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유네스코/한국수자원연구원 역 |
![]() | | | 2013-11-29 |
「UN 세계물개발보고서 4」는 지속가능한 물 이용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 세계 수자원 현황 자료를 제공하며, UNESCO(유네스코)가 3년마다 발간하는 수자원 분야 최고 권위의 보고서이다.
◦ 이번에 발간된 제4판은 2012년 ‘제6차 세계 물포럼’에서 발표되었으며, 총 3권 4부로 나뉘어 있다.
- (1권 1부, 현황 및 트렌드, 도전과제) 물 관리 및 이용 현황과 트렌드, 주요 도전과제들에 대한 개요 수록
- (1권 2부, 불확실성과 리스크에 따른 물 관리) 보고서의 주제파트로 관리 및 제도에서 할당 및 자금도달까지 물에 영향을 주는 결정들이 리스크와 불확실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조사
- (2권 3부, 지식기반) 1부와 2부는 물론, 다른 보충 문헌이 작성될 수 있도록 UN-Water 기구들이 준비한 도전영역 보고서와 지역 유엔 경제위원회가 마련한 지역보고서를 수록
- (3권 4부, 도전에 직면하여) 세계 15개 국가의 물 이용 및 관리 현황, 문제점 및 제도·정책, 환경보호 등 사례 연구들이 담겨져 있다.
제1장: 물의 중심성과 국제적규모에 대한 인식
제1부: 현황 및 트렌드, 도전과제
제2장: 물수요: 무엇이 소비를 야기하나?
제3장: 수자원: 가변성, 취약성 그리고 불확실성
제4장: 수요를넘어서: 물의 사회적, 환경적 혜택
제5장: 물관리 및 제도, 역량개발
제6장: 원 데이터에서 정보에 근거한 결정까지
제7장: 지역적 도전과제와 세계적영향
제2부 물확실성과 리스크에 따른 물관리
제8장: 불확실성에 따른 노력과 리스크 관리
제9장: 주요 동인들과 관련된 불확실성과 리스크에 대한 이해
제10장: 가치평가되지 않은 물이 불확실한 미래를 야기한다.
제11장: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물관리 제도의 변형
제12장: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물 관리 제도의 변형
제13장: 물관리 관점에서의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제14장: 워터박스 밖에서의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제15장: 자원의 상태: 양적측면
제16장: 자원의 상태: 질적측면
제17장: 인간 주거지
제18장: 축산가치사슬에 따른 물관리
제19장: 에너지와 물의 국제적결합
제20장: 산업용담수
제21장: 생태계
제22장: 물의 분배
제23장: 물의 가치화
제24장: 수자원기반시설의 조직과 관리에 대한 투자
제25장: 물과 제도적변화: 현재와 미래으 불확실성에 대응
제26장: 지식 및 역량개발
제27장: 수재
제28장: 사막화, 토지 황폐화 그리고 가뭄이 건조지역의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제29장: 아프리카
제30장: 유럽과 북아메리카
제31장: 아시아 및 태평양
제32장: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제33장: 아랍지역과 서아시아
제34장: 물과건강
제35장: 물과 젠더
제36장: 지하수
제37장: 가나
제38장: 케냐 및 탄자니아, 마라강유역
제39장: 요르단
제40장: 모로코
제41장: 호주, 머레이달링 분지
제42장: 중국, 황하유역
제43장: 한국, 제주도
제44장: 파키스탄, 인더스강 유역
제45장: 체코공화국
제46장: 프랑스, 마르세이유 프로방스 광역도시공동체
제47장: 이탈리아, 티베트강 유역
제48장: 포르투갈, 타구스강 유역
제49장: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존스강 유역
제50장: 코스타리카
제51장: 멕시코, 레르마-치빨라 유역
![]() | | | 김주연,이은영 |
![]() | | | 2009-03-27 |
본 도서는 BIM프로그램 중 하나인 Archicad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택설계시 고객상담에서 시공까지 필요한
모든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실내건축디자인에 디자인기획, 제안서, 물량산출,
디자인 프로세스 및 시공까지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구성은 16주 학부강의체계를 따랐으며, 예제를 통해
반복학습과 실무에서 바로 응용 할 수 있도록 디자이너가
아이디어 발상 전개부터 고객 프리젠테이션까지 진행하였던
과정을 예시로 하여 실무에서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지털 공간 디자인 개념과 작업설정하기
1 Week 프로젝트 소개 및 ArchiCAD 작업환경
디지털 공간 구조요소 배치하기
2 Week 대지만들기
3 Week 건축 매스구성 및 슬래브만들기
4 Week 기둥, 보 만들기
5 Week 벽 만들기
6 Week 1층 복합벽 만들기
7 Week 창문, 문, 샤시, 계단 만들기
8 Week 커튼월 만들기
9 Week 2층 슬래브, 벽 만들기
10 Week 2층 개구부, 캐노피, 옥상층, 계단 만들기
11 Week 2층 베란다, 데크 만들기
12 Week 조명, 가구, 난간 만들기
디지털 공간 프리젠테이션하기
13 Week 이미지 렌더링 만들기
14 Week 파일호환 및 도면구성, 출력하기
15 Week 물량산출
16 Week 라이브러리 객체 만들기, Google Earth 프로젝트 업로드하기
[건축 기초 상식] #2. 현대 건축의 주재료인 콘크리트와 유리
현대 건축의 주재료는 콘크리트와 유리 그리고 철입니다.
건축의 주재료인 콘크리트와 유리 그리고 철이 쓰이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0여년 남짓하지요.
이는 산업혁명의 결과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특히 유리와 철은 야금 기술과 제련법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오늘날과 같이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것이랍니다.
자연적인 콘크리트의 사용은 로마시대에도 사용을 하였다고 하지만 후대에 이어지지 못하고 사라졌지요.
20세기에 들어와 건축은 위대한 3명의 거장을 접합니다.
바로 프랑스의 르 코르뷔지에와 독알의 미스 반 데어 로헤 그리고 미국의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입니다.
이들은 산업혁명의 결과물인 철과 유리가 가진 가능성을 빠르게 직감하여 특히 철이나 철근콘크리트<콘크리트 안에 철근을 심어 굳힌 것>가 제공할 수 있는 무주공간<시야에서 기둥을 세우지 않는 공간>을 주목했습니다.
현대 건축은 층간의 바닥판과 기둥만으로 유지되는 공간을 기본으로 합니다.
여기에 피막으로서 유리를 둘러 채광을 확보한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지요.
최근에는 구조계산의 혁신과 재료 공학의 발달 등에 힘입어 파인 세라믹스 재료나 지오데식 돔 등의 공간도 시도되고 있으나
콘크리트와 유리 , 철이 건축의 주재료로 계속 사용될 것입니다.
[출처]건축 기초 상식 1.|작성자Q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