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우선 지식채널을 하나만 보고 넘어가자.
[지식채널 e] - 48분의 함정
우리나라의 연소득 평균은 4만달러이다.
대략 연봉 5000만원인 사람은 상위 12/60 (= 20%)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나머지 사람들은 대부분(전국민의 50% 정도)은 2000만원대 이하의 연봉으로 생활한다.
우리는 세금을 일정액이 아니라 소득의 비율로 낸다.
100만원 버는 사람은 10만원의 세금을,
1000만원 버는 사람은 100만원의 세금을 낸다.
// 내글 링크: http://blog.daum.net/kipid/8306943 : 왜 부자들이 세금을 많이 내야 되는가?
전면 무상 급식. 정말 가난한 사람 돈 뺏어서 부자들 자식들에게 급식 먹이자는 것인가?
아니다.
가난한 사람에게 1만원을 걷고, 부자에게 99만원을 걷어..
가난하든 아니든 두집자식 모두에게 월 50만원 짜리 급식을 먹이자.
가 전면 무상 급식의 취지이다.
그렇다면 왜 부자가 손해를 보며 살아야 할까?
그건 링크 참조
// 내글 링크: http://blog.daum.net/kipid/8306943 : 왜 부자들이 세금을 많이 내야 되는가?
부작용도 걱정해야 한다.
부자들에게 비율로 세금을 걷으면, 그들은 더 악날해 진다.
집세를 올려받고, 물건을 비싸게 팔기 시작하며, 노동력을 더 악랄하게 착취하기 시작한다.
이런 부작용들을 잘 관리하며 정책을 펴가야 할 것이다.
조금 더 생각해 보다가 관점이 바꼈다. 정책에도 다양성이 있어야 발전하는 사회일거란 생각이 들면서..
전국적으로 모든 학교가 전면 무상 급식을 할 것이 아니라.
어느 지역은 전면 무상 급식, 어느 지역(강남같은 부자동네)은 일부만 무상 급식 같은 정책을 펴도 다양성 면에서 좋지 않을까?
물론 타지역의 정책이 좋다 판단되면 따라가면 된다.
애들 밥먹는거 가지고 딴나라당에서 참 가지가지 하는거 같다.
<OBJECT id=c4huKCG9VwM$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width="642" align=middle height="390"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O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