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생태계 조성을 위한 교류 소통 플랫폼 가동-제1차 케이(K)-양자(퀀텀) 스퀘어 회의(미팅) 개최
부서 원천기술과, 혁신네트워크팀
양자생태계 조성을 위한 교류‧소통 플랫폼 가동
- 제1차 케이(K)-양자(퀀텀) 스퀘어 회의(미팅) 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내 산‧학‧연‧관의 양자기술 분야 연구개발 및 상호 연계‧협업 등을 촉진하기 위한 교류‧소통의 장(場)으로서 ‘K-퀀텀 스퀘어 미팅’을 본격 가동하고, 첫 행사를 12월 10(금), L타워(양재)에서 개최했다.
ㅇ 미래 산업‧안보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는 양자기술을 기존 비즈니스에 접목‧활용한 산업 고도화, 신산업 창출 등에 관심 있는 기업‧병원‧공공기관 및 정부‧지자체 관계자, 학‧연 연구자 등 약 400명이 참석하였다.
※ 참여기관 현황(사전등록 기준) : 기업(88), 병원(7), 공공기관(26), 협‧단체(7) 등
□ 이번 행사는 최근 양자기술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양자생태계 조성으로 이어나가기 위해 기술 설명 및 활용사례 소개, 학‧연과의 네트워킹 구축 등 산업계 수요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다.
ㅇ 먼저, 본 행사에 앞서 산‧학‧연‧관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사전간담회를 통해 양자기술 분야의 산업계 참여 활성화방안을 논의하고, 현장의 애로‧건의사항 등을 수렴하였다.
ㅇ 이어, 국내 양자기술 분야 연구현황‧연구진 등을 소개하고, 양자시뮬레이터 활용 신소재 개발, 양자머신러닝 등 대표 활용사례 중심으로 양자기술의 비즈니스 가능성을 조망하고, 민‧관 파트너십 등 성과창출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었다.
ㅇ 특히, 학‧연 연구자와 산업계 관계자가 처음 만나는 자리인 만큼 발전적 관계 구축을 위한 주춧돌을 놓는 분야별‧그룹별 소규모 미팅 등 다양한 네트워킹 시간을 가졌다.
□ 과기정통부는 유공자 포상을 통해 연구자들을 격려하는 한편, 양자기술 정책‧사업에 대한 추진 현황과 방향 등을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하였다.
ㅇ 유공자 포상은 양자기술(2점), 초고성능컴퓨팅(2점), 반도체(1점) 분야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 5명에게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였다.
ㅇ 과기정통부는 지난 4월 수립한 「양자기술 R&D 투자전략」에 따라 정부R&D 투자를 ‘21년 466억원에서 ’22년 823억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중장기적 전략성 강화를 위해 올해 내 대형 R&D 사업 기획에도 착수한다.
ㅇ ‘22년에는 선도국과의 기술격차를 빠르게 만회하기 위해 관련 기술‧인프라를 집약 개발하는 50큐비트 양자컴퓨터 구축(~’26, 490억원)에 착수하고, 한-미 양자기술 협력 MoU 체결(‘22.상 목표) 및 공동연구 확대(양자기술협력 60억원 등)를 추진한다.
ㅇ 아울러, 석‧박사 대상 해외연수 확대 및 특화교육과정 개설 등 전문인력 양성 확대하고, 양자팹 파운드리 서비스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 용홍택 과기정통부 차관은 “양자기술은 미래 국가 생존과 직결되는 첨단전략기술인 만큼 산‧학‧연‧관이 힘을 합쳐 핵심기술 확보 및 글로벌 기술블럭화 등에 총력 대응해 나가자”면서,
ㅇ “정부는 오늘 행사를 시작으로 국내 양자생태계가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 1 제1차 퀀텀 스퀘어 미팅 개최(안)
□ 행사 목적
ㅇ 국내 양자기술 산·학·연·관의 교류·소통 및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협업·연계 강화, 저변 확대 등 발전적 양자기술 생태계 조성 촉진
- 특히, “現비즈니스 + 양자기술 접목·활용 → 新비즈니스 창출*”에 관심 있는 국내기업을 초청하여 관련 학·연과의 네트워킹 구축 등을 지원
* (예시) 양자컴퓨팅을 활용한 제조 생산성 제고 및 신서비스 개발, 양자컴퓨팅용 전기·전자 부품 고도화 등
□ 행사 개요
ㅇ (주최/주관) 과기정통부 / 연구재단‧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
ㅇ (일시/장소) ‘21.12.10(금) 10:00~ / 양재 L타워 그레이스홀(6F)
ㅇ (참 석 자) 차관님, 대학·출연연 연구자, 기업 관계자 등 400여명
※ 위드 코로나 방역지침에 따라 백신접종자로 한정(행사는 최대 499명까지 가능)
ㅇ (주요내용) 사전간담회, 정부 정책·사업 설명 및 의견수렴, 양자기술 소개 및 기업 비즈니스 접목·활용방안 논의, 네트워킹 행사 등
□ 행사 일정
시 간 내 용 비 고
10:00~10:38 (38’) 1. 사전 간담회 오페라홀(2F)
‑ 산업계 참여 활성화 방안 논의 및 현장 건의사항 등 수렴 차관님, 학연산관 등 16명
10:40~11:00 (20’) 2. 개회식 개회식 후
‑ 인사말씀(차관님 등), 유공자 시상(5명), 차관님 이석
기념촬영 등
11:05~12:10 (65’) 3. 양자기술의 개념 및 동향 소개 이진형 교수
‑ 개념 설명 및 국내 연구그룹 소개 등 정연욱 센터장
12:10~13:30 (80’) 4. 1차 네트워킹(오찬)
13:30~14:30 (60’) 5. 정부 정책․사업 설명 및 의견수렴 원천기술과장
‑ 사업추진 현황 및 계획, 건의사항 수렴 등 혁신네트워크팀장
14:30~15:00 (30’) 6. 2차 네트워킹(Coffee break)
15:00~16:30 (90’) 7. 양자기술 발전전망 및 활용사례
‑ 활용사례 발표 및 종합토론 등
□ 세부 일정
시 간 내 용 비 고
10:00~10:38 (38’) 사전 간담회 오페라홀(2F)
* 관3(차관님‧과장), 학4(김재완‧김태현‧정연욱‧이진형), 연3(박희수‧한상욱‧박성수), 산5(권혁신‧김동호‧김동우‧김경훈‧노영환), 학생1(김정원) 등 16명
10:00~10:02 (2’) 행사 안내 및 참석자 소개 원천기술과장
10:02~10:05 (3’) 인사말씀 차관님
10:05~10:10 (5’) 주제발표 : 양자기술의 발전 전망 및 이진형 교수
산업계 참여 활성화 방안
10:10~10:35 (25’) 현장의견 및 건의사항 등 청취 참석자 전원
10:35~10:38 (3’) 마무리 말씀 차관님
10:40~11:00 (20’) 개 회 식 사회: 조주연
10:40~10:42 (2’) 행사 안내 사회자
10:42~10:46 (4’) 환영사 차관님
10:46~10:50 (4’) 축 사 미정
10:50~10:58 (8’) 유공자 시상식 차관님 전수
* 양자(김재완‧박희수), 슈퍼컴(박유미‧진현욱),
반도체(조성재) 등 5명
10:58~11:00 (2’) 기념촬영 수상자, 주요내빈 등
* 기념촬영 후 차관님 이석
11:00~12:10 (65’) 양자기술의 개념 및 동향 소개
11:00~11:05 (05’) 영상 시청
이진형 교수(한양대)
11:05~11:40 (35’) 국내 연구 현황 및 연구그룹 등 소개(20’)
양자정보 분야 개념 및 연구활동 소개(15’) 정연욱 양자정보연구지원센터장
* 양자기술 개요, 양자클라우드 소개 등
11:40~12:10 (30’) (토론) 주제토론 및 질의답변
12:00~13:30 (90’) 1차 네트워킹 (오찬)
13:30~14:30 (60’) 정부 정책․사업 설명 및 의견수렴
13:30~13:55 (25’) 정부 정책‧사업 설명 원천기술과장
혁신네트워크팀장
13:55~14:30 (35’) 질의답변 및 건의사항 등 수렴
14:30~15:00 (30’) 2차 네트워킹 (Coffee break)
15:00~16:30 (90’) 양자기술 발전전망 및 활용사례
15:00~15:20 (20’) (발표) 신소재 개발을 위한 양자정보기술 김용수 박사(KIST)
15:20~15:40 (20’) (발표) 양자컴퓨터와 머신러닝 박경덕 교수(성균관대)
15:40~16:25 (45’) (토론) 종합토론 및 질의답변
16:25~16:30 (5’) 행사 마무리
참고 2 행사 참석기관 현황 (사전등록 기준)
구분 기관명
부처(청)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자체 - 특허청
-4 기상청
경상북도청
공공기관 한국연구재단
-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도로교통공단
연구기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재료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천문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한국세라믹기술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기계연구원
국가수리과학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나노종합기술원
국군의학연구소 국토연구원
의료계 서울백병원
(병원)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7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중앙보훈병원
경희의료원
방송계 한국교육방송공사(EBS)
-1
(기타) 한국방송통신산업협동조합
재단법인/ 한일산업기술협력재단
협회 등 -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7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구여성가족재단
충남연구원
동북아교육문화협력재단
구분 기업명
산업계 주요기업(11) 항공/해양(2)
-89 - 삼성전자 - SK텔레콤 - 대한항공
- 삼성종합기술원 - KT - 한국조선해양
- LG전자 - Zurich Instruments
- 포스코 - ID Quantique
- 현대자동차 - LX세미콘
- ㈜한화
의학/의약(6) 의료기기(2)
- 보령제약 테서
- 메디팜소프트 ㈜지스코프
- 대웅
- 퀀텀바이오닉스
- 씨케이엑소젠
- ㈜피엘에스
기타(68)
코오롱인더스트리 슈미트 ㈜메이커박스
수성엔지니어링 스마트구루 ㈜모토모
㈜엘씨젠 기업부설연구소 ㈜이노웰 기술연구소 주식회사 덴하우스
(유)삼환 스페이스링크 주식회사 온
AP위성㈜ 스페이스케이㈜ ㈜씨큐파이버
CJ올리브네트웍스 신세계프로젝트 ㈜씨트로닉스
ICTK Holdings 씨엘엘앤에스 ㈜아도스
inCerebro 아도스 ㈜아이티아이즈
IQCT, Inc. 아이원랩 주식회사 ㈜에너닷
ITPS 연구소 아이티아이즈 ㈜에드원
ORIENTOM 액트로㈜ ㈜엘라이트
뉴그린 엑슬리트엣지 파로스 아이바이오
뉴아인 옵토레인 펜타시스템
단암시스템즈㈜ 와이어블 포디비전
대교인베스트먼트 원콤㈜ 플렉트론
드림보트 유젠 피티코인자야㈜
㈜큐닷씨연구소 ㈜우리넷 하나로텍
㈜파인브이티 ㈜원익피앤이 해피브릿지
케이아이티밸리㈜ ㈜위드이노텍 휠러스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유니아이 다래전략사업화센터
코위버㈜ ㈜기술법인 엔펌 나라지식정보
큐닷씨연구소 ㈜네오시스코리아 노바투스컨설팅
㈜대명티에스
참고 3 행사 포스터
'판교핫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의료대응체계(전담병상) 강화 추진-코로나19 전담병상 확보 행정명령 시행(12.10) (0) | 2021.12.11 |
---|---|
과기정통부․특허청 2021 정보통신기술 특허경영대상 시상식 개최 (0) | 2021.12.11 |
양자생태계 조성을 위한 교류 소통 플랫폼 가동-제1차 케이(K)-양자(퀀텀) 스퀘어 회의(미팅) 개최 (0) | 2021.12.11 |
2021년도 정보통신기술 정책고객대표자 회의 개최 (0) | 2021.12.11 |
‘22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 29조 7,770억원(전년대비 8.7%증) (0) | 2021.12.11 |
「2021 주한외교관 정책설명회」(12.9, www.msit.go.kr/2021SIPday/index.html) (0) | 2021.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