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2020년 12월 30 부석사 박물관 불상(浮石寺 博物館 佛像) 댓글 0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부석사 박물관 불상(浮石寺 博物館 佛像) 영주 부석사 박물관 야외에 조성되어 있는 불상입니다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2. 30. 영주 부석사 박물관 야외에 조성되어 있는 불상입니다 댓글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2. 30.
27 2020년 12월 27 부석사 동,서 삼층석탑(浮石寺 東,西 三層石塔) 댓글 0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부석사 동,서 삼층석탑(浮石寺 東,西 三層石塔)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2. 27. 댓글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2. 27.
26 2020년 12월 26 소수박물관 석교부재(紹修博物館 石橋部材) 댓글 0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소수박물관 석교부재(紹修博物館 石橋部材) 영주 소수성원ㄴ내의 위치한 소수서원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석교의 부재들입니다.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2. 26. 영주 소수성원ㄴ내의 위치한 소수서원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석교의 부재들입니다. 댓글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2. 26.
13 2020년 12월 13 숙수사지출토다리교각부재(宿水寺址出土다리橋脚部材) 댓글 0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숙수사지출토다리교각부재(宿水寺址出土다리橋脚部材) 소수서원 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숙수사지에서 출토된 다리교각부재입니다. 원형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어서 교각연구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2. 13. 소수서원 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숙수사지에서 출토된 다리교각부재입니다. 원형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어서 교각연구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댓글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2. 13.
25 2020년 11월 25 소수박물관 야외전시장석물(紹修博物館 野外展示場石物) 댓글 0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소수박물관 야외전시장석물(紹修博物館 野外展示場石物) 소수서원 소수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석물들입니다 주초석과 광배등이 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1. 25. 소수서원 소수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석물들입니다 주초석과 광배등이 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댓글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1. 25.
24 2020년 11월 24 소수박물관 행군수김공익정영세불망비(紹修博物館 行郡守金公益鼎永世不忘碑) 댓글 0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소수박물관 행군수김공익정영세불망비(紹修博物館 行郡守金公益鼎永世不忘碑) 행군수김공익정영세불망비(行郡守金公益鼎永世不忘碑) 행군수김공익정영세불망비는 영천군수를 지낸 김익정(金益鼎)의 선정비로 1844년(헌종 10) 건립되었으며, 크기는 높이 75㎝, 너비 43㎝이다.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1. 24. 행군수김공익정영세불망비(行郡守金公益鼎永世不忘碑) 행군수김공익정영세불망비는 영천군수를 지낸 김익정(金益鼎)의 선정비로 1844년(헌종 10) 건립되었으며, 크기는 높이 75㎝, 너비 43㎝이다. 댓글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1. 24.
24 2020년 11월 24 소수박물관 고군수여성부원군민공치록유애비(紹修博物館 故郡守驪城府院君閔公諱致錄遺愛碑) 댓글 0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소수박물관 고군수여성부원군민공치록유애비(紹修博物館 故郡守驪城府院君閔公諱致錄遺愛碑) 고군수여성부원군민공치록유애비(故郡守驪城府院君閔公諱致錄遺愛碑) 고군수여성부원군민공치록유애비는 영천군수를 지낸 민치록(閔致錄)의 선정비로 1860년(철종 11) 건립되었으며, 크기는 높이 65㎝, 너비 40㎝이다. 이 비석은 원래 영주초등학교 정문 앞 나무 옆에 있던 것인데, 그 주인공이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아버지인 민치록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1. 24. 고군수여성부원군민공치록유애비(故郡守驪城府院君閔公諱致錄遺愛碑) 고군수여성부원군민공치록유애비는 영천군수를 지낸 민치록(閔致錄)의 선정비로 1860년(철종 11) 건립되었으며, 크기는 높이 65㎝, 너비 40㎝이다. 이 비석은 원래 영주초등학교 정문 앞 나무 옆에 있던 것인데, 그 주인공이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아버지인 민치록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댓글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1. 24.
23 2020년 11월 23 소수박물관 어사박공규수영세불망비(紹修博物館 御使朴公珪壽永世不忘碑) 댓글 0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소수박물관 어사박공규수영세불망비(紹修博物館 御使朴公珪壽永世不忘碑) 어사박공규수영세불망비(御使朴公珪壽永世不忘碑) 어사박공규수영세불망비는 경상좌도암행어사(慶尙左道暗行御史)를 지낸 박규수(朴珪壽)의 선정비로 1856년(철종 7) 건립되었으며, 크기는 높이 65㎝, 너비 40㎝이다.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1. 23. 어사박공규수영세불망비(御使朴公珪壽永世不忘碑) 어사박공규수영세불망비는 경상좌도암행어사(慶尙左道暗行御史)를 지낸 박규수(朴珪壽)의 선정비로 1856년(철종 7) 건립되었으며, 크기는 높이 65㎝, 너비 40㎝이다. 댓글 전국방방곡곡/영주(榮州) 2020.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