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 기술사 시험 기출문제 및 해설 자료 제공, 정보처리 기술사 합격자 발표 자료 제공
(기술사 합격방법서 자료실 http://www.seri.org/forum/pehelp)
기술사 합격방법서 자료실: www.seri.org/forum/pehelp <-- 지금 방문해 보세요
(기술사 관련 자료 1,000개 무료제공, 향후 5,000개 제공)
---------------------------------------------------------------------
저작권 보호 기술, DRM, DOI, INDECS, 워터마킹, MPEC21에 대한 요약
저작권 보호 기술
Ⅰ. 디지털 콘텐츠의 개요
가. 콘텐츠의 정의
- 단순의미로는 내용, 목록을 일컬음
- 내용 + 거래 + 서비스의 통합
나. 디지털 콘텐츠의 정의
- 총체적인 매체(Media)를 활용하여 느끼고 정리하고 재창출시키는 제반의 내용물 등에
컴퓨터 기술과 통신기술이 융합된 형태
다. 디지털 콘텐츠의 등장배경
- 정보기반기술의 발달 : PC, 인터넷, 네트워크 등
- 다양한 정보 요구 욕구 폭발
- 정보수용자의 요구 : Multimedia + Interactivity(상호작용성)
라. 디지털 콘텐츠의 종류
내용적인 측면 |
개발 매체 측면 |
- 교육용(학습용, 산업용),게임용,홍보용
- 에듀테인먼트(교육용 + 게임용)
- 문화, 전자출판, 광고, 쇼핑 등
- 자료의 DB 화(기관의 자료,박물관,
소장품 전시, 유물 관리) |
- CD-ROM 타이틀
- 인터넷 홈페이지
- PC 통신에서 제공되는 정보
(Information Provider) |
Ⅱ. 디지털 콘텐츠의 특징
기존의 콘텐츠 |
디지털 콘텐츠 |
- 책, 신문, 라디오, TV, 영화 등의 Old
Media로 제공되는 콘텐츠 |
- 총체적인 매체를 활용하여 재창출
시키는 제반 내용물 |
- 아날로그 |
- 디지털 |
- 단방향으로 제공 |
- 쌍방향으로 제공 |
- 콘텐츠의 생산자(공급자)와 수요자가
명확히 구분됨 |
- 정보이용자가 동시에 정보제공자가
될 수 있음 |
- 시.공간의 제약을 받음 |
-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제공 |
- Update 비용이 큼 |
- Update가 쉽고 비용이 저렴 |
- 순차적인 방법으로 정보 제공
|
- 정보의 습득 방법이 비순차적인 사람의
연상 작용과 비슷함 |
Ⅲ.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기술의 개요
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기술의 정의
- 디지털 형태로 만들어진 각종 콘텐츠의 저작권의 보호 및 위치 추적, 변경 정보 등을
색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보호기술의 종류
나.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기술의 종류
- Digital Watermark,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 INDECS(Interoperability of Data in E-Commerce System), MPEG21
구분 |
개념 |
종류 |
콘텐츠 추적 기술 |
원 저작자 입증 가능 |
Watermark, DOI, Indecs |
콘텐츠 관리 기술 |
사용권한, 규칙 통제 |
DRM, SRM, Scramble |
Ⅳ. Digital Watermark
가. Digital Watermark의 정의
- 흐린 바탕무늬 또는 로고를 디지털 이미지 원본에 삽입해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거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콘텐츠 저작권을 보호하는 독특한 기술
나. Digital Watermark의 특징
- 원본의 출처를 밝히거나 누구에게 전달된 정보인지 추적 가능
- 원천적인 복제 방지보다 복제 경로를 찾아내는 저작권 보호기술에 가까움
- 컴퓨터 스캐너나 첨단 복사기로도 재생하기 어려움
다. Digital Watermark의 필요 기능
- 원본과의 동일성 및 지각적 비가시성(Invisibility)
- 원본 없이도 Watermarking 추출이 가능해야 함
- 고의적/비고의적 변형 시 검출 가능(Robustness)
- 조작된 위치 추적
라. Digital Watermark의 적용 범위
-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마. Digital Watermark 기술의 종류
1) 공간영역에 의한 Watermark 기술(Spatial Method)
- 이미지와 같은 데이터를 공간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삽입하려는 정보를 공간상에서
흩어 버려서 쉽게 구별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화면 화소값에
미세한 변화를 Watermark로 사용하는 방법, 핵심기술로 Steganography가 있음
2) 주파수 영역에서의 Watermark
-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삽입하려는
Watermark를 동일하게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삽입하는 방법
3) 기타 방법
- 비가시적인 Watermark
- 생성 키 값에 의한 Watermark
사. Digital Watermark의 실례
- 영상의 소유권 주장 근거, 영상의 불법 복사 경로 추적, 복사 방지 장치에 활용 할 수
있으며, 의료문서, 영화티켓(몇몇 Watermarking은 프린트 해도 구별할 수 있음)
Site 유료화 시 저작권 문제 해결 등에 쓰임
- DRM과 병행하여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의 상호 보완적인 수단으로 활용
1. 디지털 핑거프린팅(Digital Fingerprinting)
가. 디지털 핑거프린팅(Digital Fingerprinting)의 특징
- 인간의 감지 능력으로는 검출할 수 없도록 사용자의 정보를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에 삽입하는 기술
나. Digital watermarking vs Digital Fingerprinting
- 디지털 워터마팅 기술은 저작권자 또는 판매자의 정보를 삽입, 핑커프린팅은 사용자의 정보를 삽입
2. 디지털 워터마킹과의 차이점
구분 |
디지털 워터마킹 |
디지털 핑거프린팅 |
디지털 삽입 정보 |
저작권자 또는 판매자의 정보 |
사용자(구매자) 정보 |
주요 목적 |
지적 재산권 보호 |
불법 배포자 추적 (법적조치 가능) |
삽입된 콘텐츠 정보 |
동일 (판매자 정보) |
모두 다름 (구매자 정보) |
필요 기능 |
비가시성, 견고성, 유일성 |
비가시성, 견고성, 유일성 +
공모 허용, 비대칭성, 익명성, 조건부 추적성 |
3. 디지털 워터 마킹 기능
▶비가시성(Imperceptibility) = 콘텐츠의 가치를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삽입 정보가 인간의
시각이나 감각에 의해 감지될 수 없어야 한다.
▶견고성(Robustness) = 콘텐츠에 대해 필터링, 압축, 재샘플링 등 일반적인 신호 처리 및 포맷
변환, 기하학적 영상 변환 등을 가한 후에도 삽입 정보가 유지 되어야 한다.
▶유일성(Uniqueness) = 검출된 삽입 정보는 저작권자·구매자를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어야 한다.
4. 디지털 핑커프린팅 기능 (디지털 워터마킹 기능 + 추가적인 기능)
▶공모 허용(Collusion Tolerance) = 핑거프린팅 된 콘텐츠는 삽입되는 내용이 구매자마다
다르므로 다수의 구매자들이 자신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삽입 정보를 삭제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삽입한 콘텐츠로 위조하여 배포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공격에 견고해야 한다.
▶비대칭성(Asymmetry) = 핑거프린팅 된 콘텐츠는 판매자는 알지 못하고, 구매자만이 알아야 한다.
▶익명성(Anonymity) = 구매자의 익명성을 보장해야 한다.
▶조건부 추적성(Conditional traceability) = 정직한 구매자는 익명으로 유지되는 반면,
불법 배포한 부정자는 반드시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Ⅴ.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
가. DOI의 정의
- 디지털 저작물에 특정한 번호를 부여하는 일종의 바코드시스템으로 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보호 및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시스템
- 인터넷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그 문서의 새로운 주소로 다시 찾아 갈 수
있도록 웹 파일이나 인터넷 문서에 영구적으로 부여된 식별자
나. DOI의 특징
- 고유번호를 이용하는 DOI는 인터넷 주소인 URL 보다 정확한 검색이 가능
- URL로 쉽게 변환 가능하며, 기존의 코드 체계와 상충되지 않음
- 기존의 ISWC, ISBN 등의 식별자 수용
- ‘94년 미국출판협회에 의해 개발
- ‘99년 미국국가정보표준화기구(NISO)에 의해 표준 확정
- 중앙에서 관리되는 디렉토리에 DOI를 제출하고 나서, 정식 인터넷 주소 대신
그 디렉토리의 주소에 DOI를 더하여 사용하게 됨
다. DOI의 적용범위
- 모든 Digital Contents
4) DOI 적용의 예
가) 처음에는, 오직 단 하나의 중앙 디렉토리가 DOI 재단에 의해 유지되었음
나) 그러나, 각 주요 산업계별로 다른 디렉토리 들을 만들고 유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
다) DOI의 전형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그림, 표 깨짐 - 원본은 자료실에서 참조)
- “10”은 DOI를 나타내고 "10.1082"은 디렉토리(Handle Prefix)를 나타냄
- "/" 이후가 DOI의 나머지 부분(Handle suffix) 이는 Item identifier이며,
어떠한 포멧 이라도 가능(위의 경우에서는 출간된 어떤 서적의 ISBN 번호이다).
- 맨 마지막 부분의 "-3"은 그 책의 특정한 부분이나 장(章)을 가리킴
Ⅵ. INDECS (Interoperability of Data in E-Commerce System)
가. INDECS의 정의
- 통일된 형태의 저작권 보호 Framework
- 디지털 환경하에서의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목적으로 함
나. INDECS의 특징
- 모든 정보 자원을 작업, 표현, 공연, 실현 등 4가지 중 하나로 표현
- 작업 식별자 : ISWC, ISAN, PII, DOI
- 표현 식별자 : ISRC, UMID, DOI
- 실현 식별자 : ISBN, ISSN, DOI
- 저작권 처리 기능
- 전자상거래 트랜잭션에 대한 투명한 정보 제공
- 거래정보 갱신 및 기록 기능을 추가 가능
- 메타 데이터 시스템
- DOI가 미국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것에 반해서 유럽에서 주도하는 프로젝트
-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지적재산권을 위한 하나의 데이터 모델을 개발하고 지적재산권
자체와 상거래에 참여하는 사람, 업무를 서술하고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형적
구조 개발
Ⅶ.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가. DRM의 정의
- 신뢰성 있는 라이센스, 안전한 저작권과 허가, 신뢰성 있는 환경과 인프라를 가능하게
하는 H/W, S/W를 포함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넓은 의미의 기술, 절차, 처리,
알고리즘
나. DRM의 기능
- 콘텐츠의 무결성, 안전한 저작권 보호, 사용 추적, 저작권 인식 및 인증, 콘텐츠 분배
다. DRM의 필요성
-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불법 유통과 복제를 방지
- 적법한 사용자만이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함
- 사용자관리, 과금 서비스 등을 통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
라. DRM 기술 요소
- 콘텐츠 자체의 보안 및 저작권 보호기술
- Off-line에서의 콘텐츠 사용 관리 기술, 무선기술, 유연한 사업규칙 정의 기술
- Global 환경 하에서 콘텐츠 생성, 유통, 사용, 관리를 포함하는 전제 사이클을 지원하는
Process 기술 등
마. DRM의 적용 범위
- 모든 Digital Contents
■ 디지털 콘텐츠 보호 기술의 연동
(그림, 표 깨짐 - 원본은 자료실에서 참조)
■ DRM 관리 기술의 개념도
■ DRM의 주요 기능
역할 |
주요 기능 |
콘텐츠 제공자 |
패킹(Packing) 기능제공
- 콘텐츠 암호화, 수신인지정 등 분배 조건
- 사용권한 설정(열람회수, 저장, 인쇄, PC등)
- 송신된 문서의 리콜(회수) 기능 |
콘텐츠 사용자 |
인증 및 문서 사용(복호화)
- 콘텐츠 사용자 인증, 필요 시 제약(회수 등)
- 사용권한에 의한 통제
- 문서 개봉 후도 결재 방식 제공 |
DRM 서버 |
콘텐츠 유통 관리 및 과금
- 사용규칙 설명 및 설정된 정보 통제
- 콘텐츠 보호(복호화 시에도 추출방지)
- Copy & Paste 방지
- 사용내역 추적(사용내역 통보 및 과금) |
■ DRM의 요소기술
가. 암호화 기술, 워터마크, DOI, INDECS
- PKI기반(X.509 V3 사용, PKCS 등)
나. 키분배 및 관리
- 콘텐츠 유통과 정의 유통업자, 분배자, 소비자 모두 복호화 Key를 알 수 없도록
관리되어야 함
다. TRM(Temper Resistant Module)
라. DRM언어(DRM 시스템의 범용성과 상호 운영성 확보)
-XMRL(eXtensible Right Makrup Language)
-XMCL(eXtensible Media Commerce Language)
■ DRM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DRM의 문제점 |
DRM의 대응방안 |
- DRM 기술 및 관리의 미 표준화
- 매번 인증절차가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 양질의 콘텐츠 부족
- 소액결제 이용료 불편 |
- 상호 운영성 확보 위한 DRM 기술 언어(XRML, XMCL) 표준화
- 사용자 인증정보의 세션화 혹은 암호화해 사용규칙 적용
- 콘텐츠 유료화 및 신디케이션 사업 활성화 정책지원
- M-Commerce, M-ebpp등 활용 |
■ DRM과 관련기술의 비교
구분 |
DRM |
워터마크 |
전용재생기 |
개념 |
- 콘텐츠 보호와 인증 과금 등
- 생명주기 관리 |
-저작자 정보를
삽입, 추출
- 원본 보존성 |
-디지털 전용재생기 이용한
불법 활용 방지 기술 |
방식 |
선 처리 방식 |
후 처리방식 |
선 처리 방식 |
특징 |
- 콘텐츠 암호화
- 사용규칙 관리
- Superdistribute |
- 가시적, 비가시적 정보 삽입
- 분쟁 방지 |
- 전용재생기 설치, 관리
- Plug-in 방식 개발
- 재생기 유통 문제 |
한계 |
- 암호화의 완벽성
제공 못함
- 콘텐츠 관리 방식의
비 표준화 |
- 사후처리 한계
- 인증 후 보호 방안
확보 필요 |
-전용재생기 불법유통 방치
대책 필요
- 디지털 정보 변화 비용 발생 |
Ⅷ. MPEG21(Moving Picture Expert Group)
가. MPEG21의 정의
- MPEG21은 전자상거래를 위한 콘텐츠 제작부터 서비스 방식, 소비자 보호방안까지
포괄적으로 표준을 정하는 규격
나. MPEG21의 동향
- MPEG21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찾고, 획득한 자료를 재가공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음
- 콘텐츠 제작자 또는 소유자의 관점에서 자신의 콘텐츠가 무단 복제 및 도용의 위험
없이 유통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열린 MEPG회의에서 처음 제안됨
- MEPG21은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사용될 통합된 국제 표준
다. MPEG21 관련 기술 요소
- 정보표현, 에이전트 기술, 단말 및 네트워크 기술
- 정보의 내용 표현 및 검색
- 정보보호 및 관리
- 콘텐츠 식별 및 저작권 관리
Ⅴ. 향후 전망
가. 전자상거래의 확산과 더불어 디지털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전망 임
나. 국내의 경우에도 닷컴기업들간의 웹 콘텐츠를 불법 도용한 사건이 매스컴을 떠들썩하게 한 경우도 발생
다. 디지털저작권관리(DRM) 기술의 응용분야인 문서유출보안 솔루션 시장이 활성화될 전망임
- 금융권(카드사)을 중심으로 신규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 시장의 규모가 200억원대로 급 신장
- 디지캡, 코어트러스트, 실트로닉테크놀로지 등 국내 업체의 솔루션 개발이 치열해지고 있음
다. 점차 각종 정보의 디지털화가 더욱 촉진되면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도 이에
발 맞춰 발전이 예상됨
디지털 콘텐츠 관련 기술 (구성도)
(그림, 표 깨짐 - 원본은 자료실에서 참조)
======================================================================
최근 뜨는 IT 기술에 대해 정리한 자료가 엄청 있는 곳
현재 1,000여개가 있고 최종적으로 5,000개 이상을 등록할 예정입니다.
현재 설명 자료의 표와 그림 자료의 일부가 등록되지 않았으므로 자세한 정보는
아래 자료실에서 "정보처리 알짜자료실"의 500번 게시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seri.org/forum/pehelp/ <== 옆을 클릭하시면 바로 연결 됩니다.
회원 가입도 간단합니다. (총 1분 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