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helimkim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내가 걷는 산길에는 요즈음 인동초 꽃이 만발했다. 벌들 잉잉거리며 꿀을 빠는 모습을 보면 부모님 생각이 난다. 농사를 짓던 아버지는 모내기를 하고 나면 몸이 많이 허약해진 듯 하셨다. 그런 아버지께 어메는 인동초 꽃 막걸리를 담아 노고에 보답하셨다. 그런 모습에 익숙한 나도 인동초 꽃을 보면 '술을 담고 싶다.' 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그 맘을 부모님 가신지 십 년도 더 지난 지금 실행하고 있다. 어메처럼 손수 띄운 누룩으로 막걸리를 담는 게 아니라 소주를 부은 꽃술을 말이다. 시간이 흘러 쌉싸름한 인동초 꽃향기와 맛을 가진 술이 익었을 때, 우리는 술 한 잔 앞에 놓고 부모님의 사랑과 땀 뻘뻘 흘리시며 꼴지게를 지고 집으로 돌아와 "캬" 하는 탄성과 함께 막걸리 한 잔 하시며 행복해하시던 아버지의 ..
모처럼 한가한 주말 오후에 행궁을 걸었다. 아름다운 매화가 행궁을 배경으로 웃고 있다. 그 꽃그늘 아래 연인들의 사랑이야기도 아름답다. 이렇게 매화가 필 때면 안동에서 전해오는 성리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와 관기의 아름다운 사랑이야기가 생각이 난다.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은 매화(梅花)를 끔찍이도 사랑했대요. 그래서 매화를 노래한 시가 1백수가 넘는대요. 이렇게 놀랄 만큼 큰 집념으로 매화를 사랑한데는 이유가 있었어요. 바로 단양군수 시절에 만났던 관기(官妓) 두향(杜香) 때문이었지요. 퇴계 선생이 단양군수로 부임한 것은 48세 때였고 두향이는 18살 때였어요. 두향은 첫눈에 퇴계 선생에게 반했지만 처신이 풀 먹인 안동포처럼 빳빳했던 퇴계 선생은 당시 부인과 아들을 잇달아 잃고 홀로 부임하였으니 그 ..
나는 수원화성 안 쪽 동네인 행궁동을 걷기를 좋아한다. 오래된 전통시장이 있고, 넓지 않은 골목에 나지막한 집들이 올망졸망한 게 마치 고향 같기도 해서이다. 특히 그 길을 걷다가 보면 수시로 마주하는 화성성곽과 건물들을 볼 수 있어서 참 좋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하나 둘 가게..
좀 쌀쌀하기는 하지만 햇살 고은 주말 오후에 수원화성 안 동네 행궁주변을 걸었다. 정월대보름이 코앞인 주말이라 행궁광장과 주변에서는 연날리기, 제기차기, 한국무 공연 등 대보름 행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가족들과 또는 연인들, 친구들과 나온 사람들은 모두가 행복한 얼굴이다. ..
어린 시절을 시골 크지 않은 초가집에서 보낸 나는 도시의 아파트에 살면서도 그 때 그 시절의 붉은 황토로 된 벽과 돌을 섞어 만들 토담을 늘 그리워했다. 20여 년 전 사진을 처음 배우고 내가 찾아나선 피사체도 그런 것들이었다. 시골 구석구석을 헤매며 찾아낸 그 벽이나 담들은 그 때 ..
모든 이웃님들 설 명절 잘 보내시고 일상으로 돌아오셨겠지요. 올해도 건강하시고 만복이 가득하시길 빌며 전에 올렸던 안동의 큰 제사 지내는 모습을 조금 보충해서 올립니다. 분정판도 붙이고 진설도 끝났다. 창홀(제사 진행자)의 홀기를 따라 본격적인 제사가 시작된다. 그 시작은 사당에 모셔두었던 신위를 모시고 제청으로 오는 것에서 부터이다. 사당에 출주(신주를 모시고 제청으로 나오는 것)를 하겠다고 고하는 제관들 사당에 향을 피우고 절을 한 후에 신위를 모시고 나온다. 이 때 제관들은 신을 신지 않고 맨발로 한다. 그 싯점부터가 제사를 지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신위를 제청으로 모시고 제사를 진행한다. 제사의 절차는 행강신례(行降神禮), 행초헌례(行初獻禮), 행아헌례(行亞獻禮), 행종헌례(行終獻禮), 행유식..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섬진강 줄기따라 화개장터엔 아랫마을 하동사람 윗마을 구례사람 닷새마다 어우러져 장을 펼치네 구경한번 와보세요 보기엔 그냥 시골장터지만 있어야 할 건 다 있구요 없을 건 없답니다 화개장터 전라도 쪽 사람들은 나룻배 타고 경상도 쪽 사람들은 ..
민족의 가장 큰 명절인 설날이 다가옵니다. 이제 나이가 드니 일하는 것이 겁도 나지만 오래 전에 찍어두었던 안동의 큰제사 준비과정을 보면서 다시 앞치마를 둘러야겠습니다. 학봉(김성일)종가에서는 제사상에 송구송편(소나무껍질로 만든 떡)과 안동 마를 꼭 올린다, 송구는 물이 오른 봄날에 남자들이 벗겨 놓아서 말렸다가 불려서 쓴다. 마는 생마를 쓰는데 학봉 선생이 임진왜란에 나가셔서 속병이 났을 때 마를 잡수시고 고쳐서 제사에 꼭 올리는 음식이다. 제수 장보기는 대부분의 종가에서 남자들의 몫이다. 싱싱한 생선을 고르는 광산김씨 군자리 제관들. 제사를 지내러 종가로 모여드는 제관들 . 손에 든 가방에는 제복인 도포가 들었다. 제관들이 모여드니 음식을 준비하는 안어른들의 손놀림도 바빠진다. 떡을 만드는 손 끝에 ..
2014 우수블로그, 2013 우수블로그 2011 우수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