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uxedo/이슈'의 검색결과에 등록된 글 12
23 2010년 05월
23
02 2010년 05월
02
이슈 : Oracle7과 Oracle8의 XA 구현 비교 *----------------------------------------------------------------------------------------------------* | 내용 | Oracle 7.x | Oracle 8.x | 비고 | |--------------------------------+-------------------+------------------------------+----------------| | XA를 통한 사용자??꼭 권한을 | sys.v$xatrans$ | sys.v$xatrans$ | | | 부여해야 되..
02 2010년 05월
02
이슈 : long과 char에 대한 대응 Jolt data type 정의 시 Jolt와 Tuxedo에서 지원하는 Data type을 보면 Jolt에 long data type이 없고, 또한 32-bit와 64-bit의 경우 long의 크기가 다르다. 그리고 C/C++에서의 char data type은 1 byte이나 Java에서 char data type은 2 byte이다. *-------------------* *----------------------------* | Jolt | | Tuxedo | |--------..
02 2010년 05월
02
이슈 : GTT full과 MAXTRANTIME Tuxedo MP, Domain model 사용 시 Aborted된 Transaction이 GTT(Global Transaction Table)에서 Clear 되는데 경우에 따라 Transaction timeout까지 소요될 수가 있다. 따라서, Timeout을 불필요하게 크게 설정(예를 들어, Batch 작업관련 Service 요청 시 tpbegin에서 Transaction timeout을 0으로 설정(System의 unsigned long의..
02 2010년 05월
02
이슈 : Domain config의 BLOCKTIME과 Transaction timeout의 관계 Domain간의 Transaction 처리 시에 설정된 Transaction timeout보다 먼저 TPETIME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원인은 보통 Domain config 상에 설정된 BLOCKTIME이 먼저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Ubbconfig 상에 설정된 BLOCKTIME은 Transaction timeout이 설정되어 있으면 무시되..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1.XA 서비스를 non-XA 모드로 호출할 때 1) OPENINFO에 NoLocal=true가 설정되어 있을 때 - 일단 tpbegin()을 호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Transaction Context가 아니라서 xa_start()는 호출되지 않는다. - 그런데, NoLocal=true가 설정되어 있으면 SQL 수행시 ORA-00155: cannot perform work outside of global transaction이 발생한다. - 따라서 SQL er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