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leelive1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시에 꿀벌이 산다고? 빌딩에 꿀벌이 산다고? 근래 양봉에 관심을 갖고 이런저런 자료를 보던 중 도시양봉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어반비즈서울(urbanbeesseoul) 도시에 꿀벌이 산다고? 도시에서 벌을 키운다고? 도시에 벌꿀이 생산되고 먹는다고? 이런 일을 하는. 도시에서 꿀벌을 키우는 일..
1912년부터 북한산성 행궁을 대여해서 여름 휴양소로 사용하던 대한성공회의 3대 주교인 마크 트롤로프(Mark Trollope, 한국이름 ‘조마가’) 주교가 1915년 모닝캄(MORNING CALM) 146호에 기고한 글로, 행궁의 구조와 규모를 설명하고 1915년 여름 대홍수로 인한 북한산성의 피해상황과 행궁이 파괴..
1912년 영국교회(성공회)가 대여하여 외국인 휴양소로 사용하던 행궁은 1915년 대홍수때 산사태로 말미암아 소실되고 말았다. 최근 한수당연구원(http://blog.naver.com/PostList.nhn?blogId=hahnsudang)이 찾아서 소개한 자료 ‘Morning Calm 제146호’에 의하면 1915년 7월 23~24 양일간 쏟아진 대홍수로 인해 파..
1910년 한일병탄조약에 의해 국권을 상실한 조선의 모든 국가시설이 일제의 지배에 놓이게 됐다. 군인과 승병이 지키던 군사도시 북한산성의 대부분 시설들(병영, 승병사찰, 군기고 등)은 그 이전에 이미 파괴됐지만 행궁은 그 상징성 때문인지 건물은 존재하고 있었다. 주인이 사라지고 ..
1711년(숙종37) 북한산성 축성 당시 임금이 머물기 위한 건축물인 행궁을 축조하기위해 행궁영건청을 별도 설치하여 다음해에 행궁을 완성하였고 이후 숙종과 영조가 머무르기도 하며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약 200년간 북한산성의 중심건축물로 유지되어 왔다. 최초의 행궁기록사진인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