글로 인사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어, 아직 못 만난 고매화들을 만나고, 지금보다 더 충실한 매화이야.. [길손의 韓國記行]/지극한 일상속으로.. 2011. 3. 14. 길손의 첫 이야기, 작은 일상, 작은 행복 <한국의 매화를 찾아서>입니다. 저의 첫경험인 책인지라, 완성도나 내용이 어수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를 경험으로 더 좋은 여행으로, 더 좋은 글로 인사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어, 아직 못 만난 고매화들을 만나고, 지금보다 더 충실한 매화이야.. 댓글 [길손의 韓國記行]/지극한 일상속으로.. 2011. 3. 14.
25 2010년 03월 25 [경남/하동] 이름없어 더 아름다운 홍매, 횡천리 야매(橫川里 野梅) 댓글 37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경남/하동] 이름없어 더 아름다운 홍매, 횡천리 야매(橫川里 野梅)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스물두번째> 이름없어 더 아름다운 매화, 횡천리 야매(橫川里 野梅) 하동에서 구례로 넘어 가는 길, 섬진강의 지류인 횡천강을 따라 내려 가다가 "아! 매화다." 라는 탄식 섞인 감탄사가 입에서 절로 나올 정도의 아름드리 매화가 눈에 든다. 국도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음에도 ..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25.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스물두번째> 이름없어 더 아름다운 매화, 횡천리 야매(橫川里 野梅) 하동에서 구례로 넘어 가는 길, 섬진강의 지류인 횡천강을 따라 내려 가다가 "아! 매화다." 라는 탄식 섞인 감탄사가 입에서 절로 나올 정도의 아름드리 매화가 눈에 든다. 국도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음에도 .. 댓글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25.
24 2010년 03월 24 [전남/구례] 진달래의 색을 닮은 매화, 곡전재 분홍매(穀田齋 粉紅梅) 댓글 10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전남/구례] 진달래의 색을 닮은 매화, 곡전재 분홍매(穀田齋 粉紅梅)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스물한번째> 차분한 색을 가진 고운 매화, 곡전재 분홍매(穀田齋 粉紅梅) 진달래 꽃잎의 색을 닮은 아름다운 분홍빛의 매화가 있다. 구례군 토지면에 위치한 곡전재, 구례군 향토문화유산 3-9호로 지정된 조선 후기 민가로 그 중 부농에 해당되는 집의 구조를 갖고 있다. 그 처..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24.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스물한번째> 차분한 색을 가진 고운 매화, 곡전재 분홍매(穀田齋 粉紅梅) 진달래 꽃잎의 색을 닮은 아름다운 분홍빛의 매화가 있다. 구례군 토지면에 위치한 곡전재, 구례군 향토문화유산 3-9호로 지정된 조선 후기 민가로 그 중 부농에 해당되는 집의 구조를 갖고 있다. 그 처.. 댓글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24.
15 2010년 03월 15 [경남/함양] 가장 한국적인 한옥마을, 개평마을의 개평리고매(開平里古梅) 댓글 12 [길손의 旅行自由]/경상남도 [길손의 旅行自由]/경상남도 [경남/함양] 가장 한국적인 한옥마을, 개평마을의 개평리고매(開平里古梅)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열여덞번째> 최고의 한국적인 개평리 한옥마을, 개평리 고매 경남 함양은 선비의 고장이다. 이른바 '좌안동 우함양'이란 말이 여기서 나오게 된다. 선비의 고장 함양에 개평리 마을은 유독 명성을 잇는 마을로, 지금도 옛 모습의 한옥이 그대로 보존 되어 있는 우리나라에 몇 .. [길손의 旅行自由]/경상남도 2010. 3. 15.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열여덞번째> 최고의 한국적인 개평리 한옥마을, 개평리 고매 경남 함양은 선비의 고장이다. 이른바 '좌안동 우함양'이란 말이 여기서 나오게 된다. 선비의 고장 함양에 개평리 마을은 유독 명성을 잇는 마을로, 지금도 옛 모습의 한옥이 그대로 보존 되어 있는 우리나라에 몇 .. 댓글 [길손의 旅行自由]/경상남도 2010. 3. 15.
15 2010년 03월 15 [경남/양산] 천년고찰의 매화소식, 통도사 홍매(通度寺 紅梅) 댓글 4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경남/양산] 천년고찰의 매화소식, 통도사 홍매(通度寺 紅梅)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열일곱번째> 천년가람의 불보(佛寶)사찰, 통도사 홍매(通度寺 紅梅) 통도사는 우리나라 삼보사찰중의 하나다. 삼보(三寶)라 함은 불교에서 중히 여기는 세가지의 보물을 뜻하는 것으로 佛(부처), 法(부처의 가르침), 僧(부처의 제자)를 말하며 삼보사찰이라 함은 삼보의 본찰..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15.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열일곱번째> 천년가람의 불보(佛寶)사찰, 통도사 홍매(通度寺 紅梅) 통도사는 우리나라 삼보사찰중의 하나다. 삼보(三寶)라 함은 불교에서 중히 여기는 세가지의 보물을 뜻하는 것으로 佛(부처), 法(부처의 가르침), 僧(부처의 제자)를 말하며 삼보사찰이라 함은 삼보의 본찰.. 댓글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15.
11 2010년 03월 11 [경남/거창] 충절의 선비, 정온선생의 생가, 동계종택매(桐溪宗宅梅) 댓글 6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경남/거창] 충절의 선비, 정온선생의 생가, 동계종택매(桐溪宗宅梅)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열여섯번째> 조선 충절의 선비 정온(鄭蘊)선생의 생가, 경남 거창 동계종택 백매 조선 15대왕 광해군 때, 동생인 영창대군을 강화도로 귀향을 보내고 그도 모자라 강화부사를 시켜 죽였으며, 부왕의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를 폐출하려 하고, 친형인 임해군을 역모로 몰아 시..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11.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열여섯번째> 조선 충절의 선비 정온(鄭蘊)선생의 생가, 경남 거창 동계종택 백매 조선 15대왕 광해군 때, 동생인 영창대군을 강화도로 귀향을 보내고 그도 모자라 강화부사를 시켜 죽였으며, 부왕의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를 폐출하려 하고, 친형인 임해군을 역모로 몰아 시.. 댓글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11.
11 2010년 03월 11 [경남/김해] 명매의 무리진 용트림의 아름다움, 김해 와룡매(臥龍梅) 댓글 12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경남/김해] 명매의 무리진 용트림의 아름다움, 김해 와룡매(臥龍梅)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열다섯번째> 김해건설공고, 와룡매(臥龍梅) 1927년 김해농업고등학교로 개교를 했다. 그러다가 김해 농생명 과학고등학교로 개칭하며 이전하고, 현재의 자리에 1978년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들어선 학교다. 학교의 교목이 매화로서 인내, 고결, 미덕과 패기를 상..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11. 한국의 매화를 찿아서.. 열다섯번째> 김해건설공고, 와룡매(臥龍梅) 1927년 김해농업고등학교로 개교를 했다. 그러다가 김해 농생명 과학고등학교로 개칭하며 이전하고, 현재의 자리에 1978년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들어선 학교다. 학교의 교목이 매화로서 인내, 고결, 미덕과 패기를 상.. 댓글 [길손의 테마여행]/한국의 매화를 찾아서.. 2010.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