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처럼 인천대공원 알프스을 다녀왔다
「인천대공원 알프스」란 인천대공원을 둘러싸고 있는 5개의 산
즉 소래산, 성주산, 거마산, 상아산, 관모산을 일컫는 말이다
시점이다
운연역을 나와 좌측으로 돌면 소래산이 보인다
이 다리를 건너 좌측 운연천을 따라간다
운연사거리에 있다
운연사거리에서 만의골 방향으로 잠시 걸으면 나온다
여기 물웅덩이(습지)는 자연생태계의 건전성과 다양성 증진을 위하여
야생 동·식물 서식 공간으로 조성한 곳이다
조선 숙종 때 우이정을 지낸 김구의 아들로 숙종 36년(171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낸 후
대사간에 올랐다가 경종 2년(1722)에 신임사화에 파직되었다
영조4년(1728)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충주목사가 되어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웠다
그후 판서, 우이정, 좌이정을 거쳐 영조 16년(1740) 영의정에 올랐다
로프를 따라 오른다
나무 사이로 빼꼼 소래산이 보인다
헬기장에서 안부로 내려가는 길이다
헬기장에서 안부로 내려서면 계란마을과 만의골 갈림길이다
소래산은 직진이다
소래산 850계단 시작점이다
827계단을 오르고 다시 좌측에 있는 23계단을 올라야 정상이다
827계단을 올라온 곳이다
중앙에 삼각점과 정상석이 있고 좌우측으론 전망대가 있다
국기봉 옆으로 성주산으로 가는 길이 보인다
윗 사진과 같은 방향 사진으로 합판에 「299고지」라 쓴 정상 안내판이 있다
주위엔 나무가 없고 억새만 있어 성주산 정상이 잘 보인다
우측으로 성주산 가는 길도 보인다
*
1990년 3월 13일 사진이다
동쪽 전망대에서 봤다
앞쪽 좌측 낮은 산이 상아산, 그 뒤 뾰쪽 솟은 산이 관모산
그 좌측으로 둥글게 휜 산이 거머리산, 우측으로 만수산, 광학산, 만월산 등으로 이어진다
서쪽 전망대에서 봤다
다시 넓게 우측 성주산과 거마산도 넣어 보았다
거마산 마루금을 따라 쳐진 군부대 철책이 뚜렸하다
성주산과 거마산 이어걷기는 이 철책을 따라 걷기다
정상 바로 아래에 있다
내원사와 성주산 갈림길로 계단을 내려와 뒤돌아봤다
도덕산과 구름산 마루금이 보인다
*
내원사와 성주산 갈림길에서 성주산 방향으로 잠시 걸으면 우측에 전망 좋은 바위가 있다
다시 우측으로 보면 대교HRD센터 건물과 극동아파트가 보인다
다시 극동아파트 우측이다
좌측 길이 인천대공원, 만의골 방향이다
성주산은 직진이다
윗 사진과 같은 장소에서 만든 사진으로
태양열집열판과 방향안내목은 그대로지만 나무가 없어 산이 훤하게 보인다
*
2010년 4월 18일 사진이다
솔밭으로 오르는 돌계단이다
이곳에 이동매점과 쉼터가 있다
이곳에서 이동식을 했다
거마산과 성주산 갈림길이다
우측 성주산을 거쳐 군부대 철책을 한 바퀴 돌아 거마산으로 가기로 했다
군초소가 있는 곳이 성주산 정상이다
예전에는 와우산 또는 댓골산이라 불렀다
산객이 갈 수 있는 정상이다
이곳 아래 정자 쉼터에서 잠시 쉈다
다시 철책을 따라 걷는다
6번과 6-2번 버스가 다니는 길이다
도로에서 좌측으로 잠시 오르면 있다
거마산둘레길 안내판이 보인다
6번버스 종점 뒷편에서 봤다
소래산과 번개약수터 갈림길이다
삼거리 갈림길로 좌측에서 올라와 우측으로 간다
역시 군부대 철책을 끼고 걷는다
'거마산'은 산의 형상이 큰 말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이곳 벤치에서 다시 이동식을 했다
2011년 8월 21일 사진이다
정상 안내판이 없을 시기 군에서 만들어 놓은 것이다
2010년 4월 18일 사진이다
이곳에서 만의골 방향으로 내려간다
이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인천대공원과 만의골 갈림길이 나온다
나이가 8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30m, 둘레가 8.6m이며
5개의 가지가 균형을 이루며 뻗어 있어 아름다운 모습을 이룬다
이곳 좌측으로 상아산 들머리가 있다
인천종주길 안내목과 상아산 정상석이다
정상석이 세워지기 전 나무 밑동을 사용한 정상목이다
2010년 4월 18일 사진이다
야생초화원이 있는 거수골로 가는 삼거리다
관모산 정상으로 정자에서 인천대공원이 한눈에 들어온다
관모산 정상 정자와 삼각점 돌판만 그대로인 것 같다
2010년 4월 18일 사진이다
소래산 좌측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보인다
전망대에서 봤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뒷쪽 좌측이 거마산, 우측이 성주산이다
좌측 둥글게 휜 산이 거머리산, 우측으로 만수산, 광학산, 만월산 등으로 이어진다
백범 김구 동상 아랫쪽에 있다
인천대공원 남문으로 가는 길이다
인천대공원 남문 바로 앞이다
스마트폰 즉석 사진인화 1분 OK
요즘 이런 이동사진관 자주 본다
*
앞쪽 쓰레기더미는 인천대공원 이용객들의 . . .
오늘의 종점인 인천대공원역 육교에서 본 만수동 방향이다
GPS로 확인하니
걸은거리 12.9km, 소요시간 7시간 2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