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널한 미국 쓰레기 분리수거, 한국만 열심인 것 같아요 ㅡ.ㅡ;;
이 곳 미국에서 제가 주로 하는 일이 아무래도 주부에 가깝다 보니까 쓰레기 버리는 일도 역시 저의 일입니다.
그런데 한국에서와는 달리 이 곳에서의 쓰레기는, 그저 쓰레기통에 그냥 휙~ 던져 버리면 되는 너무 쉬운 일입니다.ㅡ.ㅡ;;
처음에는 한국에서의 버릇대로 칼같이 종이류, 플라스틱류, 빈병류, 음식쓰레기 따로따로 분리하여 차곡차곡 모아 두었습니다.
그렇게 분리수거하여 모아둔 쓰레기들을 아파트 입구에 있는 쓰레기 통에 버리려고 나갔는데...
아무리 눈을 씻고 찾아봐도 종이, 박스, 플라스틱, 캔, 빈병류, 음식물 쓰레기 등등으로 분리된 쓰레기통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그저 눈에 띄는 쓰레기통이라곤 커다란 재활용 쓰레기통 딸랑 하나 뿐이었습니다. ㅡ.ㅡ;;;
한국에서 빡세게 쓰레기 분리수거하는 버릇 때문에,
전세계 모든 나라가 당연히 그렇게 하는 줄 알았는데 적잖이 당황했던 순간이었습니다. ㅡ.ㅡ;;;;
미국의 다른 주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뉴저지주는 쓰레기 분리수거가 너무 널널한 것 같습니다.
말 그대로 무늬만 재활용 분리수거인 듯...
뉴욕 브루클린의 한 마을을 지날때 온 동네가 버려진 쓰레기봉투 천지로 너무 지저분해서 적잖이 놀란 적도 있었는데...
아마도 미국의 다른 곳들도 뉴저지와 마찬가지로 무늬만 재활용 분리수거가 강제적이지 않고 그저 권고사항일 뿐이겠죠? ㅡ.ㅡ;;
재활용 쓰레기를 버리는 것도 우리나라처럼 과태료까지 부과할 정도로 엄격하지는 않고 어디까지나 권고사항일 뿐인 것 같습니다.
덕분에 이곳에서 저는 쓰레기 버리는 일이 한국에 비해 너무 널널하고 쉽네요. ㅡ.ㅡ;;;;
그러다 보니 쓰레기 버리는 일이 부담스럽지 않고 여차하면 마구마구 버리게 된다는...
한국에서는 쓰레기 버리는 과정이 워낙 까다로와서 왠만하면 쓰레기 양을 줄이는 방향으로 집안살림을 했는데 말이죠.
하여간 이 곳은 쓰레기 분리수거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주부로서 큰 일 하나 덜었습니다. ㅡ.ㅡ;;
그래서 요즘에는 비닐류, 캔류, 종이류, 빈병, 플라스틱 등등으로 따로 분리하지 않고
이 곳에서는 그저 박스와 PET병만 따로 모아 분리수거하고 있습니다. ㅡ.ㅡ;;
현지 미국인들에게 미국은 재활용 분리수거가 한국에 비해 덜 지켜지는 것 같다며 이에 대해 물어보니,
재활용 쓰레기를 기껏 따로 모아 버린다 해도, 쓰레기 청소차가 일반 쓰레기랑 합쳐서 함께 버리는 경우가 흔하다며,
제게 귀뜸을 해주는데, 저는 그만 헉~!! 두손 두발 다 들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쓰레기 버릴 때도 일반 봉투에 버리면 법에 저촉되기 때문에,
쓰레기 봉투도 돈주고 사서 꼭 그 봉투로만 쓰레기를 버려야 한다....
게다가 쓰레기 버리는 날도 일주일에 하루이틀 정도로 반드시 정해진 날에만 쓰레기를 버려야 한다...
면서 이 곳 미국인들에게 말하니 눈을 동그랗게 뜨면서 깜짝 놀랍니다.
지구 환경 문제를 생각하면 한국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는 너무너무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다면서요 ㅡ.ㅡ;;;;
에고....결국 지구상에서 쓰레기를 가장 많이 무차별적으로 배출하는 가장 거대한 나라가 바로 미국일텐데....
미국 땅 덩어리 100분의 1도 안되는 조그마한 남한 땅덩어리에서 허구한 날 백날 쓰레기 분리수거하면 뭐하나...
하는 씁쓸한 넋두리까지 나오기도 했습니다.
비단 이것은 쓰레기만의 문제가 아니라, 자동차 배기가스 등 거의 모든 지구 환경문제에 관해서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생각하니,
지구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미국의 책임있는 자세가 아쉽긴 합니다. ㅡ.ㅡ;;;
툭하면 환경문제가 어쩌고 하는 미국이 정작 자국은 이렇게 널널한 분리수거를 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니 조금 씁쓸했습니다.
까만색-완전 쓰레기 버리는 통
파란색-이게 재활용 쓰레기통
초록색-정원에서 나온 잔디나 나뭇가지 버리는 통
이렇게 재활용합니다.
하지만 그 외 상업용건물이나 아파트는 분리수거를 안하는지 못하는지 의사선생님말씀 맞다나 그렇게 하고 있습디다.
하지만 재활용 비율은 한국보다도 높다고 하던데? 하긴 몇년 전 신문에서 본 자료라서...
It's good to note that if you visit the EPA, or another recycling website, you may see the term "Recovery" used in place of recycling; but they're fairly interchangeable when discussing statistics. The (EPA) only updates recycling statistics every few years.
The last time they computed the national recycling figures was in 2005, for which the EPA shares the following United States recycling statistics:
Overall data from 2005 concluded that recycling trends were positively increased from 2003 (the last time statistics were figured).
Recycling and composting rates recovered 32.1 percent of MSW or 79 million tons. But this figure, you will recall, does not include hazardous, industrial, and construction waste. 32.1 percent is higher than before but still way too low.
Approximately 8,550 curbside recycling programs existed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a lower figure than the 8,875 programs that existed in 2003.
Composting programs, meaning that people recycle leaves and grass, and other organic items such as food, jumped from 3,227 in 2003 up to 3,470. For more details about how you can compost, see Building a Compost Bin.
Container and packaging recycling increased to 40 percent.
62 percent of yard waste was composted, which is a good percentage.
50 percent of all paper products were recycled -- or about 42 million tons.
From 1990 to 2005, the amount of MSW going to U.S. landfills has decreased by 9 million tons and continues to decrease each year. However, U.S. goals should and do continue to address the fact that these figures can be improved.
.
http://greenliving.lovetoknow.com/United_States_Recycling_Statistics
주부들앞에서 지독한 시애비보다 무섭습니다, 과거 쓰레기수거료낼때의 참상 정말 가관이엿죠,
더구나 구청 노무직 공무원신분이라던데, 산비탈집 주부들이 힘들게 머리에이고가면 맘안들면 둘구 집어던져삡니다,
차가아닌 길바닥에다죠, 그리고는 그냥갑니다, 주부는 할쑤없이 긁어담아 도루 집으로 되가져옵니다,
이래서 되겟습니까? 평생 쓰레기수집이나해먹어라?
한국보다더 심하게
행복하세요.
쓰레기라는 것이 버리는 사람에게는 쓰레기일지라도 그것을 재활용 하는 사람들에게는 엄청난 자원이죠.
철광석이 없어 다른 나라 고철도 수입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분리수거가 엄청난 외화절약입니다.
김영삼정권의 치적(?) 중 하나가 금융실명제와 쓰레기분리수거입니다.
우리 후손에게 물려 줄 아름다운 유산입니다.
그리고 한국처럼 봉투구입해서 버리는 비용보다 쓰레기 청소와 계약해서 내는 비용또한 미국이 아주 비싸구요.
물론 한국의 아파트처럼 빡세지는 않지만 나름 돈내고 불리수고 한답니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분리수거를 하고있는 시점에서 미국이 선진국이라는 의미가 무색하다고 생각합니다.
누가 옳고 그른가는 모르겟습니다.
환경쪽에 공부했고 환경쪽에서 일하고있는 사람으로써 한국과 비교하면서 살수밖에없는 미국생활이지만
다른나라에 쓰레기를 파는 방법밖에 생각할수밖에 없는 머리인가?라는 생각이듭니다.
그냥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도 외국인들 쓰레기 버리는 거 적극 홍보하고 교육좀 시켰으면 좋겠습니다 외국인 학생들 세 주면 거의 안하고 살아서 주인이 다하다 시피 합니다 .
나날이 지구는 병드는데 저도 공감 미국이 막버리는데 우리나라만 잘해서 될지 어휴 걱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