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2016년 07월 14 눈은 자더라도 마음은 깨어 있으라(睡箴) 댓글 0 삶의 묵상 삶의 묵상 눈은 자더라도 마음은 깨어 있으라(睡箴) 눈은 자더라도 마음은 깨어 있으라(睡箴) 허균(許筠 1569-1618). 그는 참 알 수 없는 사람이다. <미쳐야 미친다>의 저자 정민(한양대 교수)의 말입니다. 기생과 사귀다 구설수에 올랐고, 과거시험에서 조카를 부정 합격시켜 유배를 가기도 했습니다. 지방관으로 있으면서는 아침마다 향을.. 삶의 묵상 2016. 7. 14. 눈은 자더라도 마음은 깨어 있으라(睡箴) 허균(許筠 1569-1618). 그는 참 알 수 없는 사람이다. <미쳐야 미친다>의 저자 정민(한양대 교수)의 말입니다. 기생과 사귀다 구설수에 올랐고, 과거시험에서 조카를 부정 합격시켜 유배를 가기도 했습니다. 지방관으로 있으면서는 아침마다 향을.. 댓글 삶의 묵상 2016. 7. 14.
18 2008년 09월 18 허균과 홍길동전 댓글 3 역사 산책 역사 산책 허균과 홍길동전 홍길동전(洪吉童傳) 조선 광해군 때 허균이 지은 한글 소설의 효시이다. 당시 사회제도 봉건체제의 모순 특히 적서의 신분차별 타파와 정치개혁을 주제로 한 작자의 사상이 반영된 작품이다. 허균은 당대의 여류시인 허난설헌을 누이로 둔 명문대가에서 태어났다. 그는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 역사 산책 2008. 9. 18. 홍길동전(洪吉童傳) 조선 광해군 때 허균이 지은 한글 소설의 효시이다. 당시 사회제도 봉건체제의 모순 특히 적서의 신분차별 타파와 정치개혁을 주제로 한 작자의 사상이 반영된 작품이다. 허균은 당대의 여류시인 허난설헌을 누이로 둔 명문대가에서 태어났다. 그는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 댓글 역사 산책 2008.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