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drsin66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동천년노 항장곡(桐千年老 恒藏曲) : 오동나무는 천 년이 지나도 늘 아름다운 곡조를 간직하고, 매일생한 불매향(梅一生寒 不賣香) : 매화는 평생 혹한에 꽃을 피지만 향기를 팔지 않는다. 월도천휴 여본질(月到千虧 餘本質) :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본바탕은 변하지 않으며, 유경백별 우신지(柳經百別 又新枝) : 버드나무는 백 번을 꺾여도 새 가지가 돋아난다. ☞ 조선 중기 4대 문장가 상촌(象村) 신흠(申欽. 1566 ~ 1628)
댓글 2
FM Research
2012. 12. 7.
‘눈길을 밟으며’ 踏 雪 野 中 去
踏 雪 野 中 去 (답설야중거)不 須 湖 亂 行 (불수호란행)今 日 俄 行 跡 (금일아행적) 燧 作 後 人 程 (수작후인정) -休靜 서산대사의 선시(禪詩)-
눈덥힌 들판를 밟아 갈때에도 모름지기 그 발걸음을 어지럽게 하지 말라 오늘 내가 걸어간 발자취가 반드시 뒷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 . . .김구 선생께서 평생동안 좌우명으로 삼으신"踏雪野中去" 음미(吟味)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