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2017년 04월 22 속리산면 법주사 추래암마애불(俗離山面 法住寺 墜來巖磨崖佛) 댓글 0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속리산면 법주사 추래암마애불(俗離山面 法住寺 墜來巖磨崖佛) 보물 제 216호이다, 마애여래의상은 사리각 옆 추래암(墜來岩) 암벽에 조각되어 있는 불상으로서 둥근 얼굴과 감은 듯이 뜬 눈, 그리고 두툼한 입술, 반듯한 어깨, 유난히 잘록한 허리 등 비사실적 추상성을 띠고 있습니다. 의자가 된 연봉은 연꽃잎이 불상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발아래..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7. 4. 22. 보물 제 216호이다, 마애여래의상은 사리각 옆 추래암(墜來岩) 암벽에 조각되어 있는 불상으로서 둥근 얼굴과 감은 듯이 뜬 눈, 그리고 두툼한 입술, 반듯한 어깨, 유난히 잘록한 허리 등 비사실적 추상성을 띠고 있습니다. 의자가 된 연봉은 연꽃잎이 불상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발아래.. 댓글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7. 4. 22.
24 2016년 12월 24 속리산면 법주사 사대천왕석등(俗離山面 法住寺 四大天王石燈) 댓글 0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속리산면 법주사 사대천왕석등(俗離山面 法住寺 四大天王石燈) 신라의 전형적인 팔각석등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조각수법으로 보아 혜공왕(765~780)대에 진표율사가 법주사를 중창하던 때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4매로 조합된 사각형 지대석 위에 팔각의 기대 각 면에 안상 장식을 하였다. 하대와 상대에 장식된 단판8엽의 연화 내에는 화려한 보상화문을..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2. 24. 신라의 전형적인 팔각석등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조각수법으로 보아 혜공왕(765~780)대에 진표율사가 법주사를 중창하던 때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4매로 조합된 사각형 지대석 위에 팔각의 기대 각 면에 안상 장식을 하였다. 하대와 상대에 장식된 단판8엽의 연화 내에는 화려한 보상화문을.. 댓글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2. 24.
20 2016년 12월 20 속리산면 법주사 미륵불상조성기념비(俗離山面 法住寺 彌勒佛像造成紀念碑) 댓글 0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속리산면 법주사 미륵불상조성기념비(俗離山面 法住寺 彌勒佛像造成紀念碑)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금동미륵대불을 조성할 때 그 조성을 기념하기 위하여 만든 비석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미륵불조성기념비(彌勒佛造成紀念碑)라고 각자되여 있습니다. 금동이륵대불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俗離山面) 법주사 경내에 있는 세계 최대의 단일 불상이다. 동..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2. 20. 속리산면 법주사에 있는 금동미륵대불을 조성할 때 그 조성을 기념하기 위하여 만든 비석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미륵불조성기념비(彌勒佛造成紀念碑)라고 각자되여 있습니다. 금동이륵대불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俗離山面) 법주사 경내에 있는 세계 최대의 단일 불상이다. 동.. 댓글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2. 20.
01 2016년 12월 01 속리산면 법주사 벽암대사비(俗離山面 法住寺 碧巖大師碑) 댓글 0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속리산면 법주사 벽암대사비(俗離山面 法住寺 碧巖大師碑) 법주사 초입 수정교 건너기 전에 속리사실기비와 이웃하고 있는 벽암대사 비입니다. 1980년 11월 13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 입구 수정교(水晶橋) 앞 바위 위에 있는 조선 중기의 승려 각성의 석비로 법주사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비명(碑銘)은 유명조선국고..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2. 1. 법주사 초입 수정교 건너기 전에 속리사실기비와 이웃하고 있는 벽암대사 비입니다. 1980년 11월 13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 입구 수정교(水晶橋) 앞 바위 위에 있는 조선 중기의 승려 각성의 석비로 법주사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비명(碑銘)은 유명조선국고.. 댓글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2. 1.
30 2016년 11월 30 속리산면 법주사 속리실기비(俗離山面 法住寺 俗離實記碑) 댓글 0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속리산면 법주사 속리실기비(俗離山面 法住寺 俗離實記碑)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 167호 속리산국립공원 입구에 있는 법주사(法住寺) 근처의 수정교(水晶橋) 앞에 있는 비로서 비각 안에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63m, 너비 0.65m이다. 1666년(현종 7)에 송시열(宋時烈)이 이야기를 짓고 명필 송준길(宋浚吉)이 글씨를 써서 세웠는데 비문의 내용은 속리..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1. 30.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 167호 속리산국립공원 입구에 있는 법주사(法住寺) 근처의 수정교(水晶橋) 앞에 있는 비로서 비각 안에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63m, 너비 0.65m이다. 1666년(현종 7)에 송시열(宋時烈)이 이야기를 짓고 명필 송준길(宋浚吉)이 글씨를 써서 세웠는데 비문의 내용은 속리.. 댓글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1. 30.
05 2016년 10월 05 속리산면 법주사 석조(俗離山面 法住寺 石槽) 댓글 0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속리산면 법주사 석조(俗離山面 法住寺 石槽) 1980년 11월 13일 충북유형문화재 제70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에 있는 돌로 만든 물을 저장하는 용기로 법주사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720년(성덕왕 19)에 조성되어 법주사가 번창하여 3천여 명의 승려가 모여살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130㎝, 길이 446㎝, 너비 240㎝, 두께 21㎝의 ..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0. 5. 1980년 11월 13일 충북유형문화재 제70호로 지정되었다. 법주사에 있는 돌로 만든 물을 저장하는 용기로 법주사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720년(성덕왕 19)에 조성되어 법주사가 번창하여 3천여 명의 승려가 모여살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130㎝, 길이 446㎝, 너비 240㎝, 두께 21㎝의 .. 댓글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10. 5.
25 2016년 09월 25 속리산면 법주사 탑(俗離山面 法住寺 塔) 댓글 0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속리산면 법주사 탑(俗離山面 法住寺 塔) 속리산 법주사 미륵대불 뒷쪽 야산이 끝나는 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탑 2기 입니다. 몇기의 탑과 석물등을 조합하여 세워 놓은것 같습니다, 탑의 기단부분은 팔부중상을 새겨놓은것 같습니다. 두탑이 서로 마주보고 있습니다.파손된 석조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탑을 만든것 같습니다.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9. 25. 속리산 법주사 미륵대불 뒷쪽 야산이 끝나는 부분에 자리하고 있는 탑 2기 입니다. 몇기의 탑과 석물등을 조합하여 세워 놓은것 같습니다, 탑의 기단부분은 팔부중상을 새겨놓은것 같습니다. 두탑이 서로 마주보고 있습니다.파손된 석조부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탑을 만든것 같습니다. 댓글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9. 25.
24 2016년 09월 24 속리산면 법주사 봉교비(俗離山面 法住寺 奉敎碑) 댓글 0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속리산면 법주사 봉교비(俗離山面 法住寺 奉敎碑) 법주사로 경내로 들어가기전 벽암대사비 옆에 있는 작은 비석이다. 비석의 전면에는 봉교 금유객제잡역 비변사(奉敎 禁遊客除雜役 備邊司)라고 음기되여 있다. 속리산 수정교입구에 벽암대사비 옆에 서있는 봉교비입니다 봉교란 왕이 내린 명령을 말합니다. 어떤 명령 인가 하니 ‘禁遊..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9. 24. 법주사로 경내로 들어가기전 벽암대사비 옆에 있는 작은 비석이다. 비석의 전면에는 봉교 금유객제잡역 비변사(奉敎 禁遊客除雜役 備邊司)라고 음기되여 있다. 속리산 수정교입구에 벽암대사비 옆에 서있는 봉교비입니다 봉교란 왕이 내린 명령을 말합니다. 어떤 명령 인가 하니 ‘禁遊.. 댓글 충북의 바람소리/보은군(報恩郡) 2016.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