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2014년 12월 14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스피노자주의의 난제 댓글 0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스피노자주의의 난제 " [...] 나는 스피노자와 루크레티우스가 세계를 제대로 파악한 두 사상가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난점은, 존재에 대한 어떤 신조가 없다면 나는 스피노자가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나는 창조와 관련된 스피노자의 신조를 이렇게 이해한다. 신(실체, 자연).. 카테고리 없음 2014. 12. 14. " [...] 나는 스피노자와 루크레티우스가 세계를 제대로 파악한 두 사상가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난점은, 존재에 대한 어떤 신조가 없다면 나는 스피노자가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나는 창조와 관련된 스피노자의 신조를 이렇게 이해한다. 신(실체, 자연).. 댓글 카테고리 없음 2014. 12. 14.
30 2014년 03월 30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계몽(주의)란 무엇인가? 댓글 0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계몽(주의)란 무엇인가? " [...] 내게 계몽주의는 데카르트적 합리성을 의미하지 않고, 반드시 역사의 한 특수한 시기도 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존재하는 인간의 사회적 집합체들 내의 잠재적 경향 같은 것인데, [...] 그것은 모든 시기와 장소에서 크고 작은 강도 또는 밝기를 나타낸다. 그렇다면 이 경향과 강도.. 카테고리 없음 2014. 3. 30. " [...] 내게 계몽주의는 데카르트적 합리성을 의미하지 않고, 반드시 역사의 한 특수한 시기도 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존재하는 인간의 사회적 집합체들 내의 잠재적 경향 같은 것인데, [...] 그것은 모든 시기와 장소에서 크고 작은 강도 또는 밝기를 나타낸다. 그렇다면 이 경향과 강도.. 댓글 카테고리 없음 2014. 3. 30.
10 2014년 02월 10 조너선 이스라엘: 오늘의 인용-급진적 계몽주의와 스피노자주의 댓글 0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조너선 이스라엘: 오늘의 인용-급진적 계몽주의와 스피노자주의 " 어떤 층위를 넘어서면 두 개의 계몽주의만이 존재했고 존재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이성과 전통 사이의 균형을 가정하고 대체로 현 상태를 지지하는 온건한 (두 실체) 계몽주의가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육체와 정신을 하나로 융합하고, 신과 자연을 동일한 것으로 환원하고, 모.. 카테고리 없음 2014. 2. 10. " 어떤 층위를 넘어서면 두 개의 계몽주의만이 존재했고 존재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이성과 전통 사이의 균형을 가정하고 대체로 현 상태를 지지하는 온건한 (두 실체) 계몽주의가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육체와 정신을 하나로 융합하고, 신과 자연을 동일한 것으로 환원하고, 모.. 댓글 카테고리 없음 2014. 2. 10.
09 2013년 10월 09 미셀 옹프레: 오늘의 인용-유쾌한 지혜의 기술 댓글 0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미셀 옹프레: 오늘의 인용-유쾌한 지혜의 기술 " [...] 치명적인 열정에서 벗어나서 신중한 쾌락을 생각하는 육체는 치료를 통해 죄의식에서 벗어난다. [피에르] 샤롱은 허약함, 공허함, 불안, 불행, 거만, 오만, 운명의 장난 등 [...] 인간의 불행을 두려워하는 초상화를 그린다. 즉 "인생의 초기에는 황금의 씨앗, 중년에 더러움과 불행의 .. 카테고리 없음 2013. 10. 9. " [...] 치명적인 열정에서 벗어나서 신중한 쾌락을 생각하는 육체는 치료를 통해 죄의식에서 벗어난다. [피에르] 샤롱은 허약함, 공허함, 불안, 불행, 거만, 오만, 운명의 장난 등 [...] 인간의 불행을 두려워하는 초상화를 그린다. 즉 "인생의 초기에는 황금의 씨앗, 중년에 더러움과 불행의 .. 댓글 카테고리 없음 2013. 10. 9.
05 2013년 10월 05 미셀 옹프레: 오늘의 인용-바로크 자유사상의 지양으로서의 스피노자 철학 댓글 0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미셀 옹프레: 오늘의 인용-바로크 자유사상의 지양으로서의 스피노자 철학 " 주관성을 인정한다면 우선 [바로크 자유사상이 등장한] 모호한 이 시기에 대해서는 결국 두 기간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 일관성이 발견된다. 두 철학자의 사망 시기인 1592년[몽테뉴]과 1677년[스피노자]을 잡아보자. 그 이유는? 한 사상가의 육체적 죽음은 그 사상의 진화가 시작되는 .. 카테고리 없음 2013. 10. 5. " 주관성을 인정한다면 우선 [바로크 자유사상이 등장한] 모호한 이 시기에 대해서는 결국 두 기간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 일관성이 발견된다. 두 철학자의 사망 시기인 1592년[몽테뉴]과 1677년[스피노자]을 잡아보자. 그 이유는? 한 사상가의 육체적 죽음은 그 사상의 진화가 시작되는 .. 댓글 카테고리 없음 2013. 10. 5.
18 2013년 09월 18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윤리학에서 병리의 문제 댓글 1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윤리학에서 병리의 문제 " 윤리(학)을 철저히 생각할 때 나는 일종의 이율배반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을 깨닫는다. 한편으로는, 어쨌든 정동이 없다면 그 어떤 윤리적 행위도 가능하지 않다. [...] 경험적 증거뿐 아니라 철학적 전통도 이 점을 시사하고 있는 듯 보인다. 어떤 이유 때문에 뇌 손상을 겪게된 사람들은.. 카테고리 없음 2013. 9. 18. " 윤리(학)을 철저히 생각할 때 나는 일종의 이율배반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을 깨닫는다. 한편으로는, 어쨌든 정동이 없다면 그 어떤 윤리적 행위도 가능하지 않다. [...] 경험적 증거뿐 아니라 철학적 전통도 이 점을 시사하고 있는 듯 보인다. 어떤 이유 때문에 뇌 손상을 겪게된 사람들은.. 댓글 카테고리 없음 2013. 9. 18.
23 2013년 06월 23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현상학에 관하여 댓글 0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레비 브라이언트: 오늘의 인용-현상학에 관하여 " 무엇보다도 [...] 내가 말하고 싶은 점은 현상학은 육체의 실재계를 구조적으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 현상학은 확실히 우리가 우리의 육체를 어떻게 경험하는지 서술할 수 있지만, 그것은 결코 육체와 정동의 근본적인 불투명성을 파악해내지 못한다. 실재적인 것으로서의 육.. 카테고리 없음 2013. 6. 23. " 무엇보다도 [...] 내가 말하고 싶은 점은 현상학은 육체의 실재계를 구조적으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이다. [...] 현상학은 확실히 우리가 우리의 육체를 어떻게 경험하는지 서술할 수 있지만, 그것은 결코 육체와 정동의 근본적인 불투명성을 파악해내지 못한다. 실재적인 것으로서의 육.. 댓글 카테고리 없음 2013. 6. 23.
08 2012년 11월 08 클레어 칼리슬: 오늘의 에세이-스피노자 8 댓글 0 카테고리 없음 카테고리 없음 클레어 칼리슬: 오늘의 에세이-스피노자 8 스피노자, 8부: 윤리학 읽기 Spinoza, part 8: Reading the Ethics ―― 클레어 칼리슬(Clare Carlisle) 이 마지막회분에서는 <<윤리학>>이 철학적 저작일 뿐 아니라 철학적 삶의 방식을 위한 교육 지침서인지 다룬다 이 연재글에서 우리는 스피노자 철학의 여러 요소들을 검토했다. 스피노자의 .. 카테고리 없음 2012. 11. 8. 스피노자, 8부: 윤리학 읽기 Spinoza, part 8: Reading the Ethics ―― 클레어 칼리슬(Clare Carlisle) 이 마지막회분에서는 <<윤리학>>이 철학적 저작일 뿐 아니라 철학적 삶의 방식을 위한 교육 지침서인지 다룬다 이 연재글에서 우리는 스피노자 철학의 여러 요소들을 검토했다. 스피노자의 .. 댓글 카테고리 없음 2012.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