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생활상을 보여주는 토기들>
한 대의 귀족들은 꽤 풍족한 삶을 누렸고, 사후에도 그렇게 살려는 열망이 강했다. 그들은 자신의 집, 곡물창고, 방앗간, 심지어는 돼지우리까지도 토기로 빚어 내세로 가져가려 했다. 이 토기 모델에 보이듯
담과 추녀도 기와로 덮여 있다. 암퇘지, 젖을 빠는 새끼 돼지들, 숫퇘지, 홰에 앉은 닭들, 개들이 보이고, 대각선 상으로 보이는 두 채의 구조물은 변소이다. 이것과 비슷한 돼지 우리-화장실 구조는 오늘날에도
중국의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출처: Minneapolis institute of arts)
6마리의 양이 들어있는 우리. (출처: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소형 토기 주택 (출처: 구글)
초가집같은 농가 (출처: 구글)
농가. (크라이슬러 박물관에서 내가 찍음)
농기구가 가득한 헛간과 농부. (출처: 구글)
디딜 방아. 뒤 쪽에 있는 것은 가마? (출처: 구글)
디딜방아 찧는 농부. (앞에 보이는 둥근 것은 연자방아 같죠.)
역시 변소가 붙어있는 축사. (출처: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아궁이 1.
아궁이 2.
대형 아궁이, 혹은 토기를 굽는 가마?
두 사람이 곡예를 하고 있는 모습의 손잡이가 있는 토기.
덮개가 있는 우물.
물항아리가 놓인 우물. (크라이슬러 박물관에서 내가 찍은 것)
도르래를 재현해놓은 우물.
빨래하는 여인들.
*따로 출처를 밝히지 않은 사진들은 위키나 구글에서 가져왔음.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동기의 여러 유형 (20) | 2012.09.21 |
---|---|
청동기에 새겨진 문자 (8) | 2012.09.12 |
한 나라의 토기 주택 2 (12) | 2012.09.06 |
한의 토기 주택 1 (30) | 2012.09.03 |
중국 토기 발달사 Outline (23) | 2012.08.31 |
비단의 역사 (46) | 201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