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hjandej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The School of Athens, 1509~1511, Raphael(1483~1520) Fresco, Apostolic Palace, Vatican City 스스로 통치하려는 마음을 갖지 않을 경우에, 그에 대한 최대의 벌은 자기보다 못한 사람한테 통치를 당하는 것일세. 훌륭한 사람들이 정작 통치를 맡게 될 때는, 그런 벌을 두려워해서 맡는 것으로 내겐 보이네. 그리..
엄청난 양의 에너지와 물질을 폭발적으로 품어 냈던 대폭발의 큰 사건이 있은 뒤 가늠할 수 없는 영겁의 세월을 지내는 동안 코스모스에는 그 어떤 구조물도 없었다. 은하도, 행성도, 생명도 찾아볼 수 없었다. 빛으로 뚫고 들어갈 수 없는 칠흑의 심연만이 그 당시의 우주를 독차지했다. ..
Cosmos: A Spacetime Odyssey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osmos: A Spacetime Odyssey is a 2014 American science documentary television series. The show is a follow-up to the 1980 television series Cosmos: A Personal Voyage, which was presented by Carl Sagan on the Public Broadcasting Service and is considered a milestone for scientific documentaries. This series was d..
인간을 위한 약속, 사회계약론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말은 루소의 사상을 짧지만 가장 정확하게 표현한 것이다. 『학문과 예술론』, 『인간 불평등 기원론』을 통해 루소는 자연을 찬양하고 인간이 만들어 낸 문명을 비판했다. 루소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는 사람도 적지 않았지만 많..
여러 해 동안 덴버의 청소년 재판소의 장으로 있으면서, 그 직무상 누구보다 사태를 잘 파악하고 있었던 린제이 판사는 이른바 ‘우애 결혼(companionate marrige)’이라는 새로운 제도를 제안하였다. 그는 불행히도 자신의 공직을 잃고 말았다. 그가 그 지위에 있으면서 청소년들에게 죄의식..
철학의 오만, <장정일의 공부> 中에서 □ 자발적인 나치 지지자 박찬국의 『하이데거와 나치즘』(문예출판사, 2001)은 하이데거를 찬찬히 읽어 볼 엄두조차 못 냈던 나 같은 사람에게도 무척 흥미로운 저작이다. 1927년, 38세의 나이로 『존재와 시간』을 간행하자마자 세계적인 명성을 ..
『 인간 사이의 불평등의 기원은 무엇이며, 불평등은 자연법에 의해 허용되는가? 』 - 디종 아카데미 현상 논문 공모 ( 프랑스, 1753.11 ) “학문과 예술의 부흥은 풍속의 순화에 기여했는가?”라는 주제의 현상 논문을 공모하여 루소에게 <학예론 Discours sur les sciences et les arts>을 집필케 ..
어떤 한 장의 결정 사진이 내 마음을 사로잡았다. 지금까지 그렇게 아름답고 화려한 결정을 본 적이 없었다. '사랑·감사' 라는 글을 보여준 물인데, 물이 기뻐하면서 꽃처럼 활짝 핀 모습의 결정을 나타낸 것이다. 내 인생을 순식간에 바꿔버릴 정도로 아름다운 결정 사진이었다. '사랑·..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플라톤의 저작물은 36편 정도인데 일부는 위작으로 밝혀졌지만 그중 25편은 플라톤이 직접 쓴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작물 대부분이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어 ‘대화편’이라고 한다. 「대화편」에서는 플라톤 자신은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등장인물들..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 버트란드 러셀 Why I Am Not a Christian by Bertrand Russell ※ Introductory note: Russell delivered this lecture on March 6, 1927 to the National Secular Society, South London Branch, at Battersea Town Hall. Published in pamphlet form in that same year, the essay subsequently achieved new fame with Paul Edwards' edition of Russ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