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유네스코/한국수자원연구원 역 |
![]() | | | 2013-11-29 |
「UN 세계물개발보고서 4」는 지속가능한 물 이용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 세계 수자원 현황 자료를 제공하며, UNESCO(유네스코)가 3년마다 발간하는 수자원 분야 최고 권위의 보고서이다.
◦ 이번에 발간된 제4판은 2012년 ‘제6차 세계 물포럼’에서 발표되었으며, 총 3권 4부로 나뉘어 있다.
- (1권 1부, 현황 및 트렌드, 도전과제) 물 관리 및 이용 현황과 트렌드, 주요 도전과제들에 대한 개요 수록
- (1권 2부, 불확실성과 리스크에 따른 물 관리) 보고서의 주제파트로 관리 및 제도에서 할당 및 자금도달까지 물에 영향을 주는 결정들이 리스크와 불확실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조사
- (2권 3부, 지식기반) 1부와 2부는 물론, 다른 보충 문헌이 작성될 수 있도록 UN-Water 기구들이 준비한 도전영역 보고서와 지역 유엔 경제위원회가 마련한 지역보고서를 수록
- (3권 4부, 도전에 직면하여) 세계 15개 국가의 물 이용 및 관리 현황, 문제점 및 제도·정책, 환경보호 등 사례 연구들이 담겨져 있다.
제1장: 물의 중심성과 국제적규모에 대한 인식
제1부: 현황 및 트렌드, 도전과제
제2장: 물수요: 무엇이 소비를 야기하나?
제3장: 수자원: 가변성, 취약성 그리고 불확실성
제4장: 수요를넘어서: 물의 사회적, 환경적 혜택
제5장: 물관리 및 제도, 역량개발
제6장: 원 데이터에서 정보에 근거한 결정까지
제7장: 지역적 도전과제와 세계적영향
제2부 물확실성과 리스크에 따른 물관리
제8장: 불확실성에 따른 노력과 리스크 관리
제9장: 주요 동인들과 관련된 불확실성과 리스크에 대한 이해
제10장: 가치평가되지 않은 물이 불확실한 미래를 야기한다.
제11장: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물관리 제도의 변형
제12장: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물 관리 제도의 변형
제13장: 물관리 관점에서의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제14장: 워터박스 밖에서의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
제15장: 자원의 상태: 양적측면
제16장: 자원의 상태: 질적측면
제17장: 인간 주거지
제18장: 축산가치사슬에 따른 물관리
제19장: 에너지와 물의 국제적결합
제20장: 산업용담수
제21장: 생태계
제22장: 물의 분배
제23장: 물의 가치화
제24장: 수자원기반시설의 조직과 관리에 대한 투자
제25장: 물과 제도적변화: 현재와 미래으 불확실성에 대응
제26장: 지식 및 역량개발
제27장: 수재
제28장: 사막화, 토지 황폐화 그리고 가뭄이 건조지역의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
제29장: 아프리카
제30장: 유럽과 북아메리카
제31장: 아시아 및 태평양
제32장: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제33장: 아랍지역과 서아시아
제34장: 물과건강
제35장: 물과 젠더
제36장: 지하수
제37장: 가나
제38장: 케냐 및 탄자니아, 마라강유역
제39장: 요르단
제40장: 모로코
제41장: 호주, 머레이달링 분지
제42장: 중국, 황하유역
제43장: 한국, 제주도
제44장: 파키스탄, 인더스강 유역
제45장: 체코공화국
제46장: 프랑스, 마르세이유 프로방스 광역도시공동체
제47장: 이탈리아, 티베트강 유역
제48장: 포르투갈, 타구스강 유역
제49장: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존스강 유역
제50장: 코스타리카
제51장: 멕시코, 레르마-치빨라 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