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2021년 04월
05
25 2021년 03월
25
18 2021년 03월
18
부산광역시 영도구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산이 봉래산이다, 영도구는 전체가 이 봉래산 아래에 조성되어 있는 것이다. 시내에서 영도대교나 부산대교를 지나 들어가면 바로 보이는 산이다. 어제(3,17일) 남포동 쪽에서 보이는 마을 즉 봉래산 북쪽으로 있는 영선동에서 올라갔는데 산에 들어서자 마자 진달래꽃들이 만발하여 매우 즐거운 하루였다. 봉래산 올라가는 길 풍경들, 봉래산 체육공원 풍경, 불로문과 불로문 전망대에서 본 부산항 풍경, 정상으로 가는 길, 봉래산 정상 풍경, 봉래산 정상 전망대에서 보는 부산항 풍경들, 부산항 대교, 신선대와 오륙도, 남항과 남포동 주변 풍경, 남항대교 풍경,
24 2021년 02월
24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에 중리나는 작은 해변 마을이 있다, 뒤로는 동쪽으로 산너머 태종대가 있고 앞으로는 봉래산이 있으며 남항대교 아레서 출발하는 절영 산첵길 종착점 이기도 하다. 바닷가 암석지대 에는 이곳의 작은 어선을 타고 나가 근해에서 잡은 어류와 해녀들이 물질을 하여 잡아올린 해산물을 고무대야에에 담아놓고 팔던 계단식 점포들이 있었는데 요 몇년 사이 현대화가 되면서 어선들은 새로 생긴 등대 방파제 안으로 정돈이 되었고 계단식 점포들은 철거하여 해녀 문화 전시관으로 통합 하였다. 지금 여기 중리에서 태종대로 넘어가는 산책로를 자동차 도로로 넓히는 공사를 하고 있어 태종대 왕래하는 자동차가 늘면 이곳의 생활도 크게 향상이 될 것 같다, 해녀 문화 전시관 입구와 전시관으로 가는 길, 봉래산 풍경, 영..
11 2021년 02월
11
을숙도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있다. 1980년대 낙동강 하구둑이 건설 되면서 을숙도는 더이상 섬이 아니고 하단과 강서구 명지동을 연결하는 중요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을숙도는 각종 문화 시설과 스프츠 시설들이 있고 남쪽으로는 철새 도래지 탐조(探鳥)의 명소가 있다, 어제(2021,2,10)는 오랫만에 철새들을 구경하려고 을숙도를 찾았다가 조류 전염병 예방을 위하여 출입을 통제 하는 고로 탐조를 하지 못하고 을숙도 공원만 한바퀴 돌아보고 왔다. 을숙도는 시내버스,마을 버스가 다니며 지하철 1호선 하단역에 하차 1번 출구로 나가 30분 정도 걸으면 하구둑을 지나 도착을 한다, 을숙도 표지석, 하구둑 풍경, 을숙도 풍경, 을숙도 문화회관과 조각 공원, 부산 시립 현대 미술관, 동물들의 통로로 보이는..
28 2021년 01월
28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에는 유엔 공원이 있다, 1950년 6월 25일 일요일을 택하여 새벽에 기습적인 북의 일방적인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 하면서 민주주의 지키겠다는 세계 각국의 전쟁 지원을 받아 성공리에 지켜낸 대한민국의 역사의 흔적이다, 3년간의 전쟁에 많은 장병들은 목숨을 잃었고 그들은 전쟁중이라 각자 고국으로 돌아가지도 못하고 여기 한국땅에 머물렀는데 그분들을 여기 한곳에 편안하게 모신 곳이 바로 유엔군 묘지로 군(軍)에서 관리를 했었는데 였는데 근래에 와서 유엔공원으로 이름을 바꾸어 모든 사람들이 자유롭게 드나들면서 추모를 하도록 하였다, 공원 안에는 홍매화 나무가 2그루 있는데 해매다 입춘 절기를 즈음하여 꽃이 피면서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올해도 어김없이 홍매는 피면서 봄이 왔..
05 2021년 01월
05
19 2020년 11월
19
11월 18일(수)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은 적막하였다, 해수욕장 밖에서 휴식을 즐기거나 해변 산책로를 걷는 사람들이 간간이 있을 뿐 백사장에는 예전의 갈매기들과 노니는사람들이 없다. 12월에 실시할 빛 축제장 준비 작업만 한창이었다. 해운대 비석, 이 해운대라는 글자는 고운 최치원 선생이 썼다고 전해오는 동백섬 해안 암벽에 새긴 글자를 복사하여 새겨서 여기에 설치를 한 것이다. 터어~엉 빈 해운대 백사장, 송림공원,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 노래비, 해운대 엘레지 노래비, 노래의 가사 2절이 사라진 노래비, 전국에 노랫말이 빠진 노래비는 본 적이 없는데 여기 해운대 엘레지만 2절 노랫말이 없다. 사라진 가사 2절, (백사장에서 동백섬에서 속삭이던 그말이 오고 또 가는 바닷물 타고 들려오네 지금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