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uxedo/팁'의 검색결과에 등록된 글 37
31 2010년 05월
31
Compile 시 다음과 같은 중복 관련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AIX) ld: 0711-224 WARNING: Duplicate symbol: .tpsvrinit ld: 0711-224 WARNING: Duplicate symbol: .userlog ld: 0711-224 WARNING: Duplicate symbol: userlog ld: 0711-224 WARNING: Duplicate symbol: tpsvrinit ld: 0711-345 Use the -bloadmap or -bnoquiet option to obtain more information. -bhalt:5 옵션을 사용해서 링커..
23 2010년 05월
23
23 2010년 05월
23
23 2010년 05월
23
23 2010년 05월
23
02 2010년 05월
02
해당 client application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넣어서 client name을 알 수 있다. #include "userlog.h" ... char *proc_name; /* 전역변수로 선언 */ void main(int argc, char *argv[]) { … proc_name = "natsh"; userlog("client name : %s", proc_name); … … } //----------------- ULOG 내용. 110356.koguryo!natsh.16245.1.0: 09-06-2007: Tuxedo Version 9.1, 64-bit 110356.koguryo..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1.Context 단위의 BLOCK TIME 지정 application에서 tpsetblktime(20,TPBLK_ALL); 을 설정해주면, 이렇게 설정된 session에 대해서는 20초가 지나면 TIMEOUT을 낸다. 2.SERVICE 단위 BLOCK TIME 지정 UBBCONFIG의 *SERVICES 섹션에 "TOUPPER BLOCKTIME=30" #30초가 지나면 TIMEOUT을 낸다 3.CALL단위 BLOCK TIME지정 atmi call 이전에 tpsetblktime(30,TPBLK_NEXT)로 ..
02 2010년 05월
02
02 2010년 05월
02
> printtrans(pt) [-g groupname] [-m lmid] 참고) 트랜잭션 상태 TMGACTIVE : 트랜잭션 수행 중(No Error). TMGABORTONLY : 트랜잭션이 Abort만 가능한 상태로 아직 Abort가 호출되지 않은 상태. TMGABORTED : 트랜잭션이 Abort만 가능한 상태로 Abort가 호출된 상태. TMGCOMCALLED : Commit이 호출된 상태로 1단계 Commit이 수행 중인 상태. TMG..
02 2010년 05월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