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2018년 06월 13 정갈한 사람을 구별하는 샘. 댓글 0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정갈한 사람을 구별하는 샘. 솔모루 남하리사지의 미륵불밑에는 시루만한 크기의 샘이 있다. 이 샘은 부정한 사람과 정갈한 사람을 구별하는 영험이 있었다.부정한 사람이 물을 구하면 샘은 저절로 말랐고 정갈한 사람이 물을 구하면 샘은 저절로 깨끗한 물을 쏟아냈다. 또한 부정한 사람이 물을 구하는 것을 꺼려 ..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8. 6. 13. 솔모루 남하리사지의 미륵불밑에는 시루만한 크기의 샘이 있다. 이 샘은 부정한 사람과 정갈한 사람을 구별하는 영험이 있었다.부정한 사람이 물을 구하면 샘은 저절로 말랐고 정갈한 사람이 물을 구하면 샘은 저절로 깨끗한 물을 쏟아냈다. 또한 부정한 사람이 물을 구하는 것을 꺼려 .. 댓글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8. 6. 13.
05 2018년 02월 05 미륵 목을 자른 왜장이 급살하다. 댓글 0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미륵 목을 자른 왜장이 급살하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198호인 미암리 사지석조관음보살입상에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1592년 임진왜란시 왜병이 청안현을 점령하지 못하고 한양으로 가는 도중 이 불상앞에 이르렀을때 왜장이 타고있던 말이 움직이질 아니하였다. 왜장이 내려 연유를 물으니 동네주민들이 이르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8. 2. 5.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198호인 미암리 사지석조관음보살입상에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1592년 임진왜란시 왜병이 청안현을 점령하지 못하고 한양으로 가는 도중 이 불상앞에 이르렀을때 왜장이 타고있던 말이 움직이질 아니하였다. 왜장이 내려 연유를 물으니 동네주민들이 이르기.. 댓글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8. 2. 5.
28 2017년 04월 28 도안면 노암리 식수기념비(道安面 老岩里 植樹記念碑) 댓글 0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도안면 노암리 식수기념비(道安面 老岩里 植樹記念碑) 노암4리(老岩四里) : 둥구머리/괴정(槐亭)/노하(老下) : ‘둥구머리’는 두타산에서 북동쪽으로 뻗어 내린 산 남동쪽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이 마을 동쪽에는 송정5리 ‘가무지’가, 서쪽에는 ‘뇌실’이, 남쪽에는 ‘진등’,‘행갈’이, 북쪽에는 송정2리 ‘통미’가 접하고 있다. ‘둥..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4. 28. 노암4리(老岩四里) : 둥구머리/괴정(槐亭)/노하(老下) : ‘둥구머리’는 두타산에서 북동쪽으로 뻗어 내린 산 남동쪽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이 마을 동쪽에는 송정5리 ‘가무지’가, 서쪽에는 ‘뇌실’이, 남쪽에는 ‘진등’,‘행갈’이, 북쪽에는 송정2리 ‘통미’가 접하고 있다. ‘둥.. 댓글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4. 28.
23 2017년 04월 23 증평읍 미암리 자양마을(曾坪邑 彌岩里 紫陽마을) 댓글 1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증평읍 미암리 자양마을(曾坪邑 彌岩里 紫陽마을) 증평읍 미암리에 있는 자연마을 입니다. 미암4리(彌岩四里) : ㆍ대지랭이/대자양(大紫陽) : ‘시화’에서 서북쪽으로 1.5km 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두타산 기슭에 있는 마을로, 골이 깊어서 ‘대지랭이’로 불렸다 한다. 또는 ‘대봉산(大峰山)’ 자락이어서 ‘대지랭이’가 되었다고도 한..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4. 23. 증평읍 미암리에 있는 자연마을 입니다. 미암4리(彌岩四里) : ㆍ대지랭이/대자양(大紫陽) : ‘시화’에서 서북쪽으로 1.5km 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두타산 기슭에 있는 마을로, 골이 깊어서 ‘대지랭이’로 불렸다 한다. 또는 ‘대봉산(大峰山)’ 자락이어서 ‘대지랭이’가 되었다고도 한.. 댓글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4. 23.
11 2017년 03월 11 도안면 화성리 도안면사무소 댓글 0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도안면사무소 화성리는 본래 조선시대 청안현(淸安縣) 북면(北面) 지역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 기록에는 청안현 북면에 33개리가 있었다. 그 중에서 현재의 화성리와 관련된 마을로는 명암상리(鳴巖上里),명암하리(鳴巖下里),행정리(杏亭里),상작달리(上爵達里),상작달하리((上爵..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3. 11. 화성리는 본래 조선시대 청안현(淸安縣) 북면(北面) 지역이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 기록에는 청안현 북면에 33개리가 있었다. 그 중에서 현재의 화성리와 관련된 마을로는 명암상리(鳴巖上里),명암하리(鳴巖下里),행정리(杏亭里),상작달리(上爵達里),상작달하리((上爵.. 댓글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3. 11.
07 2017년 03월 07 도안면 노암리 뱀티마을(道安面 老岩里 뱀티마을) 댓글 0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도안면 노암리 뱀티마을(道安面 老岩里 뱀티마을) 노암2리(老岩二里) :뱀티/백암(白岩) : ‘뱀티’는 두타산에서 뻗어 내린 산등성이에 자리 잡은 산촌마을이다. 이 마을 동쪽에는 ‘둥구머리’가, 서쪽에는 증평읍 미암4리 ‘대지랭이’가, 남쪽에는 ‘진등’,‘행갈’이, 북쪽에는 ‘뇌실’이 접해 있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3. 7. 노암2리(老岩二里) :뱀티/백암(白岩) : ‘뱀티’는 두타산에서 뻗어 내린 산등성이에 자리 잡은 산촌마을이다. 이 마을 동쪽에는 ‘둥구머리’가, 서쪽에는 증평읍 미암4리 ‘대지랭이’가, 남쪽에는 ‘진등’,‘행갈’이, 북쪽에는 ‘뇌실’이 접해 있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 댓글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3. 7.
02 2017년 03월 02 내수읍 형동리 마을풍경(內秀邑 刑東里 마을風景) 댓글 1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수읍 형동리 마을풍경(內秀邑 刑東里 마을風景) 내수읍 형동리 사진입니다. 형동리(刑東里)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에 있는 리(里)이다. 동쪽에는 인경산(仁景山)이 있고, 대부분 낮은 구릉지이다. 당산소류지가 있다. 자연마을로는 형동리(동산말), 가시울, 언덕말 등이 있다. 형동리는 가시울 동쪽이 된다 하여 이름 붙여졌고..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3. 2. 내수읍 형동리 사진입니다. 형동리(刑東里)는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에 있는 리(里)이다. 동쪽에는 인경산(仁景山)이 있고, 대부분 낮은 구릉지이다. 당산소류지가 있다. 자연마을로는 형동리(동산말), 가시울, 언덕말 등이 있다. 형동리는 가시울 동쪽이 된다 하여 이름 붙여졌고.. 댓글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7. 3. 2.
12 2016년 03월 12 증평읍 용강리 곡강골(曾坪邑 龍江里 曲江골) 댓글 0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증평읍 용강리 곡강골(曾坪邑 龍江里 曲江골) 용강2리(龍江二里)는 곡강(曲江)/곡강골(曲江-)라고 불리우며 ‘돌고개’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증평에서 괴산군 청안면 방면의 592번지방도 오른쪽에 있는 마을이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곡강(曲江)’으로 불리던 곳이다. ‘곡강’이..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6. 3. 12. 용강2리(龍江二里)는 곡강(曲江)/곡강골(曲江-)라고 불리우며 ‘돌고개’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증평에서 괴산군 청안면 방면의 592번지방도 오른쪽에 있는 마을이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의 ‘곡강(曲江)’으로 불리던 곳이다. ‘곡강’이.. 댓글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2016.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