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人의 정체성을 밝히고,
韓國人의 긍지를 가진다.
國祖檀君
개천절(開天節)은 대한민국의 국경일의 하나로, 날짜는 10월 3일이다.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세운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하늘을 열었다는 ‘개천(開天)’이란 말은 환웅이 하늘에서 백두산의 신단수 아래로 내려온 것, 혹은 기원전 2333년에 단군이 고조선을 처음 건국한 것을 의미한다. 이 날에는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를 게양한다.
한글 | 漢字混用 |
---|---|
1 | 1
|
2
| 2 |
3
| 3
|
4
| 4
|
장소 | ![]() |
---|---|
형태 | 대한민국 국경일 |
중요도 | 단군왕검의 고조선 건국일 |
날짜 | 매년 10월 3일 |
행사 | 제천행사 |
관련 | 동맹, 영고, 무천, 계음 |
'개천절'이라고 하는 이름은 대종교(大倧敎)에서 비롯되었다. 즉, 1909년 1월 15일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다시 문호를 열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경축 행사를 거행하였다. 이와 같은 행사는 일제의 압박을 받고 있는 한민족의 민족정신을 기르는 데 기여하였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자 임시 정부에서는 음력 10월 3일을 국경일로 제정하였다. 이는 당시 단군을 한겨례의 시조로, 고조선을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보는 보편화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도 이어져 1948년 9월 25일 '연호에 관한 법률'에서 단군기원(檀君紀元), 즉 단기를 국가의 공식 연호로 법제화하였다. 이후 1949년 10월 1일에는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양력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개천절이라고 이름 붙이기 이전부터 한민족은 10월을 상달(上月)이라 부르며 제천행사를 치렀다. 개천의 핵심은 제천의식이다. 이 날은 하늘 앞에 자신을 돌아보고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라는 고조선의 시조 단군의 뜻을 다시 상기하였다.
이러한 제천의식은 고조선 멸망 후, 고구려의 동맹(東盟), 부여의 영고(迎鼓), 동예의 무천(舞天), 마한과 변한의 계음(契飮) 등의 행사로 계승되었으며, 고려와 조선에서도 단군신앙을 이어나갔다. 개천절은 나라의 가장 큰 축제의 날로 이 날은 다함께 천제를 지낸 후, 함께 어울려 먹고 마시며 춤을 추고 놀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런 제천 의식은 본래 축제날과 같은 흥겨운 날이기도한다.
제천 행사(祭天行事)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행사라는 뜻으로, 나아가 하늘을 숭배하고 제사하는 의식이다. 대부분 농업지역에서 행해지며, 씨를 뿌린 뒤 농사의 풍요를 하늘에 기원하고 곡식을 거둔 뒤 하늘에 감사하는 행사이다. 제천 의식(祭天儀式)이라고도 한다.
본래 대종교에서 부르던 노래였으나, 개천절을 국경일로 제정하면서 지금과 같이 바뀌었다. 정인보가 작사, 김성태가 작곡하였으며, 그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2절
3절
고대 한민족은 기원전 3세기를 전후하여 고조선·부여·고구려·읍루(揖婁)·옥저(沃沮)·예맥(濊貊)·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 등의 원시 공동체 또는 부족 국가를 형성, 정착 생활을 하면서부터 상당히 발전된 문화를 형성했다.
처음 한국의 신화·전설·가요가 구체적으로 불린 자리에 제천 의식이 있었고, 서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인 생활 모습으로서 무속 신앙(巫俗信仰), 곧 샤머니즘을 가지고 있었다. 또 수렵 경제에서 농업 경제로 넘어오면서 집단적인 부족 회의와 공동적인 제전으로 제천 의식을 열고, 생명의 근원인 창조신과 더불어 곡신(穀神)을 제사지냈다.
이때 각 부족이 모여 단체적으로 가무와 천신지기(天神地祇)를 제사지냈으니, 비로소 고대 한민족의 예술과 문학의 맹아가 싹텄다.
1편 개화와 독립
https://www.youtube.com/watch?v=oICqHWOCTvY
2편 건국과 분단
https://www.youtube.com/watch?v=fUErFNrhVlc
3편 6.25와 4.19
https://www.youtube.com/watch?v=wQzQ4sZjMzs
대부 양 방수(바오로)
요즘도 강의 하시나요. 저도 배울수가 있나요?
대길형! 저 미남사진보니 빨리 누구 중매하여야 되겠네.
LA 형님이,,,
배우고 싶으면 bangyang@hotmail.com
으로 연락 해 보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