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일본의 교육과 결혼에 대하여 연구를 좀 해보려고 입수한 마이크로 데이터가 하나 있어서 이것 저것 만지고 있는데 재밌는 설문이 있어서 그냥 심심풀이로 일본여성이 생각하는 결혼의 조건을 한번 분석해봤습니다. 이 데이터가 아직 일본에서 공개가 되지 않은 데이터라 조금 조심스럽지만 이정도는 괜찮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ㅋ
이 데이터는 일본을 대표할 수 있게 랜덤 샘플링 된 것이라 이게 곧 일본여성의 생각이라 믿으셔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대상 연령은 전국의 20세-35세의 미혼여성으로 한정했습니다.
먼저 상대방에 대해서 생각하는 조건인데, 크게 4개로 나눠 산출을 해봤습니다. 첫째는 상대방의 수입, 둘째는 상대방의 직업, 세째는 결혼후의 주거, 네째는 상대방 부모와의 동거를 중심으로 보겠습니다. 그럼 표를 한번 보시죠.
|
상대방의 수입 |
상대방의 직업 |
결혼후의 주거 |
상대방 부모와 동거 |
매우 중요 | 52.6 | 46.8 | 38.7 | 17.8 |
중요 | 39.4 | 41.0 | 43.9 | 31.5 |
중요하지 않음 | 7.1 | 11.4 | 16.4 | 37.7 |
전혀 중요하지 않음 | 0.8 | 0.8 | 1.0 | 13.0 |
표를 보면, 역시 일본여성들도 상대방의 수입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무려 90%가 넘어가네요. 그리고 상대방의 직업도 수입만큼은 아니지만 90%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주고 있구요. 그리고 결혼후의 주거는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가 있을거라 생각이 드는데요. 예를 들어, 집의 크기, 방의 갯수, 구입이냐 임대냐 등등.... 하지만 일본은 결혼과 동시에 꼭 집을 장만해야 하는 경향은 없기에 마지막 요소는 배제해도 될 듯 싶군요.
역시 결혼후의 주거도 꽤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는군요. 80%를 넘어갑니다. 그리고 상대방 부모와의 동거도 반수 가까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조사는 상대방 부모와의 동거를 찬성하느냐 반대를 하느냐를 조사한 것이 아니기에, 그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으나 다른 요소들에 비해서는 그다지 중요성이 떨어진다고 보여집니다.
그럼 일본여성이 결혼을 생각함에 있어서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조건을 어떨까요? 이번엔 결혼후 주거를 뺀 나머지 3가지를 여성 자신에게 기준을 놓고 살펴보겠습니다.
자신의 수입 |
자신의 직업 |
자기 부모와 동거 | |
매우 중요 | 16.6 | 17.7 | 11.0 |
중요 | 45.0 | 42.5 | 27.2 |
중요하지 않음 | 35.9 | 36.5 | 48.0 |
전혀 중요하지 않음 | 2.5 | 3.3 | 13.8 |
의외인데요~ 자신의 수입도 결혼에 있어서 꽤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60%가 넘어가네요. 그리고 직업도 60% 가까이 되구요. 그런데 자기 부모와 동거하는 것은 40%를 밑도는 것으로 보아 그리 큰 요소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일본 여성들은 상대방의 수입과 직업 못지않게 자신의 수입과 직업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분석 결과에서는 알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일본 여성들은 결혼을 한 후에도 일을 지속하려 하지만,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결혼한 여성이 일을 하기에는 환경이 아주 척박합니다. 대도시 같은 경우는 아이를 맡길 보육원이 없어 대기 아동이 줄지어 있고, 기업은 출산 휴가 같은 것을 허가하지도 않구요.
그래서 아직도 결혼과 함께 일을 관두거나 아이를 출산함과 동시에 일을 관두게 되죠. 한국과 일본의 연령별 노동력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M자형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OECD국가중 두나라가 유일합니다. 이는 중간에 일을 관두고 아이가 조금 크면 다시 노동시장으로 진입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소위 M자형 커브라고 말을 하죠. 서양의 선진국들도 30-40년전엔 이런 그래프를 나타냈으나 지금은 평탄해졌죠.
또 얘기하다 보니 삼천포로 빠져버렸는데, 결국 일본 여성들이 생각하는 결혼의 조건은 우리나라 여성들이 생각하는 조건과 그리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아니... 전 세계적으로 여성이 생각하는 결혼의 조건은 거의 동일하다고 봅니다. 다만, 전통과 풍습... 예를 들어 남자가 집을 해가던지, 여자가 혼수를 장만한다던지.. 이런게 조금 다를 뿐이죠.
하지만 이런 경제적 부담이 결혼을 지연시키고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상당합니다. 뭐 연구 결과를 운운하기 이전에 당연한것이겠죠.... 저렇게 여성들이 상대방의 수입을 중요시하는데 돈이 없으면 결혼을 할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요즘 같이 비정규직의 젊은이들이 많으면 결혼 연령은 점점 높아지겠죠. 올해 발표된 작년 초혼 연령은 남성 31.4세, 여성 28.6세 라지요.
결혼은 혼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요즘 같은 경제 상황이면 여성의 결혼 연령도 점점 상승해갈겁니다. 머슬로우의 욕구 단계설처럼 의식주가 해결되야 상위의 욕구를 채우려 하겠고, 그래야 사랑이고 뭐고 가능하지, 그것이 해결되지 않으면 사랑도 둘째겠죠...? ㅋ
다음에 시간이 되면 남성이 생각하는 조건도 함 살펴보겠습니다.
유익하셨다면 밑에 있는 추천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필요없습니다~
사는 데서 신경 쓰이는 요소들이 비슷해서 그럴 지두 모르겠네요 ㅎ
돈 없이 살수 없는 건 맞지만 씁쓸하기도 하네요. ^^
유익하게 잘 보았습니다.
저는 18살에 집을 나와서 지금 17년째 혼자 살고있음^^
이로서 최정님의 나이가 공개된 건가요? ㅋㅋㅋ
반갑습니다~ 저와 동갑~!
그럴수록 결혼비율도 떨어지겠네요. 총각들은 어쩌라구!ㅎㅎ;
돈 없이는 사랑도 없다? 요런게 되나욤 ㅎㅎㅎ
실지 현실적으로 볼때 사랑이고뭐고 돈없으면 살기 힘들긴 해여~
혼자 벌든 둘이 벌든 돈이 있어야 가정이 편안하지요 ^^;;
자료 올리셔도 되나요? ㅋ 그덕에 저희는 유익하게 잘 보았답니다 ^^
데이트 한번 하려해도 돈이 들구요... 같이 산다고 하면
정말 현실적인 문제가 되겠죠...
자료요? ㅋㅋ 뭐 다른 사람들이 그 자료가 어떤 자료인지도
모를거기 때문에 문제는 없어요~ ㅋㅋ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를이유가 없을듯
휴~~~ 근데 이상향일뿐 현실은 그렇지만도 않잖아요 ㅎㅎㅎ
제가 그런 구멍을 찾고 있어요~ ㅋㅋ
결혼한 여성이 직장생활하는 것이 어렵다는 생각을 하곤 했어요.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비슷하군요. ^^
정말 한국과 일본은, 어떻게 이런 것까지 닮았나... 할 정도로 서로 닮은 점이 너무 많아 깜짝 놀랄때도 많답니다.
White Rain
낙후되어있는 모습도 보이고는 합니다.특히 회사에서 차를 내오고 하는
모습은 한국에서는 거의 있을 수 없는 일이 되었는데
역시나 결혼에는 돈이 중요하군요.근데 울 와이프는 왜??ㅋㅋ
즐거운 주말되세요
제 아는 여자애도 OL이었는데 손님들 오면 차를 내간다는....
그래서 꽤 놀랬었죠...ㅋㅋ
근데 은근히 저희 부서나 다른부서보면 결혼안한
남녀가 상당하드라구요 콘카츠다뭐다
노력하는 사람도있고 그냥 혼자의 삶을 즐길래하는
분도많고요 한국처럼 결혼 왜 안하냐며 꼬치꼬치
캐묻지 않아서 스트레스 덜 받아서 그른가 ㅋ
일본도 예전에는 우리나라처럼 결혼을 안하면 좀 이상하게 보는
경향이 있었는데 개인주의가 강해지면서 그런게 많이 없어졌다
고 하더군요...
사람 보는 관점은 비슷비슷한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