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hjandej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미국 경영체계 문제 아래 글은 이를 완벽히 설명한다. 일본회사와 미국회사가 로렌스강에서 카누경기를 갖기로 했다. 양팀은 경기를 앞두고 최고의 실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길고 고된 훈련을 했다. 경기당일 일본팀은 미국을 1마일(1.6km)차이로 이겼다. 크게 실망하고 사기가 떨어진 미국..
■ 공지영 : 나는 그렇게 배웠다. 인간은 동물이 아니고, 우리 사회는 힘이 센 자가 힘없는 자를 함부로 지배하고 잡아먹는 정글이 아니므로 국가가 필요하고 공권력이 탄생했다고. 우리가 그들에게 복종하고, 그들이 내라는 대로 세금을 내고, 웬만한 비리에도 대개는 눈감는 것은 그들..
안철수 대선후보, 경제민주화 정책 발표문 ( 2012. 10. 14 ) 저는 지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사람다운 삶을 살 수 있길 바라는 꿈을 가지고 섰습니다. 대한민국은 많이 자랐습니다. 많이 변화했습니다. 산업화가 이뤄졌습니다. 기업은 크게 성장해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경쟁에서 뒤처..
관리자본주의에서 시장(금융)자본주의로 전환되는 지난 몇십 년간의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서 산업자본의 발전이 근로자와 대중의 삶의 질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전통적인 믿음이 사라졌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자본권력이 대의민주주의적 절차에 의해 대..
일을 하는 첫 번째 조건은 뭐니 뭐니 해도 자신이 좋아해야 한다는 것이다. 거기에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사회에도 필요한 일이고, 자신밖에 할 수 없다면 크나큰 영광일 것이고 그 일을 하려는 동기는 배가된다. 개인이 ‘내가 왜 여기에 있는가’라는 물음을 의식하고 살아야 하..
경험이 바보에게도 가장 좋은 학교이고 필요는 발명을 낳는 법이다. 인간은 대공황 때문에 크나큰 고통을 당했지만 많은 것을 배웠고 다시는 그런 비극을 겪지 않으려고 여러 가지 새로운 제도를 만들었다. 대공황은 무엇보다도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믿음과 자유방임주의 ..
♣ 표준경제학에서는 경쟁을 좋은 것으로 생각한다. 나 역시 그렇게 생각한다. 경쟁은 결코 나쁜 일이 아니다. 시장을 통한 경쟁이든 혹은 여타의 다른 작동방식을 통한 경쟁이든 경쟁은 많은 경우 새로운 효율성을 만들어낸다. 또한 다른 방식의 진화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장치이기도 하다. 어떤 방..
○ 인간의 본질은 노동에 있다. 인간은 노동을 통하여 자연과 소통하며, 노동의 열매를 사회에 제공하면서 사회적 존재가 된다. 인간은 노동을 통하여 진화해왔으며, 노동을 통하여 자아를 실현한다.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이 노동의 과정이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외적 강제에 의해 통제되는 한, 인..
자유 시장이 경제 발전을 위한 최선의 길이냐 하는 질문을 접어두고 생각한다면 (나는 이 질문과 관련하여 이 책에서 시종일관 그렇지 않다고 반복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과연 민주주의와 (자유) 시장은 실제로 천생연분이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일까? 대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자들의..
♣ 매일매일 정성껏 씨앗을 뿌리다보면, 오늘 거두는 열매도 있고 내일 거두는 열매도 있게 마련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씨앗을 뿌리는 것이다. 매일 두 개의 씨앗을 뿌리고 하나의 열매를 거두면, 점점 수확은 늘어나게 될 것이다. 예전 뿌려두었던 씨앗의 열매를 거두는 일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