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osol2006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오솔길은 솔다. 오솔길은 구불구불하다. 오늘도 도내리 오솔길을 간다.
딱 한 놈 뿐이다, 이 너른 바다에... 어쩌다가. 어떤 형태로든 다시 돌아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떠난... 트럼프. 희망고문은 계속되는가.
바다는 좀체로 잘 얼지않는다. 그런 바다가 얼었다. 보름째 한파다. 북극 한파라고들 한다. 흔히 애교로 불렀던 동장군과 다르다. 가로림만 남쪽 끝. 호수같은 바다. 10여 년 만에 얼었다. 서너 달만에 도내나루에 갔다. 하루에 두 번 조수 간만에 쓸려나갔다가 밀려온 얼음 조각들이 개펄에 질펀하다. 삭막하긴해도 겨울다운 그림이다. 쌍섬의 '해태 바위', 구도항 쪽 언덕에 '카크 다글라스 바위'. 내가 이름을 붙인 도내나루터 지킴이들이다. 볼 때마다 든든하다.
새벽에 최저기온이 영하 5도 이하로 닷새가량 계속되면 도내수로는 결빙된다. 수은주가 영하로 떨어져도 바람이 거세지 않으면 걸을만 하다. 겨울철 걷기 운동은 자칫 나태해지기에 마음을 다잡는 의미에서 오랜만에 아침나절과 오후 두 번 걸었다. 만 보는 6 키로 남짓이다. 우리집에서 태안읍내까지 가는 편도 거리에 육박한다. 가로림만 개펄 바다가 보이고 저수지 뚝방길, 솔발밭 오솔길... 아기자기하게 걸을 수 있다는 자연 환경이 오늘의 즐거움이다.
희미한 카바이트 불빛 아래... 오가던 소줏잔.... 서린동 골목 입구, 홍합 국물 인심 후하던 포장마차 그 아지매 생각이 난다. 초겨울이다.
논둑 밭둑에 민들레. 민들레는 지독한 놈이다. 엄동 삭풍의 동토에서 한겨울을 날 참이다. 울타리에 개나리꽃. 민들레에 질세라 오늘도 한 송이 피었다.
처마를 비껴 햇살이 잘 드는 창가에 화분 셋. 납매 묘목 세 그루. 어린 묘목의 겨울나기. 강보에서 아기 다루듯 화분에 담아 실내에서 키워보긴 처음이다. 우리집 마당의 납매나무에서 종자를 따서 가져갔던 분이 싹을 틔워 묘목으로 다섯 그루를 보내주셨는데, 지난 가을 그 중 둘은 서울..
반갑다. 첫눈. 거실 커튼을 걷으니 하얀눈이... 세상이 밝다. 왜 첫눈에 맘이 설레일가.
멀찌감치 담너머로 보니 옆집 아주머니 발걸음이 바쁘다. 하얀 김이 솟아오른다. 모르긴 몰라도 아마 메주를 쑤나보다. 콩대 콩각지를 태워 메주콩을 삶는다. 조식의 <七步詩>가 생각난다.
살얼음이 얼었다. 아직 11월, 그러나 마음은 벌써 겨울이다. 앞질러 계절의 감각을 더듬는 건 소소한 즐거움의 하나. 재래시장 어물전 좌판에서 코다리를 보면 그렇다. 석양의 코다리.
짜릿한 손맛 때문에 얼음 구멍치기 태공들. 바람 불어도 추워도 미세먼지가 날려도 할 사람은 한다. 얼음이 녹는다.
그 무엇이 있을 곳엔 마땅히 있어야 어우러진다. 이맘 때면 처마밑에서 코다리가 운치를 더해준다. 읍내 재래시장 어물전 앞을 지나노니 코다리가 부른다. 소주 한잔에 코다리찜이 제맛을 내는 계절. 계절은 있다.
태양광이 있는 서재 옆에 감나무 셋. 대봉 홍시들. 까치밥이랍시고 남겨두었지만 감나무가 너무 크고 높아서 실은 따기가 힘들었다. 오늘 보니 직박구리,까치,참새들이 부지런하게도 돌아가며 며칠 사이에 앙상하게 꼭지만 남기고 먹어치웠다. 자연의 이치다. 올해도 며칠 남지않았다. ..
팔봉산 등산로 입구. 황량한 겨울에 몇 안되는 등산객을 보고 주말이면 장이 선다. 노점상이다. 인근에 사는 할머니들이다. 오늘 처음으로 냉이 달래가 등장했다. 양지 바른 어딘가에서 캤을 냉이와 달래. 봄 봄. 봄이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