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초’, 세계 최고(最古) 파리오페라발레단 초청받아
국립발레단 최태지 예술감독이 세계 최고의 역사를 자랑하는 프랑스 파리국립오페라발레단(Le Ballet de l'Opéra National de Paris)의 승급 콩쿠르에 심사위원으로 한국인 최초로 초청받아 11월9일, 10일 양일간 파리의 가르니에극장에서 내부 승급 콩쿠르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파리국립오페라발레단의 내부 승급 콩쿠르는 1860년 처음 실시되었고, 초기 심사위원은 당시 예술감독이었던 알퐁스 루와예, 마리 탈리고니, 루시앙 프티파 등이었다. 이 내부 승급 콩쿠르는 매해 연말에 이뤄지며 이 승급 콩쿠르에서 통과한 무용수는 다음 등급으로 승급이 가능하다. 심사위원단은 파리오페라발레단 관계자 최소 5명과 외부에서 초청된 심사위원 2명으로 구성되며, 역대 함부르크 발레단의 존 노이마이어, 볼쇼이발레단의 보리스 아키모프, 알렉세이 라트만스키, 몬테카를로발레단의 장-크리스토프 마이요 등의 세계적인 인지도를 가진 발레 계 인사들이 초청되었다. 올해에는 국립발레단의 최태지 예술감독과 함께 네덜란드 국립발레단 예술감독 테드 브랜드슨이 외부 심사위원으로 초청됐다.
파리국립오페라발레단은 1669년 창단돼 343년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하는 발레단으로 루돌프 누레예프, 실비 기옘, 마뉘엘 르그리, 엘리자베스 플라텔 등의 세계적인 무용수를 매출했으며 현재 154명의 무용수가 활동하고 있다.
“세계 최고의 발레단으로 손꼽히는 파리국립오페라발레단 내부 승급 심사에 초청됐다는 것은 그만큼 한국 발레의 세계적 위상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고 생각돼 무척 감격스럽다”라고 최태지 예술감독은 밝혔다.
<최태지 예술감독 약력>
경력
1987년~1992년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1993년~1995년 국립발레단 지도위원
1996년~2001년 12월 국립발레단 단장 겸 제 3대 예술감독
2000년~2001년 국립발레단 부설 발레 아카데미 교장
2001년 9월~2002년 3월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겸임교수
2004년 6월~2007년 12월 정동극장 극장장
2008년~ 2010년 국립발레단 단장 겸 예술감독
현재: 국립발레단 예술감독(2008년 1월~현재)
전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무용학과 전공 겸임교수
일본발레협회 이사 (1977년~현재)
세계무용센터 이사 (1997년~현재)
한국발레협회 이사 (1993년 3월~현재)
경향신문 자문위원 (2004년 3월~현재)
한국무용학회 상임이사 (2004년 12월6일~현재)
한국무용협회 이사 (2005년 1월22일~현재)
국제 극 예술협회(ITI) 이사 (2005년 4월~현재)
한겨레 제2창간위원 (2005년 6월~현재)
한국문화경제학회 이사 (2006년 7월~현재)
(재)서울문화재단 이사 (2007년 1월1일~현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무용위원회 위원 (2007년 3월1일~현재)
(재)고양문화재단 이사 (2008년 3월~현재)
2012 여수세계박람회 고위자문단 위원(2008년 9월~현재)
수상 경력
․ ‘프리마 발레리나’상 (주최: 한국발레협회, 1996년)
․ ‘공로상’ (주최: 한국발레협회, 2002년)
․ ‘문화예술체육상’ (주최: 서울시 중구청 문화예술진흥부문, 2005년)
․ ‘표창장’ (주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6년)
․ ‘파라다이스상’ (주최: 파라다이스상 위원회, 2008년)
․ 2008년 단국대학교 문화예술최고경영자과정 공로상 수상
․ 2009년 예총문화상 수상
․ 2010년 러시아 페름 아라베스크 콩쿠르 최고지도자상 수상
․ 2010년 한.러 수교 문화교류 감사장 수상
․ 2011년 옥관문화훈장 수훈
국제 무용콩쿠르 심사위원 위촉 경력
․ 스위스 로잔느 국제발레콩쿠르(1999년) *한국인 최초
․ 일본 아시아 퍼시픽 국제발레콩쿠르(1999년, 2001년, 2003년)
․ 러시아 모스크바 국제발레콩쿠르(2001년) *한국인 최초
․ 러시아 카잔 국제발레콩쿠르(2001년) *한국인 최초
․ 러시아 ‘브누아 드 라 당스’ 심의(2005년) *한국인 최초
․ 러시아 모스크바 국제발레콩쿠르(2009년)
(사진:국립발레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