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현장은 학교 3곳을 연달아 기초보강공사를 했던 현장으로, 이전 현장과 마찬가지로 학교라는 특성상 공기에 맞게 시공을 해야 했던 현장입니다.
기존기초에 코아를 천공해서 작업하는 곳이 반, 그렇지 않은 곳 반.
포인트마다 작업 환경이 달랐던 현장입니다.
공정별로 해당되는 학교를 분류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코아 천공
내진보강을 해야하는 위치에 기존기초가 걸리는 곳은 코아천공을 하든지 시공위치를 원청사와 협의 후 변경해서 시공하기도 합니다.
▶자재 반입
학교가 모두 3곳이었기 때문에 학교별로 시공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자재를 따로 받아 놨습니다.
여유부지가 넓은 현장이라 자재를 가깝고 여유있는 공간에 받아 놓을 수 있었습니다.
▶케이싱 설치
케이싱 설치는 일반적으로 3M씩 용접 이음을 하는 식으로 진행되지만 송O초등학교의 경우 층고가 3M 가 안되는 포인트가 4공 있었기 때문에 그 4공은 개조된 백호와 미니천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케이싱 작업전에 보양이 필요한 포인트가 있다면 갑바천이나 부직포 등으로 충분한 보양을 한 후에 작업을 진행합니다.
▶천공
천공은 작업중에 토사나 지하수가 공중으로 튈 수 있기 때문에 창문 등 보양이 필요한 위치에는 보양을 한 후 진행을 합니다.
송O초등학교의 경우 4공이 층고가 낮아서 미니천공기를 사용해서 천공을 진행했습니다.
장비가 작은 만큼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협소하고 낮은 공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심도체크
각 학교마다, 그리고 위치마다 천공 깊이가 모두 달랐기 때문에 각 공별로 정확한 심도가 나오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천공된 홀이 무너지지 않고 설계대로 강봉이 삽입되는데 문제 없도록 강봉삽입 작업전에 심도를 확실하게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봉 삽입
카고크레인으로 작업이 가능한 곳은 카고크레인으로 강봉을 삽입하는 것이 작업능률이 좋습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송O초등학교에 층고가 낮은 4공과 같이 크레인의 사용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미니백호 등을 사용해서 강봉을 삽입합니다.
강봉을 삽입할 때는 위,아래 강봉이 커플러에 제대로 체결되었는지, 천공홀 중간에 잘 위치 되었는지, 강봉에 적절한 위치로 간격재를 설치했는지 등에 유의하면서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그라우팅
그라우팅은 시멘트에 현장상황에 맞는 조강제나 혼화제를 잘 혼합하여 진행합니다.
천공홀 저면에 그라우팅 호스를 설치해서 시멘트가 충전되는 동안 자연스럽게 지하수나 토사가 밀려올라 오도록 작업하고, OVER-FLOW를 하면서 작업해야 합니다. 혹시나 그라우팅이 다운된다면 일정시간이 지난 후 2차,3차 그라우팅을 진행합니다.
▶두부정리
각 학교별로 설계도면에 맞게 강봉,PLATE 레벨을 맞춰 설치합니다.
강봉이 설계도면보다 높이 올라와 있는 경우에는 산소 절단기 등을 이용해서 절단하고 레벨을 맞추게 됩니다.
▶인장재하시험
파일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시험해보는 인장재하시험 역시 각 학교별로 진행했습니다.
재하시험은 마이크로파일 설계하중의 130%이상의 하중을 6단계로 나눠 시험하고 그에 따른 변위량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파일이 설계된 성능을 발휘한다는 결과가 나오면 시공이 마무리 되게 됩니다.
시공에 도움을 주신 학교관계자, 공사관계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마이크로파일 시공 > 시공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파일 - 울산 OO화학공장 기초공사 (0) | 2020.06.05 |
---|---|
마이크로파일 - 대구 OOO안과 주차타워 기초공사 (0) | 2020.06.05 |
마이크로파일 - 포항 송O초등,중학교, 대O초등학교 (0) | 2020.06.04 |
마이크로파일 - 일산 OO초 내진보강공사 (0) | 2020.06.04 |
마이크로파일 - 온산 ○○공장(OOO 시설관리팀 PILOT PLANT 증축공사) (0) | 2020.06.04 |
마이크로파일 - 경기도 광주 OO중학교 내진보강공사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