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2022년 07월
03
전남의 큰섬 바닷가에서 본 고들빼기입니다. 국명 : 고들빼기 학명 :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Pak & Kawano 분류 : M피자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갯고들빼기속 분포 : 전국 / 중국 생태 :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월에서 7월에 주로 피나 간혹 10월까지 피기도 한다. 형태 :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없고, 높이 20~100cm, 자줏빛이 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없고, 꽃이 필 때 남아 있기도 한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 길이 2~6cm, 밑이 넓어져서 줄기를 크게 감싸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처럼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대는 ..
23 2022년 06월
23
경북 동해안의 바닷가에서 본 흰색 꽃을 피운 갯봄맞이입니다. 붉은색이 감도는 꽃을 피우는 갯봄맞이 사이에서 흰색 꽃을 피운 모습이 고왔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이라 보호가 되어야할 갯봄맞이입니다. 국명 : 갯봄맞이 학명 :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앵초목 > 앵초과 > 갯봄맞이꽃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서는 강원도와 경상도 동해안을 따라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미국, 캐나다 등 비교적 넓게 분포한다.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바닷물과 맞닿거나 해안가에 인접한 석호지역 습지에서 산다. 8~9월경에 개화한다. 형태 :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3 2022년 06월
23
경북 동해안의 바닷가에서 본 갯봄맞이입니다. 바닷가 바위 사이에서 올망졸망 모여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이라 보호가 되어야할 갯봄맞이입니다. 국명 : 갯봄맞이꽃 학명 : Glaux maritima var. obtusifolia Fernald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앵초목 > 앵초과 > 갯봄맞이꽃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서는 강원도와 경상도 동해안을 따라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미국, 캐나다 등 비교적 넓게 분포한다.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바닷물과 맞닿거나 해안가에 인접한 석호지역 습지에서 산다. 8~9월경에 개화한다. 형태 :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20cm이다. 다닥다닥 붙은 넓..
23 2022년 06월
23
경북 동해안의 바닷가에서 본 갯완두입니다. 무성하게 자란 잎 사이에서 바다를 보며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국명 : 갯완두 학명 : Lathyrus japonicus Willd.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연리초속 분포 : 전국 / 북반구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누워서 자라며, 길이 15~60cm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8~12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5~3.0cm, 폭 1~2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턱잎은 화살 모양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1.5~3.0cm, 폭 1~2cm, 아래쪽에 뾰족한 귀가 있다. 줄기 위쪽에서는 잎 끝이 변한 덩굴손이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
27 2022년 01월
27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갯장구채입니다. 흰색 꽃을 피운 갯장구채도 보았습니다. 식물명 : 갯장구채 학명 :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Miq.) C.Y.Wu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끈끈이장구채속(장구채속) 분포 : 중부 이남의 해변에 분포한다. 형태 : 두해살이풀 생육환경 : 바닷가의 숲 속이나 모래땅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50cm정도로 자란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거꿀피침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없거나 극히 짧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분홍색이고 원줄기와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꽃자루가 있다. 꽃받침은 짧은 통형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10개의 능선은 자줏빛이 돌고 전체에 굽은 털이 ..
27 2022년 01월
27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갯완두입니다. 바닷가 풀밭에서 갯완두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갯완두 학명 : Lathyrus japonicus Willd. 분류 : 장미목 > 콩과 > 연리초속 분포 : 북반구 해안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북(보현산, 울릉도), 충남, 강원, 경기(강화도), 황해,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해변의 모래땅에 난다. 크기 : 길이 20- 6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짧고 3-6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달걀모양,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밑이 뭉뚝하거나 다소 쐐기모양이고 길이 15-30mm, 나비 10-20mm 로서 톱니가 없으며 덩굴손이 흔히 갈라지지 않..
27 2022년 01월
27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갯무입니다. 아침 햇살을 받고 피어난 갯무의 모습이 화사하였습니다. 식물명 : 갯무 학명 :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 raphanistroides Makino 분류 : 양귀비목 > 십자화과 > 무속 분포 : 전국 형태 : 2년생 초본 생육환경 : 바닷가에서 자란다. 크기 : 꽃대는 높이 1m정도 잎 : 근생엽은 1회우상복엽이며 깊게 갈라지고 양면에 딱딱한 털이 있으며 정생열편이 가장 크다. 무우에 비해 잎이 보다 작다. 꽃 : 꽃대는 길이 1m정도 자란 다음 가지를 치며 그 밑에서 총상꽃차례가 발달하고 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거의 백색이고 십자모양꽃부리로 배열되며 꽃자루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길이 7mm로서 선상..
27 2022년 01월
27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솜방망이입니다. 일출을 보러 광치기해변에 나가서 보았습니다. 꽃은 지는 중이었습니다. 식물명 : 솜방망이 학명 :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솜방망이속 분포 :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태 : 비교적 토양은 가리지 않는 편이며, 어디서나 잘 자라고,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크기 : 높이 20-65cm 잎 :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퍼지고 개화기까지 남아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0cm, 나비 1.5~2.5cm로서 끝은 둔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
27 2022년 01월
27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흰대극입니다. 식물명 : 흰대극 학명 : Euphorbia esula L. 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분포 : 남부 도서지방의 해안가.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강한 광선이 내리쬐는 해안가의 모래땅이나 들에 생육. 크기 : 높이 20-4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약간 밀생하며 거꿀피침모양 또는 주걱모양이고 원두, 둔두 또는 요두이며 길이 2-3cm, 폭 3-5mm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짧은 가지에서는 꽃차례가 달리지 않는 포기의 윗부분에서 처럼 밀생하고 화서 밑의 잎은 5개가 돌려나기하며 도란상 피침형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차례는 산형이고 5개가 나와 2개씩 2번 갈라져서 끝에 꽃이 달린다. 총포..
27 2022년 01월
27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갯괴불주머니입니다. 아침 햇살을 받고 피어난 갯괴불주머니의 모습이 고왔습니다. 식물명 : 갯괴불주머니 학명 : Corydalis platycarpa (Maxim.) Makino 분류 : 양귀비목 > 현호색과 > 현호색속 분포 : 울릉도에서 자란다. 형태 : 두해살이풀. 생육환경 :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40-60㎝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난상 삼각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10-25㎝로서 대개 엽병이 있고 2-3회 3출우상엽이며 열편은 난상 쐐기모양이고 결각(缺刻)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길이 15-20㎝로서 황색이고 한쪽이 순형(脣形)으로 벌어지며 다른 한쪽은 거(距)로 되고 총상꽃차례는 길이 5-10㎝이며 끝에 달린..
26 2022년 01월
26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에서 본 암대극입니다. 제주 바닷가의 검은 돌 사이에서 암대극이 노란색 꽃을 탐스럽게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암대극 학명 : Euphorbia jolkinii Boiss. 분류 : 쥐손이풀목 > 대극과 > 대극속 분포 : 우리 나라 남부 해안.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해안의 암석지에 난다. 크기 : 높이 40~8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밀생하며 거꿀피침모양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길이 4~7cm, 폭 8-12mm로서 주맥이 뒷면 끝까지 돌출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윤생엽은 거의 서로 비슷하고 다른 잎보다 넓으며 짧다. 꽃 : 총포조각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1-2cm, 폭 6-12mm로서 누른..
26 2022년 01월
26
2021년 4월에 제주도 바닷가 도로변에서 본 토끼풀입니다. 도로변의 풀밭에서 토끼풀이 무리로 자라면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토끼풀 학명 : Trifolium repens L. 분류 : 장미목 > 콩과 > 토끼풀속 분포 : 거의 세계적으로 널이 재배되고 있다. 전국 각지 잔디밭이나 하천 고수부지,정원 등 일조 조건이 좋은 곳에 널리 자라고 있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유럽 원산의 재배식물이나 흩어져 야생하기도 한다. 크기 : 높이가 30-60cm 정도로 자란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장상3출복엽으로서 엽병은 길이 10cm에 이른다. 소엽은 거꿀달걀모양 또는 거꿀심장모양이며 길이 8-20mm,넓이 8-18mm로서 원두 또는 요두이고 예저이며 작은잎자루가 거의 없고 길이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