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도 서귀포는 평소에 눈이 거의 안오는 지역이다.
그런데 새해를 맞아 제주에는 연 4일째 폭설과 강한 한파가 찾아와 온 섬을 꽁꽁 얼려버렸다.
제주에서 빙판으로 노선버스가 운행을 중지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는데 한라산 5.16도로는 물론 일부 산록도로까지 얼어붙어 중산간 마을이 고립되기조차 했다.
이렇게 제주에 닥친 한파로 감귤을 비롯한 밭작물에서 냉해가 속출하고 있어 농민들의 걱정이 크다.
감귤은 아열대성 과일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감귤재배는 제주도의 남쪽 지방에서만 가능했었는데, 이는 한라산 남쪽의 사시사철 따뜻한 기후 여건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러한 특성으로 감귤은 섭씨–2도 이하 영하의 날씨가 48시간 이상 오래 지속되면 감귤과 나뭇잎이 얼리는 냉해를 입게 된다. 그런데 제주도 동부지역 등 영하의 날씨가 70시간 이상 지속된 농경지가 20여곳으로 파악되고 있다.
감귤나무가 냉해를 입게 되면 먼저 감귤이 얼었다가 풀리면서 썩게 되는데, 냉해 입은 감귤은 껍질을 벗겨보면 알맹이에 물기가 송송 맺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감귤 알맹이 속에 있던 수분이 얼었다가 녹았다는 말이다.
그리고 냉해를 입은 감귤나무는 이파리가 누렇게 마르기 시작한다.
차츰 마르기 시작하는 감귤 나뭇잎은 한 달 정도가 지나면 바싹 말라 떨어지면서 감귤나무 역시 고사하게 된다.
제주도내 노지감귤 재배 면적은 1만4898㏊이다. 이 중에서 아직 수확하지 못한 감귤은 약 30% 상당이 냉해를 입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니 해당 농가의 피해도 클 것이다.
이렇게 냉해에 약한 감귤나무가 지구의 기후변화로 현재 제주를 넘어 남해안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금세기 말이 되면 강원도에서 재배될 것이라는 연구 보고서가 있다.
아마 그때가 되면 우리 제주도는 열대지방이 되어 지금과 전혀 다른 기후에서 살게 될 것이다.
미래의 우리 자손들을 위하여 현재를 사는 우리가 기후 위기에 잘 대처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도 있다.
-
-
제주도의 지인에게서 늘 귤을 사 먹습니다.
답글
이웃과 어울려서 꽤 많이 사는데 어쩐지 올 귤은 맛이 덜하더라구요.
두 박스는 먹고 한 박스는 냉장고에 넣어두었는데 단맛이 덜하니까 잘 안먹어지네요.
그래도 그 농가에는 아무말도 안했어요.
해마다 맛있었거든요.
귤이 냉해를 입으면 상품으로 팔기도 어려울텐데 안타깝네오.
기후도 자꾸 변하고 귤 농사도 힘들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소중한 순간들을 돌아보시길
답글
바랍니다,날이풀렸습니다,자연,춥습니다.
옷따뜻하게 입으시구요,주어진 건강을 소홀히
하시면 않되겠습니다,소중한 포스팅 수고하셨습니다.
안전과 늘 건강빕니다.위로드립니다,나그네길님. -
이런 눈피해가 감귤에도 있군요
답글
항상 재해가 늘 있기 마련이지만 그래도 제주도가
이번에 감귤 농사가 어렵군요
추운 겨울 건강 조심하세요 -
에효~~ 냉해를 입은 제주감귤 어떻해야 하지요
답글
마음이 짠하네요
제주에 눈이 많이 내린 걸 보도를 통해 보았지만요
저정도는 아닌 줄 알았어요
코로나에.. 냉해에..
모든 일들이 마음이 아픕니다
위로를 드립니다,5 공감을 올립니다. -
평화를빕니다
답글
오늘은 날씨가 포근해
조금 걷다 나무들을 바라보니
양지녁에 벗나무 매화나무
줄기들이 싱싱해져
보이더랍니다
땅속에 봄이 움직이며
소근대는 것 같았어요
막바지 겨울에
건강관리 잘 하시고
소중한 나날들 행복,기쁨가득
멋진 날들 되시길 바랍니다. -
-
blondjenny 2021.01.15 09:49 신고
감귤에 눈이 쌓인 모습은 상상하기 어려웠는데 실제로 이런 일이 생겼군요.
답글
더 큰 피해를 입지 않도록 무슨 조처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공감 드립니다. -
저런!!
답글
감귤이 냉해를 입었다니 안타깝군요.
예전에 댕유지는 눈을 맞아야 제맛이 난다고도 했었는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