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 2022년 05월
08
19 2022년 03월
19
천마산 봄마중 천마산은 경기 남양주시 위치하며 높이 812m이다. 산세가 험하고 복잡하다 하여 예로부터 소박맞은 산이라 불려왔다. 주봉을 중심으로 하여 북동쪽은 비교적 비탈이 급하고, 서쪽은 완만하다. 산기슭에는 각종 수련관과 연수원 등이 들어서 있고 남쪽의 천마산스키장과 북쪽에는 보광사가 있으며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등 690여 종의 식물이 자란다. 천마산은 화야산, 예봉산 등, 수도권의 대표적인 야생화 서식지로 이른 봄날, 바스락대는 낙엽을 살며시 비집고 나온 너도바람꽃과 복수초가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O2vr75AbLg
13 2022년 03월
13
구름산 노루귀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과 노온사동 경계는 높이 237m이며 광명시 중심부에 위치한다. 운산이라 불리는 구름산은 원래 아방리에 있는 산이라 해서 아왕봉이라고 불렀는데 조선후기에 구름 속까지 솟아 있다고 해서 구름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산줄기는 남쪽으로 능고개를 지나 가학산과 서독산으로 뻗어 있으며 북쪽으로는 도덕산까지 이어지는 광명시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광명시 산림생태계의 중심축을 형성, 접근이 쉬워 광명시민들이 즐겨 찾는다. 또한 야산에 노루귀 군락지가 있어 이른 봄이면 야생화 마니아들의 발길이 이어진다. https://www.youtube.com/watch?v=mP2V49-ivI0
06 2021년 04월
06
01 2021년 03월
01
27 2021년 02월
27
28 2021년 01월
28
11 2020년 12월
11
박주가리 박주가리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종자는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흰 유액에 독성분이 들어 있으며 연한 순은 나물로 먹는다. 많은 식물들이 춥고 얼어붙은 땅속에서 숨 죽이며 다시 태어 날 봄을 기다린다. 따뜻한 겨울철 들길을 걷다보면 바람에 흩날리는 박주가리 씨앗을 볼 수 있는데 열매를 터뜨리고 나온 씨앗들이 다시 태어나기 위해 낮선 곳으로 이동하는 모습이다. 예전에는 이 종자의 털을 솜 대신 도장밥과 바늘쌈지를 만들었다고 한다.
28 2020년 08월
28
노란망태버섯 망태버섯은 높이 10~20cm 굵기는 2-3cm이며, 6~8월 장마철에 주로 핀다. 밤사이 대를 올리고 해뜰무렵 적당한 광량이 충족되면 순식간에 망태가 둥글게 퍼지면서 땅까지 내려온다. 2시간 정도 레이스 모양의 망태를 펼쳤다가 접어 생을 마감하기 때문에 ‘하루살이 버섯’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노랑망태버섯은 장마철에 주로 나오는 버섯이다. 땅속에 있던 버섯 알이 땅을 뚫고 쑥 솟아 나와 버섯 자루가 된다. 자루가 나오고 종 모양 갓이 생기면 갓 안쪽과 버섯자루 위쪽 사이에서 망태가 둥글게 퍼지면서 땅까지 내려온다. 잡목 숲에서는 노란색으로, 대나무 숲에서는 흰색으로 버섯 중 최고라 하는 화려한 자태를 뽐낸다. 여름부터 가을에 혼합림 내의 땅 위에 단독 또는 무리 지어 발생한다.
16 2020년 08월
16
23 2020년 07월
23
17 2020년 07월
17
칠보산 야생화 칠보산은 수원의 서쪽에 있는 산으로 수원과 화성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옛부터 여덟가지 보물(산삼, 맷돌, 잣나무, 황계수닭, 범절, 장사, 금, 금닭)이 숨겨져 있다는 전설이 있었으나 어느 때인가 그중 금닭을 누군가 가지고 가 그때부터 칠보산으로 불리웠다고 한다. 해발 238.8미터로 그리 높지 않고 경사도 완면하여 누구나 쉽게 등산을 즐길 수 있다. 나지막한 능선이 참나무 숲을 이루고 있어 전망을 기대하기 어려운 밋밋한 산이지만, 사실 칠보산의 보물은 눈에 쉽게 띄지 않는 주변의 저수지와 잘 발달된 습지대에 있다. 시기에 따라 피고 지는 희귀식물인 해오라비난초와 칠보치마, 끈끈이주걱을 비롯해 방울새난, 통발, 덩굴박주가리 등 귀한 식물들이다.