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qweenbee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2022. 7. 2. 몽골 울란바트르. 2015년 7월 하순에서 8월에 걸쳐서 몰골의 식물 탐사를 다녀온 후 광활한 초원과 끝없는 지평선에 매료되어서 한번 더 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더랬다. 국명을 붙일 수 없는 식물들이 대부분이었지만 다양한 식물과 함께 우리 나라에서는 쉽게 만날 수 없는 귀한 종을 흔하게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곳이었기 때문이다 2020년 계획했던 몽골탐사가 코로나의 창궐로 취소되고 2년을 기다린 끝에 드뎌 올해 6월 23일 부터 7월 4일까지 몽골을 다녀 오게 되었다. 2015년에 몽골식물 탐사기를 아주 자세하게 기록해 둔 것이 있기에 이번에는 식물을 중심으로 올리면서 그 때 그때 탐사기를 곁들이려 한다. 2015년 때보다 한 달 정도 이른 시기에 탐사를 했지만 그 때..
2022. 7. 2. 몽골 울란바토르. 수술 10개 암술 2개
6월 23일 몽골로 출발합니다 7월 4일 귀국합니다.
2022. 6. 19. 왼쪽 : 왕비늘사초 오른쪽 : 가는비늘사초 왕비늘사초 : blog.daum.net/qweenbee/8892116 https://blog.daum.net/qweenbee/890653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912 https://blog.daum.net/qweenbee/8909012 가는비늘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9011 가는비늘사초 수과 : https://blog.daum.net/qweenbee/8909013 비늘사초 : 산비늘사초 : 이삭사초 :
2022. 6. 19. 상주. 산지 습지나 물통이 주변에 비교적 흔하게 만날 수 있는 녀석이다 가는비늘사초를 찾느라고 보이는 대로 과포를 벗겨서 수과의 끝부분을 확인하였다. 습지 아래쪽에서는 왕비늘사초만 보이다가 위쪽으로 올라가니 왕비늘사초와 가는비늘사초가 함께 어우러져 나타났다. 결국 수과를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확실하다. 과포는 큰편이며 수과는 과포속에 엉성하게 들어 잇었다. 수과 끝이 굽지 않았다. 왼쪽: 왕비늘사초, 오른쪽: 가는비늘사초 왕비늘사초 : blog.daum.net/qweenbee/8892116 https://blog.daum.net/qweenbee/890653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912 https://blog.daum.net/qweenbee..
2022 6. 19. 상주. 왕비늘사초 비슷하지만 잎이 더 넓고 줄기가 장대하며 측소수가 더 가늘다. 왕비늘사초에 비하여 과포가 더 작고 수과의 끝이 굽는 점이 다르다. 수과 끝이 굽었다 수과와 과포 왕비늘사초- 수과 끝이 굽지 않았다 가는비늘사초- 수과 끝이 굽었다. 왼쪽 : 왕비늘사초 : 과포가 더 크고 수과 끝이 굽지 않았다 오른쪽 :가는비늘사초 : 과포가 더 작고 수과 끝이 굽었다. 왕비늘사초 : blog.daum.net/qweenbee/8892116 https://blog.daum.net/qweenbee/890653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912 https://blog.daum.net/qweenbee/8909012 가는비늘사초 : https://blog...
2022. 5. 22. 팔공산. 사진을 찍을 때는 산 아래쪽에는 벌써 꽃술이 말랐던데 좀 더 위쪽이라고 융단사초가 이제사 꽃을 피우고 있네 중얼거리면서 찍었는데 뒤늦게 정리를 하려니 헷갈려 엉뚱한 이름을 달았더래서 새로 정리한다. 융단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6536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40 https://blog.daum.net/qweenbee/8909001 https://blog.daum.net/qweenbee/8909010 곱슬사초 :
2022. 6. 11. 경북. 국내에서는 이 녀석을 처음 만나게 되는 건데 오래 전부터 여기서 피어 있었던 모양이다. 줄기의 날개가 크게 드러나지 않았지만 꽃 형태는 날개하늘나리가 맞다. 땅나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76 http://blog.daum.net/qweenbee/8888485 http://blog.daum.net/qweenbee/8888485 http://blog.daum.net/qweenbee/8888486 http://blog.daum.net/qweenbee/8892320 http://blog.daum.net/qweenbee/8896122 http://blog.daum.net/qweenbee/8896123 http://blog.daum.net/..
2022. 6. 11. 경북. 땅나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76 http://blog.daum.net/qweenbee/8888485 http://blog.daum.net/qweenbee/8888485 http://blog.daum.net/qweenbee/8888486 http://blog.daum.net/qweenbee/8892320 http://blog.daum.net/qweenbee/8896122 http://blog.daum.net/qweenbee/8896123 http://blog.daum.net/qweenbee/8896129 http://blog.daum.net/qweenbee/8897863 http://blog.daum.net/qweenbee/889..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료는 퍼가는 걸 허락하지 않으니 구경만 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