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2019년 10월 11 각주구검 댓글 0 고사 성어 고사 성어 각주구검 각주구검(刻舟求劍)이란 배를 타고 가다가 칼을 강물에 빠뜨렸는데 칼을 빠뜨린 배에 표시를 해 두었다가 그곳의 물속을 뒤져서 칼을 찾겠다는 생각을 말한다. 배를 정박해 두었다면 모르디 타고 가면서 칼이 빠진 지점을 배에 표시해 둔다는 것이 얼마나 웃기는 일이며 불가능한 일이다.. 고사 성어 2019. 10. 11. 각주구검(刻舟求劍)이란 배를 타고 가다가 칼을 강물에 빠뜨렸는데 칼을 빠뜨린 배에 표시를 해 두었다가 그곳의 물속을 뒤져서 칼을 찾겠다는 생각을 말한다. 배를 정박해 두었다면 모르디 타고 가면서 칼이 빠진 지점을 배에 표시해 둔다는 것이 얼마나 웃기는 일이며 불가능한 일이다.. 댓글 고사 성어 2019. 10. 11.
10 2019년 10월 10 두문 불출, 댓글 0 고사 성어 고사 성어 두문 불출, 두문불출(杜門不出) 이란 문을 걸어 잠그고 밖에 나가지 않는다는 말이다. 고려말 이성계의 조선 건국으로 인하여 고려 선비들이 이성계에게 충성 할 수 없다 하여 경기도 가평 어느 산골(두문동)로 숨어 들어가 살았던 것에서 생긴 말이다. 그런데 강원도 양구군에 가면 남면에 두무리 .. 고사 성어 2019. 10. 10. 두문불출(杜門不出) 이란 문을 걸어 잠그고 밖에 나가지 않는다는 말이다. 고려말 이성계의 조선 건국으로 인하여 고려 선비들이 이성계에게 충성 할 수 없다 하여 경기도 가평 어느 산골(두문동)로 숨어 들어가 살았던 것에서 생긴 말이다. 그런데 강원도 양구군에 가면 남면에 두무리 .. 댓글 고사 성어 2019. 10. 10.
12 2019년 09월 12 기심 댓글 0 고사 성어 고사 성어 기심 기심(機心)=양심을 속이고 남을 해 하려는 음흉한 마음(꾀)(사전). 이 기심이라는 말이 나온 것은 고대 중국 중부 지방의 넓은 강변에서 외딴 집을 짓고 홀 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기전(機甎)이라는 청년이 있었는데 그 마음씨가 착하고 아름다워 강변의 새들 까지도 알아주고 있었다. 기전.. 고사 성어 2019. 9. 12. 기심(機心)=양심을 속이고 남을 해 하려는 음흉한 마음(꾀)(사전). 이 기심이라는 말이 나온 것은 고대 중국 중부 지방의 넓은 강변에서 외딴 집을 짓고 홀 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기전(機甎)이라는 청년이 있었는데 그 마음씨가 착하고 아름다워 강변의 새들 까지도 알아주고 있었다. 기전.. 댓글 고사 성어 2019.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